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화가 다시 강세를 보였다. 22일(현지시간) 뉴욕 외환시장에서 달러지수(DXY)는 전장 대비 0.41% 상승하며 1.5주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매파(통화 긴축 선호)적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고위 인사들의 발언이 투자 심리를 자극한 영향이 컸다.
2025년 8월 22일, 나스닥닷컴(barchart.com) 보도에 따르면 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의 제프리 슈미트 총재는 “인플레이션 위험이 여전히 노동시장 위험보다 크다”면서 “다소 제약적인(monestly restrictive) 통화정책이 적절하다”고 말했다. 이어 클리블랜드 연은의 베스 해맥 총재도 “내일 FOMC가 열린다면 금리 인하를 지지할 근거가 없다”고 못 박았다.
경기 지표 호조도 달러 강세를 뒷받침했다. 8월 S&P 글로벌 제조업 PMI 예비치는 53.3으로 시장 예상치(49.7)을 크게 웃돌며 3년 내 최고치를 기록했다. 7월 기존주택 판매도 전월 대비 2.0% 증가한 401만 건으로, 감소를 예상한 컨센서스를 뒤엎었다. 주식시장이 약세를 보이자 달러의 유동성 선호 수요도 동반 확대됐다.
다만 노동시장 둔화 신호는 달러를 일부 압박했다.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전주보다 1만1,000건 급증한 23만5,000건으로 두 달 만의 최고치였다. 계속 실업수당 청구 건수도 3.75년 만에 가장 높은 197만2,000건으로 늘어나 재취업 장벽이 높아졌음을 시사했다.
유로화는 약세를 면치 못했다. EUR/USD 환율은 0.36% 하락하며 1주 최저 수준까지 밀렸는데, 달러 강세 외에도 유로존 8월 소비자신뢰지수가 -15.5로 예상보다 크게 떨어져 4개월 만의 저점을 찍은 점이 부담으로 작용했다. 반면 같은 달 유로존 제조업 PMI는 50.5로 3년 내 최고, 합성 PMI도 51.1로 15개월 만의 고점을 기록해 경기 회복 기대를 일부 지지했다.
※PMI(구매관리자지수)는 50을 기준으로 경기 확장·위축을 가늠하는 지표다. 50 이상이면 경기 확장을, 50 이하이면 위축을 의미한다.
미·러·우크라이나 지정학 리스크도 환율 움직임에 영향을 주고 있다. 미국 부통령 밴스는 러시아-우크라이나 평화협상에서 안보 보장과 영토 문제가 핵심 쟁점이라며, 미국이 푸틴-젤렌스키 회담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엔화 약세도 두드러졌다. USD/JPY는 0.71% 올라 1주 최고치에 근접했다. 달러 강세와 미 국채금리 상승 탓이다. 일본 8월 S&P 제조업 PMI가 1.0포인트 오른 49.9를 기록하며 아직 수축 국면(50 미만)에 머물렀지만 개선된 점은 긍정적이었다.
금·은 가격은 혼조였다. 12월물 금 선물은 온스당 6.90달러(0.20%) 하락했으나 9월물 은 선물은 0.306달러(0.81%) 상승했다. 달러 강세와 글로벌 금리 상승이 금 가격을 억눌렀지만, 정치적 불확실성과 안전자산 수요가 하방을 방어했다.
특히 전날 전직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가 연준 이사 리사 쿡의 사임을 요구하면서 연준 독립성 논란이 불거져, 금·은 시장에 위험회피 수요가 유입됐다. 또한 금·은 상장지수펀드(ETF) 보유량이 각각 2년·3년 최고치를 기록해 펀드 매수세도 이어지고 있다.
연준•ECB 금리 전망
연방기금선물(Fed Fund Futures)은 9월 16~17일 FOMC에서 25bp 금리 인하 가능성을 72%로, 10월 28~29일 회의에서 추가 인하 가능성을 49%로 반영하고 있다. 반면, 유럽중앙은행(ECB) 금리선물은 9월 11일 정책회의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3%에 그쳐 사실상 동결을 시사한다.
전문가 시각
시장 참여자들은 “서비스 부문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높아 연준이 조기 완화에 나서기 어렵다”는 데 의견이 모인다. 다만 실업수당 지표처럼 노동시장 균열이 확대될 경우 매파적 기조가 흔들릴 수 있다는 경계감도 존재한다. 유로존은 제조업 PMI 회복세가 확인된 만큼, 물가와 성장 간 균형을 둘러싼 ECB 내부 논쟁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인플레이션이 목표 범위를 웃도는 한, 급격한 금리 인하는 시기상조다. 그러나 고용지표가 본격적으로 악화된다면 통화정책 방향도 재조정될 것이다.” — 한 글로벌 채권운용사 매니저
용어 설명
• 매파(Hawkish): 물가 안정에 방점을 두고 금리 인상 등 긴축을 선호하는 통화정책 성향.
• 비둘기파(Dovish): 경기 부양을 위해 완화적 정책을 선호하는 성향.
• 달러 인덱스(DXY):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지수로, 유로 비중이 약 58%로 가장 크다.
본 기사는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특정 자산에 대한 투자 권유가 아님을 밝힌다. 원문 작성자 리치 애스플런드(Rich Asplund)는 기사에 언급된 증권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