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파’ 연준 발언에 달러 1.5주 만에 최고치

달러화 강세가 다시 고개를 들었다. 22일(현지시간) 달러지수(DXY00)는 전일 대비 +0.41% 상승해 1.5주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주요 인사들의 ‘매파적(hawkish)’ 발언이 투자심리를 자극했다.

2025년 8월 22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1) 칸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의 제프리 슈미드 총재는 “인플레이션 위험이 노동시장 위험보다 다소 크다”며 “완만하게 제약적인 통화정책(modestly restrictive monetary policy)이 여전히 적절하다“고 밝혔다. 이어 클리블랜드 연은의 베스 해맥 총재도 “내일이 FOMC 회의라면 금리 인하를 지지할 근거를 찾지 못하겠다”고 못 박았다.

美 경제지표 ‘엇갈림’… 달러엔 힘, 노동지표엔 제동

같은 날 발표된 미국 8월 S&P 제조업 PMI는 전월 대비 4.5p 급등한 53.3으로 3년 만의 최고치를 찍으며 경기 확장 국면을 시사했다. 7월 기존주택 판매도 전월 대비 +2.0% 늘어난 401만 건을 기록해 예상치(392만 건 감소)를 뒤집었다. 반면,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전주보다 +1만1000건 증가한 23만5000건으로 두 달 만에 최고치를 나타냈고, 계속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3만 건 늘어난 197만2000건으로 3년 9개월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너무 높고 지난 1년 간 상승세를 보였다.” — 베스 해맥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

시장에서는 연준의 독립성에도 불안이 번졌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모기지 의혹과 관련해 리사 쿡 연준 이사의 사퇴를 촉구하면서다.

금리선물·채권·주식시장 반응

연방기금(FF) 금리 선물은 9월 16~17일 FOMC에서 25bp(0.25%p) 인하 가능성을 72%로, 10월 28~29일 회의에서 두 번째 25bp 인하 가능성을 49%로 반영하고 있다. 하지만 해맥·슈미드 총재의 발언 이후 시장은 “연준이 서둘러 금리를 내리지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에 무게를 실었다.

해설: ‘매파’란 물가 안정과 인플레이션 억제를 최우선 과제로 삼아 통화긴축(금리 인상·유동성 축소)을 선호하는 정책 기조를 뜻한다. 반대로 통화완화를 선호하는 입장을 ‘비둘기파(dovish)’라 부른다. 또한 PMI(Purchasing Managers’ Index)는 제조업·서비스업 구매관리자를 대상으로 경기 동향을 조사한 지표로, 50을 넘으면 경기 확장, 50 미만이면 위축을 의미한다.


유로·엔, 달러 강세에 약세 전환

같은 날 유로/달러(EUR/USD)는 -0.36% 내려 1주 내 최저치를 기록했다. 유로존 8월 소비자신뢰지수가 예상보다 큰 폭(-15.5)으로 악화된 데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우려까지 겹쳐 약세 압력이 심화됐다. 유로존 제조업 PMI(50.5)와 합성 PMI(51.1)가 모두 3년·15개월 만의 최고치를 찍었음에도 달러 강세를 막기엔 역부족이었다.

엔/달러(USD/JPY)는 +0.71% 상승(엔화 약세)해 1주 만의 최저치(엔 기준)를 나타냈다. 미국 국채금리 상승과 미·일 무역분쟁(관세 인상)의 성장 둔화 우려가 엔화를 짓눌렀다. 다만 일본 8월 제조업 PMI가 49.9로 전월보다 상승하며 ‘제조업 침체 완화’ 신호를 보낸 점은 제한적 버팀목이 됐다.

원자재·귀금속 혼조… 금 약세·은 강세

12월물 금 선물(GCZ2)은 -0.20%(-6.90달러) 하락한 반면, 9월물 은 선물(SIU2)은 +0.81%(+0.306달러) 상승 마감했다. 달러지수 상승글로벌 국채금리 상승이 금 가격을 짓눌렀지만, 노동시장 냉각 징후와 연준 독립성 논란은 안전자산 수요를 일부 방어했다. 은 가격은 미국·유로존 제조업 PMI 개선으로 산업적 수요 기대가 부각되며 강세를 탔다.

전문가 시각: 최근 연준 내 매파적 발언 확대는 ‘9월 동결·연내 인하’ 시나리오를 약화시키고 있다. 노동시장이 둔화 조짐을 보이지만, 제조업·주택지표 반등과 물가 재상승 리스크가 동시에 존재해 정책 불확실성이 커졌다는 점이 핵심이다. 달러는 이러한 불확실성 속에서 유동성 피난처로서 매력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달러지수 차트

1) 기사의 모든 수치·발언은 2025년 8월 22일 기준 원문(Barchart)을 그대로 옮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