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가 17일(현지시간) 상승세를 이어가며 S&P 500 지수(SPX)와 나스닥100 지수(IUXX)가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날 S&P500 현물지수는 전장 대비 0.54% 오른 5,653.42로, 나스닥100은 0.74% 상승한 19,987.15로 장을 마쳤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OWI) 역시 0.52% 올랐다. 같은 날 9월물 E-mini S&P 선물(ESU25)은 0.59%, 9월물 E-mini 나스닥 선물(NQU25)은 0.77% 상승 마감했다.
2025년 7월 18일, 바차트(Barchart)의 보도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미국 경제의 저력과 완만한 금리 인하 기대에 주목하며 위험자산 비중을 확대했다. 특히 주간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3개월래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고, 6월 소매판매가 시장 전망치를 크게 웃돌면서 경기 회복 기대가 강화됐다.
미국 노동부는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가 전주 대비 7,000건 감소한 22만1,000건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월가 컨센서스(23만3,000건)를 크게 밑도는 수치다.
같은 날 발표된 6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6% 증가해 시장 예상치(0.1%)를 뛰어넘었고, 자동차를 제외한 소매판매도 0.5% 늘어나 소비 회복세를 반영했다.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 제조업지수 역시 5개월 만의 최고치(15.9)로 급반등해 제조업 체감경기를 지지했다.
장중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메리 데일리가 “연준 위원들이 6월 발표한 점도표는 연내 두 차례(각 25bp) 기준금리 인하 전망을 제시한 ‘reasonable outlook’”이라며, “2% 물가 목표 달성까지 기다리면 경제에 불필요한 상처를 줄 수 있다”고 발언해 비둘기파(통화완화 선호) 기대를 자극했다.
반면 연방준비제도(Fed) 이사 아드리아나 쿠글러는 “가속화하는 인플레이션과 관세 인상으로 가격 압력이 커지고 있어 연준은 당분간 금리를 동결해야 한다”고 강조해 시장에 경계감을 남겼다. 의료보험 업종은 엘레반스 헬스(ELV)가 연간 EPS 전망을 하향 조정하면서 12% 급락, 섹터 전반의 하방 압력으로 작용했다.
● 관세·무역 불확실성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150여 개국에 8월 1일부터 10~15%의 관세 부과 방침을 통보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주말에는 EU·멕시코산 제품에 30%, 캐나다 일부 제품엔 35% 관세를, 구리 반제품에는 50% 관세를 예고했다. 제약 기업들이 1년 내 미국 생산시설을 이전하지 않을 경우 최대 200%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경고도 덧붙였다.
반면 미 상무부가 엔비디아(NVDA)의 H20(저사양 AI 칩) 대중국 수출을 재개할 수 있다고 시사하고, AMD 역시 유사한 확약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반도체 업종에 호재로 작용했다. 재닛 옐런 재무장관은 “2주 내 허리펑(何立峰) 중국 부총리와 만나 관세 완화 시한(8월 12일) 연장을 논의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 채권·금리 동향
10년 만기 미 국채(9월물)는 3.5틱 하락하며 금리는 0.8bp 오른 4.463%를 기록했다. 호조세를 보인 지표와 주가 랠리로 안전자산 수요가 줄어든 영향이다. 10년 기대인플레이션(BEI)은 4.75개월 만의 고점(2.450%)으로 올라 물가 우려를 반영했다. 독일 10년물 금리는 1.3bp 하락(2.675%), 영국 10년물은 6주 최고치(4.678%)까지 상승했다.
연방기금선물은 7월 29~30일 FOMC에서 25bp 인하 확률을 3%, 9월 16~17일 회의에서는 58%로 반영하고 있다.* *CME FedWatch 기준
● 실적 시즌 & 업종별 등락
기업 실적 면에서는 항공주가 두드러졌다. 유나이티드에어라인스(UAL)는 스콧 커비 CEO가 “하반기 수요 예측이 더 정확해졌고 실적 상향 여지도 있다”고 언급한 뒤 3% 넘게 상승했다. 알래스카에어(ALK)와 아메리칸에어(AAL)도 각각 3%, 2%대 강세를 보였다.
나스닥100 구성 종목 중 펩시코(PEP)는 2분기 매출 227억3,000만 달러로 예상(223억2,000만 달러)을 웃돌며 7% 급등했다. 스냅온(SNA)은 2분기 매출 11억8,000만 달러(예상 11억6,000만 달러)를 기록해 7% 오르며 산업재 강세를 이끌었다. 스티븐매든(SHOO)은 씨티그룹이 투자의견을 ‘매수’로 상향 조정하자 6%가량 뛰었다.
반면 엘레반스 헬스(-12%)를 필두로 몰리나헬스케어(-5%), 센틴(-4%) 등 헬스케어 보험주가 급락했다. 애보트랩(ABT)은 유기적 매출 성장률 가이던스가 기대에 못 미쳐 8% 하락했고, 소닉오토모티브(SAH)는 JP모건의 투자등급 하향으로 10% 밀렸다.
● 해외 증시
유럽 Euro Stoxx 50은 1.49% 올랐고,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37%, 일본 닛케이는 0.60% 각각 상승했다. 시장 참가자들은 미국발 금리 인하 기대가 글로벌 증시에 우호적 영향을 줄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다.
● 향후 일정
18일 공개될 6월 주택 착공은 전월 대비 3.6% 증가(130만 건), 건축허가는 0.5% 감소(138만7,000건)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시간대 7월 소비심리지수 예측치는 61.5다. 실적 시즌 본격화에 따라 3M·아메리칸익스프레스·슈왑 등 대형 금융·산업주 실적이 예정돼 있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S&P500 기업의 2분기 EPS 성장률 컨센서스는 2.8%로, 2년 만에 최저폭에 머무를 전망이다.
용어 해설
E-mini 선물은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서 거래되는 소형 주가지수 선물계약으로, 표준 계약 대비 증거금과 계약단위가 작아 개인투자자도 접근하기 용이하다. 또한 비둘기파·매파는 통화정책 기조를 뜻하는 금융시장 은어로, 전자는 금리 인하·완화를 선호하고 후자는 금리 인상·긴축을 선호한다.
전문가 시각
증시 전문가들은 “경기지표 개선에도 물가 압력과 관세 변수로 불확실성이 교차한다”며 “연준의 9월 금리 결정,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향방이 3분기 증시의 핵심 촉매”라고 진단했다. 동시에 반도체 수출 규제 완화 기대가 시장 리스크를 일부 상쇄하고 있어, 변동성 국면 속 업종·종목별 차별화가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