미국 관세 인하 전망에 커피 선물가 급락

커피 선물 가격이 관세 뉴스와 공급 전망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급락했다. 12월물 아라비카 커피(KCZ25)는 수요일 -19.05센트(-4.51%) 하락해 마감했고, 1월물 ICE 로부스타(RMF26)는 -252달러(-5.46%) 하락했다. 특히 로부스타는 2주 최저가를 기록했다.

2025년 11월 12일, 바차트(Barchart) 보도에 따르면, 가격 급락의 직접적 촉매는 전날(화요일) 늦은 밤 나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발언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

우리는 커피에 부과된 일부 관세를 낮출 것이다

”라고 말했으며, 이 코멘트가 이날 커피 가격을 강하게 압박했다. 이어 수요일에는 재무장관 베сэн트(Bessent)가 향후 며칠 내 미국 내에서 재배되지 않는 작물(커피 포함)에 대해 “

주목

상당한 발표가 있을 것

”이라고 언급하면서 하락 압력이 가속됐다.

아라비카 선물 개요

공급 측 요인도 하락을 키웠다. StoneX2026/27 시즌에 브라질 커피 생산이 총 7,070만 포대에 이를 것으로 최초 전망했는데, 이 가운데 아라비카 4,720만 포대전년 대비 +29% 증가를 제시했다. 이는 중기적으로 아라비카 공급이 넉넉해질 수 있음을 시사해 가격에는 약세 재료로 작용한다.

브라질의 기상 여건 개선도 부정적 영향을 더했다. Somar Meteorologia브라질 최대 아라비카 생산지 미나스제라이스11월 7일로 끝난 주간강우량 72.1mm를 기록했으며, 이는 역사적 평균의 160% 수준이라고 밝혔다. 충분한 강우는 생육기 건조 우려를 완화해 가격에 하락 요인으로 작용한다.

주목

로부스타 선물 개요

베트남 공급 확대 신호도 약세에 힘을 보탰다. 베트남 통계총국에 따르면 2025년 1~10월 커피 수출은 전년 대비 +13.4% 증가한 131만 톤(MMT)을 기록했다. 또한 2025/26년 베트남 커피 생산은 전년 대비 +6% 증가한 176만 톤(2,940만 포대)으로 4년 만의 최대치가 예상된다. 베트남커피카카오협회(Vicofa)10월 24일 “기상 여건이 우호적이면 2025/26년 생산은 전 작기 대비 10% 증가”할 수 있다고 밝혔다. 베트남은 세계 최대 로부스타 생산국으로, 로부스타 선물가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

다만 일부 타이트한 공급 시그널은 가격의 하방을 제한했다. 국제커피기구(ICO)현 마케팅 연도(10월~9월) 전 세계 커피 수출이 전년 대비 -0.3% 감소한 1억3,865.8만 포대였다고 월요일 보고했다.

ICE 인증 재고의 감소는 가격에 지지가 됐다. 미국의 브라질산 수입 커피에 대한 50% 관세로 인해 ICE 재고가 빠르게 줄었다. ICE 모니터드 아라비카 재고는 수요일 404,930포대1.75년 만의 저점을 기록했고, ICE 로부스타 재고는 월요일 5,873계약으로 3.75개월 최저를 나타냈다. 미국 바이어들은 브라질산 커피에 대한 50% 관세로 신규 계약을 취소하고 있으며, 미국의 생두 약 1/3이 브라질산이라는 점에서 국내 공급 타이트닝을 초래하고 있다.

기상 리스크도 무시할 수 없다. 미국해양대기청(NOAA)9월 16일 남반구 라니냐 발생 확률10~12월 기준 71%로 상향했다. 이는 브라질에 과도한 건조를 가져와 2026/27 시즌 커피 작황에 피해를 줄 수 있다. 브라질은 세계 최대 아라비카 생산국이다.

또한 브라질 국영 작황 전망기관 코나브(Conab)9월 4일 브라질 2025년 아라비카 생산 전망5월 3,700만 포대에서 3,520만 포대-4.9% 하향했다. 동시에 브라질 2025년 커피 총생산 전망도 5,570만 포대에서 5,520만 포대-0.9% 축소했다. 이러한 하향 조정은 단기적 공급 타이트닝으로 해석되며 가격을 지지해왔다.


글로벌 수급 전망(USDA FAS): 미국 농무부 해외농업국(FAS)6월 25일 2025/26년 세계 커피 생산이 전년 대비 +2.5% 증가1억7,868만 포대사상 최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세부적으로 아라비카 생산-1.7% 감소한 9,702.2만 포대로 예상되는 반면, 로부스타 생산+7.9% 증가한 8,165.8만 포대로 제시됐다. 국가별로 브라질 2025/26년 생산+0.5% 증가한 6,500만 포대, 베트남+6.9% 증가한 3,100만 포대(4년래 최고)가 예상된다. 기말 재고(2025/26)2,275.2만 포대에서 2,281.9만 포대+4.9% 증가할 전망이다.

원자재 뉴스

시장 해석과 실무적 시사점: 단기적으로는 관세 인하 발언수입 비용 하락 기대를 자극해 선물 매도 압력을 키웠다. 동시에 브라질·베트남 공급 확대 전망중기 약세 베팅을 강화한다. 반면 ICE 재고의 빠른 유출라니냐 리스크는 가격 낙폭을 제한할 수 있는 상방 리스크로 남아 있다. 수급의 비대칭성(단기 타이트 vs. 중기 완화)을 고려하면, 변동성 확대 구간에서 캘린더 스프레드헤지 전략을 병행하는 접근이 유효할 수 있다. 이는 정보에 기반한 일반적 전략적 해석이며, 특정 투자 조언을 의미하지 않는다.


참고: 용어와 지표 해설

아라비카 vs 로부스타: 아라비카는 향과 산미가 뛰어나 스페셜티 비중이 높고, 로부스타는 카페인 함량이 높으며 인스턴트·블렌드 수요가 크다. 가격 변동은 수요 구조 차이와 산지(브라질·베트남) 기상에 민감하다.

선물 티커(KCZ25, RMF26): KC는 ICE 아라비카, RM은 ICE 로부스타를 뜻한다. 알파벳은 인도월(예: Z=12월, F=1월), 숫자는 결제연도를 나타낸다.

포대(bag): 국제 커피 시장에서 1포대는 통상 60kg을 의미한다. 기사 내 모든 ‘포대’ 표기는 60kg 환산 기준이다.

ICE 인증 재고: 선물 인도 적격 창고의 공인 재고로, 단기 현물 타이트니스와 베이시스에 민감하게 작용한다.

라니냐: 적도 태평양 동부 수온이 낮아지는 현상으로, 브라질에 건조를, 동남아에 잦은 비를 유발할 수 있어 커피 생육에 영향이 크다.


기타 정보: “Don’t Miss a Day”로 소개된 원자재 분석 뉴스레터원유부터 커피까지 범위를 다룬다고 안내됐다.

면책: 본 기사 작성일 현재, 리치 애스플런드(Rich Asplund)는 기사에 언급된 어떤 증권에도 직·간접적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본 기사 정보와 데이터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자문이 아니다. 자세한 사항은 Barchart Disclosure Policy를 참조하도록 명시돼 있다.

관련 기사 (Barchart):
– “수요일 늦장 랠리는 금속·곡물 시장에 무엇을 말해줬나?”
– “화요일 종가에서 시장은 무엇을 배웠나?”
– “세계 설탕 가격은 어디까지 하락할 수 있나?”
– “곡물·면화 트레이더여, 11월 14일을 달력에 표시하라”

주의 본문에 표현된 견해와 의견은 작성자 고유의 견해이며, 나스닥(Nasdaq), Inc.의 공식 입장을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