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 전국산업연합회(Confindustria) 연구소가 30% 대미(對美) 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국내총생산(GDP)에 미칠 잠재적 충격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2025년 7월 21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이 유럽연합(EU)산(産) 상품에 30% 관세를 부과할 경우 이탈리아 GDP는 올해 0.25%포인트, 2026년 0.59%포인트, 2027년 0.82%포인트까지 축소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전망은 EU가 맞대응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는 가정 아래 산출됐으며, 연구진은 “대외 수요 급감만으로도 이탈리아 경제에 연쇄적 파급효과가 발생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8월 1일부터 30% 관세를 적용하겠다고 공언했으나, 하워드 루트닉 미국 무역대표는 ‘타협의 여지가 충분하다’며 협상 여지를 남겼다.”
이와 같은 미 행정부 내 발언은 관세 부과가 실제 강행될 가능성과 협상 타결 가능성이 동시에 존재함을 시사한다.
관세가 실질적으로 적용될 경우 이탈리아의 대미 주력 수출품인 기계류·제약·자동차·식품(올리브유, 파스타, 치즈, 와인 등)이 직격탄을 맞는다. 관세 인상으로 가격 경쟁력이 약화되면 수출물량 감소와 고용 축소로 이어져 제조업 중심인 이탈리아 경제 구조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관측된다.
● 용어·기관 해설
Confindustria는 1910년 설립된 이탈리아 최대 산업계 이익단체로, 우리나라 대한상공회의소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한다. 관세(tariff)는 국가가 수입품에 부과하는 세금으로, 보호무역 수단으로 활용된다. 30%라는 수치는 GATT 체제 이후 주요 선진국 사이에서 보기 드문 고율에 해당한다.
● 전문가 시각 및 전망
필자의 분석으로는, 30% 관세는 단일 품목이 아닌 광범위한 제품군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투자 심리 위축, 공급망 재편, 소비자 물가 상승 등 2·3차 효과가 불가피하다. 특히 EU 전체가 보복관세로 대응할 경우 글로벌 제조업 경기 둔화가 가속화될 수 있으며, 이는 유로존 성장률까지 하향 조정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이탈리아 정부가 재정적자 축소와 국채 금리 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는 현 상황에서 수출 감소는 세수 악화를 통해 재정 운용을 더욱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이는 결국 국가신용등급에도 부정적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 향후 관전 포인트
첫째, EU·미국 간 협상 진행 상황이다. 8월 1일 데드라인 이전에 일정 수준 합의를 도출한다면 관세 폭이나 적용 범위가 조정될 수 있다.
둘째, EU 내부의 단일대응 여부이다. 회원국 이해관계가 엇갈릴 경우 공동보복 카드가 지연될 수 있다.
셋째, 이탈리아 정부의 재정·통화 대응책이다. 구조적 개혁과 단기 부양책 사이에서 균형을 찾는 것이 관건이다.
결론적으로, 이번 보고서는 보호무역 심화가 단기간 내 실물경제에 미치는 구체적 숫자를 제시함으로써 정책 결정자와 기업 경영진 모두에게 리스크 관리의 필요성을 재확인시켰다. 최종 관세 부과 여부가 판가름 날 때까지 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