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화 선물 가격이 주말을 앞둔 금요일 일제히 약세를 보였다. 대부분의 주요 만기에서 60~92포인트 하락했으며, 이번 주(주간 기준) 12월물은 총 192포인트 하락했다. 원자재 시장 전반의 위험회피 심리와 외환·에너지 변동성이 맞물리며 면화 가격에 부담으로 작용했다는 평가다.
2025년 11월 10일, 바차트(Barchart)의 보도에 따르면, 같은 날 원유 선물은 배럴당 0.39달러 하락해 59.82달러를 기록했고, 미국 달러 인덱스는 0.165포인트 하락해 99.420으로 마감했다. 일반적으로 원유와 달러 흐름은 농산물 선물과 상호 연동되는 경우가 많아, 해당 지표의 동반 약세는 면화 선물의 하락 압력을 키운 요인으로 해석된다.
The Seam의 목요일 온라인 경매에서는 총 2,261베일(bales)이 거래됐고, 파운드(lb)당 평균가격은 63.81센트로 집계됐다. 국제 면화 현물 지표인 Cotlook A Index는 11월 6일 기준 76.55센트로 변동이 없었다. 같은 날 ICE 인증 면화 재고(ICE certified cotton stocks)는 13,749베일로 보합을 유지했다. 한편, AWP(Adjusted World Price, 조정 세계가격)는 정부 셧다운으로 인해 업데이트가 계속 중단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안내: “하루도 놓치지 말라(Don’t Miss a Day).” 원유에서 커피까지, 바차트의 프리미엄 상품(커머디티) 분석 뉴스레터를 무료로 구독할 수 있다고 전했다. (Barchart Commodity Bulletin)
개별 만기 동향
• 2025년 12월물(Dec 25 Cotton)은 63.62에 마감하며 92포인트 하락했다. (참고: https://www.barchart.com/futures/quotes/ct*1/overview)
• 2026년 3월물(Mar 26 Cotton)은 65.14로 63포인트 하락했다. (참고: https://www.barchart.com/futures/quotes/ct*2/overview)
• 2026년 5월물(May 26 Cotton)은 66.35로 63포인트 하락했다. (참고: https://www.barchart.com/futures/quotes/CTZ24/overview)
세부 지표와 시장 맥락
The Seam 온라인 경매는 실제 현물 거래 성사 가격과 물량을 보여주는 지표로, 선물 가격의 방향성과 괴리를 점검하는 데 활용된다. 이번 경매에서 2,261베일이 파운드당 63.81센트에 체결된 점은, 선물가격 하락 국면에서도 현물 거래가 특정 가격대에서 성사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Cotlook A Index 76.55센트(11월 6일 기준) 보합은 국제 현물 벤치마크가 단기적으로 방향성을 탐색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ICE 인증 면화 재고(11월 6일 13,749베일)가 변동 없이 유지된 점은, 인도 리스크나 물류 차질과 무관하게 거래소 인도 가능 물량이 현재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단기 가격 급등을 제한하는 공급 안정 요인으로 시장이 인식하는 경우가 많다. 다만, 선물 가격은 재고 외에도 수요 기대, 통화 가치, 원유·곡물 등 타 커머디티의 크로스자산 변동성 등 복합 요인에 의해 좌우된다.
AWP(Adjusted World Price)는 일반적으로 면화 수출·정산에 참고되는 조정 세계가격 개념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현재 기사에 따르면 정부 셧다운으로 AWP 업데이트가 지속 중단된 상황이며, 이는 일부 시장 참여자에게 가격 기준점의 불확실성을 높이는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정책 변수로 인한 데이터 공백은 단기 거래 전략 수립 시 리스크 관리를 요구한다.
시장 해설: 달러·원유와 면화의 상호작용
바차트 보도에 따르면, 달러 인덱스가 99.420으로 0.165포인트 하락하고 원유 선물이 배럴당 59.82달러로 내려온 날, 면화 선물은 대부분 만기에서 60~92포인트 하락했다. 일반적으로 원유 가격 하락은 합성섬유(예: 폴리에스터)의 원가를 낮춰 면화의 상대 가격 매력을 약화시킬 수 있고, 달러 약세는 달러 표시 상품의 수출 가격 경쟁력 개선을 통해 농산물 가격에 상방 압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상반된 힘이 동시에 작용할 경우, 단기적으로는 기술적 수급과 헤지 물량에 따라 변동성이 확대되는 경향이 있다. 본 기사에서 제시된 수치들은 이러한 크로스자산 요인이 면화 가격 형성 과정에서 중요한 참고 변수가 됨을 방증한다.
주간 기준 12월물 192포인트 하락은 투자자 심리가 보수적으로 전환됐음을 시사한다. 다만, Cotlook A Index 보합과 ICE 인증 재고 보합이라는 조합은 기초 체력(펀더멘털)의 급변이 관찰되지 않는 구간에서 선물 시장 참여자의 포지션 조정이 가격 흐름을 주도했을 가능성을 내비친다. 단기적으로는 경매가격, 현물 프리미엄/디스카운트, 선물-현물 베이시스의 변화가 다음 주 초 가격 방향성에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클레이머 및 출처
기사에 따르면, 게재일 기준 Austin Schroeder는 본문에 언급된 어떤 종목에도 직·간접적 보유 포지션이 없었다. 이 기사에 포함된 모든 정보와 데이터는 오로지 정보 제공 목적이라고 밝혔다. 더 자세한 사항은 Barchart Disclosure Policy(https://www.barchart.com/terms#disclosure)를 참조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기사 말미에는 다음과 같은 고지가 포함됐다.
“본 문서에 담긴 견해와 의견은 전적으로 작성자의 것이며, 반드시 Nasdaq, Inc.의 견해를 반영하지는 않는다.”
관련 기사(바차트)
- 면화 가격은 얼마나 더 하락할까? (How Much Lower Will Cotton Prices Go?) — https://www.barchart.com/story/news/35986655/how-much-lower-will-cotton-prices-go
- 중국의 대두·밀 매수 재개로 곡물 강세장 복귀—다음은? (Grain Bulls Are Back in Business as China Resumes Soybean, Wheat Purchases. What Comes Next?) — https://www.barchart.com/story/news/35870807/grain-bulls-are-back-in-business-as-china-resumes-soybean-wheat-purchases-what-comes-next
- 중국의 미 밀 매수 의향—현재 밀 선물 투자전략은? (China Wants to Buy U.S. Wheat. How to Play Wheat Futures Now.) — https://www.barchart.com/story/news/35866042/china-wants-to-buy-u-s-wheat-how-to-play-wheat-futures-now
- 다가오는 미·중 회담이 만든 콩(대두) 강세 트레이드 (Upcoming U.S.-China Talks Create 1 Bullish Soybean Trade Here) — https://www.barchart.com/story/news/35730556/upcoming-u-s-china-talks-create-1-bullish-soybean-trade-here
용어 간단 정리
• Cotlook A Index: 국제 면화 현물 벤치마크 가운데 하나로, 글로벌 트레이드 가격 수준을 가늠하는 참고치로 널리 활용된다.
• ICE 인증 면화 재고: 거래소 인도가 가능한 상태로 인증된 면화 재고로, 단기 공급 여건을 반영하는 지표다.
• AWP(Adjusted World Price): 통상적으로 면화 거래·정산의 기준으로 참고되는 조정 세계가격으로 알려져 있으며, 정책·행정 이슈에 따라 공시 주기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 The Seam: 면화 현물 거래 관련 온라인 마켓플레이스·플랫폼으로, 실제 체결가격과 거래량이 시장의 미시적 신호로 인용되곤 한다.
종합하자면, 면화 선물은 금요일 대부분 만기에서 60~92포인트 하락했고, 12월물은 주간 192포인트 내림세를 보였다. 같은 날 원유 선물 59.82달러(-0.39달러), 달러 인덱스 99.420(-0.165포인트)가 확인됐으며, The Seam 경매는 2,261베일, 평균 63.81센트/파운드로 집계됐다. Cotlook A Index 76.55센트(11월 6일)와 ICE 인증 재고 13,749베일(11월 6일)은 변동이 없었고, 정부 셧다운으로 AWP 공시가 중단된 상황이 이어졌다. 거래자들은 단기적으로 현물-선물 스프레드, 기술적 지지·저항, 매크로 변수(달러·원유)의 추가 변화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