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세데스-벤츠 CEO, EU의 2035년 내연기관 판매 금지 방침에 ‘현실 점검’ 촉구

메르세데스-벤츠(OTC:MBGAF·ETR:MBG) 최고경영자 올라 켈레니우스(Ola Kaellenius)가 유럽연합(EU)이 추진 중인 ‘2035년 이산화탄소(CO₂) 배출 차량 판매 전면 금지’ 계획을 정면으로 비판했다. 그는 해당 규제가 자칫 유럽 자동차 시장을 ‘벽으로 몰아붙이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2025년 8월 11일, 인베스팅닷컴(Investing.com) 보도에 따르면, 켈레니우스 CEO는 독일 경제 일간지 한델스블라트(Handelsblatt)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현실 점검(Reality check)이 필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전속력으로 벽을 향해 달려가는 격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EU가 2035년부터 내연기관 차량(휘발유·디젤)을 전면 금지하면 유럽 자동차 시장이 ‘붕괴’(collapse)할 가능성을 우려했다. 켈레니우스는 규제 시행 직전 소비자들이 내연기관 차를 ‘패닉 바잉’(panic buying)할 것이라며, 한꺼번에 주문이 몰리면 시장이 왜곡되고 기업들의 투자 방향도 흔들릴 수 있다고 진단했다.


기술 중립·경제 균형 강조

켈레니우스 CEO는 현재 자신이 회장을 맡고 있는 유럽자동차제조협회(ACEA)1 대표 자격으로도 목소리를 냈다. 그는

탈탄소화(decarbonise)는 반드시 필요하지만, 기술 중립적인 방식으로 추진돼야 하며 경제적 현실을 외면해선 안 된다

라고 말했다.

그는 전기차(EV) 전환을 가속하기 위한 대안으로 ▲충전소 전력 요금 인하 ▲세제 인센티브(보조금) 확대 등을 제시했다. 이 같은 간접적 유도책이 소비자 수용성을 높여 ‘시장 기반 해법’을 마련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용어 해설

1 ACEA(Association des Constructeurs Européens d’Automobiles)는 BMW·스텔란티스·폭스바겐·볼보 등 유럽 주요 완성차 업체가 회원으로 가입한 업계 로비 단체다. EU 환경·산업 정책에 대해 회원사 공동의 입장을 조율하고, 각국 정부 및 규제 당국과 협상·자문 역할을 수행한다.

2035년 CO₂ 배출 차량 판매 금지는 EU가 2022년 합의한 녹색전환 패키지 ‘Fit for 55’의 핵심 조항이다. 자동차 제조사는 2035년부터 신차 중 내연기관 모델을 판매할 수 없으며, 배출량 ‘0’에 해당하는 전기차·수소연료전지차만 허용된다. 다만 2026년에 중간 검토를 거쳐 시행 세부사항이 조정될 가능성이 있다.


전문가 관점

EU의 2035년 규제는 기후변화 대응의 ‘분기점’으로 평가되지만, 충전 인프라 확충과 전력망 안정성·전기요금 부담 등 현안이 여전히 숙제로 남아 있다. 켈레니우스는 이러한 현실적 제약 조건을 지적하며, 일률적 규제 대신 다층적 인센티브 체계를 통해 소비자·기업·정부 간 균형을 맞춰야 한다고 제언했다.

현재 메르세데스-벤츠는 2030년까지 ‘가능한 한’ 전기차 전환을 완료한다는 자체 목표를 갖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켈레니우스가 EU 방침을 비판한 데는, 전기차 전환 속도와 소비자 수용성 간 간극이 크다는 판단이 깔려 있다. 업계에서는 배터리 원자재 공급망, 충전소 접근성, 전력 요금 등이 규제 성공 여부를 가르는 열쇠로 지목된다.

EU 집행위는 2026년 중간 검토를 통해 규제 타당성·시장 상황을 재평가할 예정이다. 그러나 자동차 제조사·부품사·에너지 기업·노동계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어, 앞으로도 치열한 정책 공방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결론 및 전망

메르세데스-벤츠 CEO의 발언은 단순히 한 기업인의 의견을 넘어, 유럽 자동차산업 전체의 전략적 고민을 대변한다. ‘기술 중립’ 원칙을 토대로, 내연기관 금지 시점·과도기 정책·민간 투자 촉진책 등이 재논의될지 주목된다. 동시에 탄소중립 목표 달성산업 경쟁력 유지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정책 조율이 불가피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번 발언이 향후 EU의 정책 수정 또는 보완 논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업계의 관심이 집중된다. 2035년 규제 검토 시점을 앞두고 각 이해집단의 전략적 발언·로비 활동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