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증시 주요 지수가 무역 협상 진전에 힘입어 연일 고점을 갈아치우고 있다. 29일(현지 시각) S&P 500 지수는 전장 대비 0.02% 상승한 채 마감하며 사상 최고치를 새로 썼다. 같은 날 나스닥 100 지수 역시 0.36% 올라 최고 기록을 경신했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14% 하락해 소폭 조정을 받았다.
2025년 7월 29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E-미니 선물 시장에서는 9월물 S&P 500 선물이 0.02% 하락했고, 9월물 나스닥 선물은 0.35% 상승했다. 선물 가격이 혼조세를 보인 가운데 현물 시장은 미·EU 간 관세 합의와 미·중 관세 휴전 연장 기대에 힘입어 강세 흐름을 이어갔다.
전일 EU와 미국은 일요일(28일) 무역 합의를 타결했다. 합의에 따라 EU는 대부분 수출품에 대해 15% 관세를 부담하게 됐으며, 이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전에 예고했던 ‘최대 50% 관세’ 위협보다 완화된 수준이다.
또한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미 재무장관 베슨트와 중국 국무원 부총리 허리펑이 8월 12일 스톡홀름에서 회동할 예정이며, 이 자리에서 양국이 기존 관세 휴전을 추가 90일 연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채권시장 변동성과 경제 지표
하지만 증시는 장중 고점에서 일부 되돌림을 보였다. 미 재무부의 5년물 국채 700억 달러 입찰이 부진해 국채 금리가 상승했고, 이는 롱 포지션 청산을 유발했다. 재무부는 3분기 차입 예상치를 1조100억 달러로 상향(4월 전망 5,540억 달러)해 국채 공급 확대 우려도 커졌다.
같은 날 발표된 7월 댈러스 연준 제조업 전망 지수는 0.9로 6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전월치 −12.7)하며 시장 예상치 −9.0을 크게 상회했다. 이는 경기 둔화 우려를 일부 상쇄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JOLTS(구인·이직 보고서)와 컨퍼런스보드 소비자신뢰지수, FOMC 회의 등 이번 주 핵심 일정도 투자심리를 좌우할 전망이다. 특히 미 연방준비제도(Fed)는 30일 시작되는 2일간 회의에서 기준금리(연 4.25~4.50%)를 동결할 것으로 예측된다.
주요 일정 및 전망
31일에는 7월 ADP 고용보고서(+8만 명 예상)와 2분기 GDP 성장률(연율 +2.4% 예상), 핵심 PCE(2.3% 예상)가 순차 발표된다. 8월 1일(목)에는 개인소득·지출, 주간 실업수당 청구, 시카고 PMI가, 2일(금)에는 7월 비농업 일자리(+10만 9,000개 예상), 실업률(4.2% 예상), ISM 제조업 지수가 예정돼 있다.
시장 참여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8월 1일부로 예고한 ‘관세 인상 발동’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7월 16일 “전 세계 150개국에 10~15%의 단순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24일에는 “관세율을 15~50% 범위로 책정할 것”이라고 언급해 하한선 상향 가능성을 시사했다.
연준·ECB 금리 전망
연방기금선물 가격은 30~31일 FOMC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3%, 9월 회의에서 63%로 반영하고 있다. 유럽중앙은행(ECB)에서도 카지미르 집행이사는 “9월 금리 인하는 경기 급락 증거가 없으면 시기상조”라고 발언했다. 현재 스왑시장은 ECB의 9월 인하 확률을 17%로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
실적 시즌·종목별 흐름
이번 주는 S&P500 편입 기업 38%가 실적을 발표하는 ‘어닝 시즌 최대 고비’다. 마그니피센트 세븐 중 마이크로소프트·메타플랫폼스가 30일, 애플·아마존닷컴이 31일 실적을 공개한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2분기 S&P500 EPS는 연간 +4.5% 증가가 예상되며, 지금까지 약 3분의 1이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82%가 시장 기대를 상회했다.
업종별로는 반도체가 무역합의 수혜를 받으며 강세를 보였다. AMD(+4% 이상)가 나스닥 100 상승률 1위에 올랐고, ON세미컨덕터·KLA·ASML·마벨·TI·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NXP가 2% 이상 상승했다. 엔비디아·램리서치·글로벌파운드리즈·마이크로칩·퀄컴도 1% 이상 강세를 기록했다.
에너지 업종도 WTI 유가 1주 최고치(+2%)를 배경으로 상승했다. 다이아몬드백에너지(+4% 이상), 데번에너지(+3% 이상), APA·코노코필립스·필립스66(+2% 이상), 할리버턴·마라톤페트롤리엄·베이커휴스·옥시덴털·발레로(+1% 이상)이 동반 강세를 나타냈다.
EU가 미국산 에너지 구매를 확대하기로 하면서 LNG 관련 주도 뛰었다. 벤처글로벌(+4% 이상), 체니어에너지·EOG리소시스(각 1% 이상)가 상승했다.
반면 광산·원자재 주는 금·구리 가격이 2주 반 만에 최저치로 밀리며 압박을 받았다. 뉴몬트는 3% 이상, 프리포트맥모란은 2% 이상 하락했다.
개별 종목 뉴스
슈퍼마이크로컴퓨터는 AI 서버 수요 지속 기대감으로 10% 이상 급등, S&P500 상승률 1위를 기록했다. 나이키는 JP모간이 목표주가를 93달러로 제시하고 비중확대(Overweight)로 상향 조정하며 3% 이상 상승했다. 웨더포드 인터내셔널도 파이퍼샌들러가 비중확대로 올리며 3% 이상 올랐다.
반면 레비티(Revvity)는 연간 EPS 가이던스를 4.93달러(중간값)→4.90달러(중간값)로 낮추면서 8% 이상 급락했다. 센틴(Centene)은 Cantor Fitzgerald가 비중축소로 낮추며 5% 이상 하락했고, 코인베이스는 MOCH가 ‘매수→중립’으로 내리며 3% 이상 밀렸다. 길리어드사이언스, 액센츄어, 시스코시스템즈도 각각 규제리스크·투자의견 하향 여파로 1~2%대 약세를 보였다.
국채·글로벌 금리 동향
9월물 10년 만기 T-노트는 7틱 하락 마감했고, 10년물 미 국채 금리는 1.6bp 오른 4.404%로 마감했다. 미국 증시 강세로 안전자산 수요가 줄어든 가운데, 2년물 690억 달러·5년물 700억 달러 국채 입찰에 따른 공급 부담도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다. 유럽에서는 10년물 독일 분트 금리가 2.689%(−2.9bp), 10년물 영국 길트 금리가 4.647%(+1.2bp)로 엇갈렸다.
※ 용어 해설
• JOLTS: 미국 노동부가 매월 발표하는 구인·이직 통계로 노동 수급을 가늠하는 선행지표다.
• PCE: 개인소비지출 물가로, 연준이 가장 선호하는 물가 지표.
• E-미니 선물: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 상장된 주가지수 소형 선물로, 개인·기관 모두 활발히 거래한다.
• 마그니피센트 세븐: 애플·마이크로소프트·메타플랫폼스·아마존·엔비디아·알파벳·테슬라 등 미국 대형 기술주 7종을 일컫는 시장 용어다.
향후 관전 포인트
시장 참가자들은 무역 협상 결과와 FOMC, 그리고 초대형 기술주 실적 발표를 주시하고 있다. 관세 인상 여부와 2분기 실적 호조가 동시에 증시를 지지하는 한편, 국채 공급 확대와 고금리 장기화 가능성은 위험요인으로 부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