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론 머스크가 이끄는 스타트업 xAI가 애플(Apple)의 앱스토어(App Store) 정책을 정면으로 비판하며 반독점(antitrust) 소송까지 불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2025년 8월 12일, CNBC 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머스크는 소셜미디어 X(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애플이 오픈AI(OpenAI)가 아닌 다른 어떤 인공지능(AI) 기업도 앱스토어 1위에 오를 수 없게 만드는 방식으로 행동하고 있다”면서 “이는 명백한 반독점 위반이며, xAI는 즉각적인 법적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머스크는 이어 올린 별도의 글에서 “세계 1위 뉴스 앱인 X와 전체 앱 순위 5위인 그록(Grok)을 애플이 ‘Must Have’(필수 앱) 섹션에 넣지 않는 이유가 무엇이냐. 정치적 판단을 하고 있는 것이냐”고 질의했다.*Must Have 섹션은 애플이 자체 선정해 홈 화면 상단에 노출하는 추천 영역을 의미한다.
“Apple is behaving in a manner that makes it impossible for any AI company besides OpenAI to reach #1 in the App Store, which is an unequivocal antitrust violation. xAI will take immediate legal action.” — Elon Musk, 2025년 8월 12일, X(구 트위터)
머스크의 이 같은 발언은 애플이 ‘앱 랭킹 조작’ 혹은 ‘추천 알고리즘 차별’로 경쟁사를 배제하고 있다는 의혹을 핵심으로 한다. 반독점법은 독점적 지위를 남용해 시장 경쟁을 저해하는 행위를 엄격히 금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애플이 앱스토어 운영 정책을 통해 OpenAI에만 유리한 환경을 조성했다면, 이는 미국 셔먼법(Sherman Act) 또는 클레이턴법(Clayton Act) 위반 여부가 쟁점이 될 수 있다.
용어 풀이 및 배경
반독점(antitrust)은 기업이 시장 지배력을 이용해 경쟁을 제한하지 못하도록 규제하는 법·제도다. 앱스토어 랭킹은 다운로드 수, 사용자 평가, 유지율 등을 종합해 결정되며, 상위 노출은 개발사 수익에 직결된다. 그록(Grok)은 xAI가 2024년 말 공개한 AI 챗봇으로, 인터넷 실시간 정보 접근이 특징이다.
전문가 관점
업계에서는 머스크의 공세가 애플에 대한 규제기관의 관심을 촉발할 수 있다고 본다.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와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이미 애플의 인앱결제 시스템과 앱스토어 수수료 구조를 조사해 왔다. 머스크의 소송 계획은 이러한 규제 기조에 힘을 보태거나, 그 반대급부로 애플이 xAI 및 X와의 협상에 나서도록 압박하는 전략적 카드로 풀이된다.
한편, 애플은 머스크의 구체적 주장에 대한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시장 관계자들은 애플이 자사 플랫폼의 ‘프라이버시·보안 정책’을 근거로 선별적 추천을 정당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이번 사안은 단순한 앱스토어 순위 갈등을 넘어, AI 생태계 주도권을 둘러싼 빅테크 간 힘겨루기로도 해석된다. 머스크의 xAI와 오픈AI는 모두 초거대 언어모델(LLM) 분야에서 경쟁 중이며, 애플은 WWDC 2025에서 iOS에 생성형 AI 기능을 본격 탑재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머스크는 과거에도 ‘30% 인앱결제 수수료’ 문제로 애플·구글에 공개 비판을 가한 전례가 있다. 따라서 이번 발언은 단발성 경고라기보다, 플랫폼 수수료·추천 시스템 등 전반적 생태계 문제를 겨냥한 장기전의 서막이 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현재로서는 머스크가 언제, 어떤 관할 법원에 소송을 제기할지 구체적 일정은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그는 ‘즉각적(immediate)’이라는 표현을 사용해 조만간 법적 절차에 착수할 뜻을 강하게 내비쳤다.
Breaking News 구분으로 공개된 이번 보도는 업데이트될 가능성이 높다. 애플 측 공식 반응이나 소송 제기 여부 등 추후 상황에 따라 시장의 관심이 집중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