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서 다시 살아난 애플 워치 혈중 산소 측정 기능, 마시모 특허 분쟁 이후 재도입

Investing.com에 따르면, 애플(Apple Inc.)은 미국 사용자들에게 애플 워치(Apple Watch)혈중 산소(SpO2) 측정 기능을 재도입한다고 14일(현지시각) 밝혔다.

2025년 8월 14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는 의료기기 업체 마시모(Masimo Corp.)와의 장기 특허 소송 및 미 관세국경보호청(U.S. Customs)의 수입 금지(injunction) 결정 이후 약 8개월 만에 이뤄진 조치다.

해당 기능은 2023년 말 특허 침해 판결로 인해 일시 삭제됐으나, iOS 18.6.1watchOS 11.6.1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배포를 통해 다시 활성화된다.

“이번 업데이트는 최근 미 관세국경보호청의 결정에 힘입어 가능해졌다”

라고 애플은 공식 성명을 통해 설명했다.


혈중 산소 측정 방식의 변화

애플은 특허 충돌을 피하기 위해 측정 프로세스를 수정했다. 기존에는 손목 위 기기(워치)에서 직접 측정과 계산이 동시에 이뤄졌으나, 앞으로는 센서 신호 수집만 워치에서 수행하고, 데이터 처리·분석은 페어링된 아이폰(iPhone)이 담당한다. 결과값은 아이폰 ‘건강(Health)’ 앱‘호흡(Respiratory)’ 섹션에서 확인 가능하다.

애플 워치 시리즈 9·10 및 애플 워치 울트라 2 가운데, 판매 당시 해당 기능이 비활성화돼 있던 미국 내 구매분이 이번 업데이트로 혜택을 받게 된다. 미국 외 지역에서 구매한 제품이나 이미 혈중 산소 기능이 활성화된 기존 워치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배경: 마시모와의 특허 분쟁

마시모는 비침습적(Non-invasive) 산소 포화도 측정 기술 분야에서 다수의 특허를 보유한다. 2023년 제기된 소송에서,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는 일부 애플 워치 모델이 마시모 특허를 침해했다고 판정했다. 이에 미 관세국경보호청이 애플 워치 수입·판매를 한시적으로 금지했고, 애플은 소프트웨어적 우회를 통해 기능을 비활성화한 뒤 판매를 지속해 왔다.

이번 업데이트는 하드웨어·센서 구조는 유지하면서 특허가 문제 삼은 ‘기기 내부 계산’ 부분을 아이폰으로 이전함으로써, 법적 리스크를 최소화한 방안으로 평가된다.


시장 반응 및 전망

애플 주가는 발표 직후 뉴욕 프리마켓에서 변동이 거의 없었다. 애널리스트들은 “이미 기능이 빠진 상태에서 판매가 지속돼 왔기 때문에, 단기 주가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진단했다. 다만 장기적으로는 헬스케어 기능 경쟁력 회복을 통해 웨어러블 시장 점유율 유지에 긍정적이라는 의견이 나온다.

혈중 산소 측정은 수면 무호흡·호흡기 질환 위험을 조기에 파악하는 데 쓰이는 생체 신호다. 팬데믹 이후 사용자 관심이 크게 늘며, 스마트워치 차별화 포인트로 자리 잡았다. 기능이 잠정 중단됐던 기간, 가민(Garmin)·핏빗(Fitbit) 등 경쟁사의 헬스케어 강점이 부각됐던 만큼, 애플의 전략적 부담이 작지 않았다는 평가다.


전문가 해설: U.S. Customs ‘injunction’란?

익숙하지 않은 독자를 위해 용어를 정리한다. 인정션(injunction)법원이 특정 행위를 금지하거나 명령하는 가처분을 뜻한다. 미 관세국경보호청의 인정션은 해당 제품의 수입·판매 자체를 막는 행정조치로, 특허 분쟁에서 강력한 압박 수단으로 작용한다.


기자 시각

이번 업데이트는 법적 모호성을 해소하면서도, 사용자 경험을 최소한의 변화로 유지하기 위한 ‘절묘한 절충’으로 보인다. 다만 측정·계산 분리가 실제 정확도와 배터리 효율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추후 사용자 피드백과 임상 연구를 통해 검증될 필요가 있다.

또한, 디지털 헬스케어 특허 분쟁은 기술 발전 속도에 비해 제도 정립이 더딘 현 의료·ICT 환경의 구조적 리스크를 재확인시켜 준다. 글로벌 기업들이 소프트웨어적 우회를 선택할 때, 기술 혁신과 지식재산권 보호 사이 균형 문제가 더욱 부각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