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인덱스(DXY)가 1주일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며 0.27% 상승했다. 이러한 흐름은 미국 경제 지표가 예상치를 웃돌았고, 연방준비제도(연준·Fed) 내부에서 나온 매파적(통화긴축적) 발언이 투자 심리를 자극했기 때문이다.
2025년 8월 21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 제프리 슈미드 총재는 “인플레이션 리스크를 감안할 때 ‘적절히 제약적(modestly restrictive)’인 통화정책 기조가 당분간 유지돼야 한다”고 언급했다. 그의 발언은 달러에 추가 상승 동력을 제공했고, 미국 국채 수익률도 동반 상승했다.
여기에 8월 S&P 글로벌 제조업 PMI(구매관리자지수)가 53.3으로 3년 만에 가장 빠른 확장세를 보이며 예상치(49.7) 대비 크게 개선된 점, 7월 기존주택 판매가 전월 대비 2.0% 증가해 시장 전망(-0.3%)을 상회한 점도 달러 강세를 뒷받침했다. 주식시장이 약세를 보이면서 유동성 회귀 현상이 나타난 점도 달러에 우호적으로 작용했다.
미 노동시장 지표는 다소 부진
그러나 달러 강세는 완만했다. 미국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2개월 만에 최고치(23만5,000건)로 증가했고, 계속 청구 건수 역시 197만2,000건으로 3년 9개월래 최고 수준을 기록해 고용시장 둔화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는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를 일부 부각시키며 달러 상승폭을 제한했다.
필라델피아 연은(Philadelphia Fed) 8월 제조업 전망 지수는 ‑0.3으로 전월 대비 16.2포인트 급락, 시장 컨센서스(6.5)를 크게 밑돌았다. 반면 제조업·서비스업을 합산한 8월 S&P 글로벌 컴포지트 PMI는 51.1로 15개월 만에 최고치를 찍어 경기 혼조 양상이 두드러졌다.
연준 금리 전망 및 파생시장 반응
연방기금선물(Fed Funds Futures) 시장은 9월 16~17일 FOMC에서 25bp(0.25%p) 인하 확률을 75%로, 10월 28~29일 회의에서 추가 25bp 인하 확률을 49%로 각각 반영했다. 이는 고용 부진 vs. 인플레이션 우려 간 연준의 미묘한 균형을 시사한다.
유로·엔화 약세와 유럽 경제 지표
같은 날 유로/달러(EUR/USD)는 0.26% 하락해 1주일 만에 최저치를 찍었다.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발표한 8월 소비자신뢰지수는 ‑15.5로 4개월래 최저치로 떨어졌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우려도 투자 심리를 위축시켰다.
다만 유로존 8월 제조업 PMI가 50.5로 3년 만에 최고, 컴포지트 PMI가 15개월 만에 최고치(51.1)를 기록하며 일부 낙폭을 제한했다.
한편 엔/달러(USD/JPY)는 0.50% 상승(엔화 약세)했다. 미국 국채 금리 상승과 일본산 제품에 대한 미국발 관세 인상 가능성이 일본 경제를 압박할 수 있다는 우려가 엔화 가치를 끌어내렸다. 일본 8월 S&P 제조업 PMI는 49.9로 소폭 반등했으나 여전히 50 미만(경기 수축)을 기록했다.
금·은 가격 동향
12월물 금 선물은 온스당 1.70달러(0.05%) 하락, 반면 9월물 은 선물은 0.337달러(0.89%) 상승했다. 강달러와 글로벌 국채 금리 상승이 금 가격을 압박했지만, 정치적 불확실성과 연준 독립성 훼손 논란이 안전자산 수요를 유지시켰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개인 주택담보대출 논란과 관련해 리사 쿡 연준 이사의 사퇴를 요구하면서 정치 리스크가 부각됐다. 시장은 이를 연준 독립성 훼손으로 받아들이며 금 가격 하락을 제한했다.
은 가격은 미국·유로존 PMI 급등이 산업용 금속 수요 증가 전망을 키우며 탄력을 받았다. 최근 ETF(상장지수펀드) 내 금 보유량이 2년 만에, 은 보유량이 3년 만에 각각 최고치를 경신한 점도 귀금속 가격 지지 요인이다.
지정학·정책 변수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부통령 제이디 밴스는 러시아-우크라이나 평화협상에서 우크라이나 안보 보장 및 러시아가 요구하는 영토 문제를 중재 중이라고 밝혔다. 백악관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간 회담을 추진 중이며, 이후 트럼프 대통령이 3자 정상회담을 제안할 가능성도 언급됐다. 결과에 따라 관세·유가·유럽 안보가 크게 요동칠 수 있다는 평가다.
시장금리(스와프)는 유럽중앙은행(ECB)이 9월 11일 정책회의에서 25bp 인하할 확률을 2%로 반영하고 있어, 유로화 정책 금리 동결 가능성이 여전히 높다.
용어 해설과 전문가 시각
PMI(구매관리자지수)는 제조업 및 서비스업 구매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해 경기 확장(50 이상)·수축(50 미만)을 판단하는 선행지표다. 이 지수가 높으면 기업 활동이 활발하다는 의미로, 통화정책·주식·원자재 시장 전반에 큰 영향을 준다.
캔자스시티 연은 제프리 슈미드 총재는 “인플레이션 리스크가 노동시장 리스크보다 약간 더 높다”고 강조하며, 완화적 정책 전환에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전문가들은 “고용 지표 둔화가 지속된다면 4분기 중 금리 인하가 공식화될 수 있지만, 물가가 예상보다 더디게 하락하면 금리 동결이 길어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결과적으로 달러 강세와 채권 금리 상승은 당분간 동반될 가능성이 크다.
저자 및 면책 조항
본 기사 작성 시점(2025년 8월 21일) 기준으로, 집필자 리치 애스플런드는 기사에서 언급된 어떤 종목에도 직·간접적인 투자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모든 정보는 정보 제공만을 목적으로 하며, 투자 자문이 아니다.
기사 내 견해는 작성자 개인 의견이며 나스닥(Nasdaq, Inc.)의 공식 입장을 대변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