룰라 대통령 “보복관세 서두르지 않는다…미국과 협상 우선”

브라질·미국 무역 긴장이 다시 고조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브라질산 일부 상품에 대해 50% 고율 관세를 부과하자, 브라질 정부도 맞대응 카드를 검토하고 있지만 즉각적 보복에는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n\n

2025년 8월 29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브라질 대통령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Luiz Inacio Lula da Silva)는 이날 이타티아이아(Itatiaia)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에도 우리가 취할 수 있는 조치가 있지만, 나는 서두르지 않겠다”면서 “내가 원하는 것은 협상”이라고 밝혔다.

주목

\n\n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브라질산 철강·알루미늄·농산물을 중심으로 최대 50%의 추가 관세를 발표했다. 이는 ‘자국 산업 보호’를 내세운 미 행정부의 일방적 조치로, 브라질 수출업계에는 막대한 비용 부담이 예상된다.

\n\n

이에 대해 브라질 외교부는 대외무역위원회(Camex)‘상호주의 법(Lei de Retaliação)’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라고 공식 지시했다. 상호주의 법은 외국이 브라질 제품에 차별적 조치를 취할 경우 동일 수준의 관세·비관세 장벽을 부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국내법이다. 그러나 룰라 대통령은 “법적 절차 자체가 시간이 걸린다”며 일단 협상에 방점을 찍었다.

주목

\n\n

무역 보복 절차는 왜 시간이 걸리나?

\n\n

브라질의 관세 보복은 Camex가 시장 영향, 물가 상승, 고용 효과 등을 종합 분석한 뒤, 경제부·외교부·농축산부 등 7개 부처 간 합의로 최종 결정된다. 이 과정은 통상 45~90일이 소요된다.

충동적인 대응은 브라질 소비자에게도 비용을 전가할 수 있다”는 점이 정부 내부의 핵심 우려라고 외교부 고위 관계자는 전했다.

\n\n

전문가 시각 – 협상이냐 보복이냐

\n\n

브라질 상공회의소(CNI) 무역정책국장 파울루 로샤는 “50% 관세미국과 브라질 양국 교역 구조를 근본적으로 흔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 다만 그는 “철강·알루미늄 수출 비중이 전체 대미 수출에서 약 7% 정도”라며 “경제 전반이 붕괴할 수준은 아니지만 특정 지역의 고용 타격은 불가피하다”고 분석했다.

\n\n

한편 상파울루 파이낸스연구소(FGV) 무역·국제정치학 교수 마리아 카르발류는 “WTO(세계무역기구) 제소도 고려할 수 있지만, 판정까지 최소 2~3년이 걸린다”며 “결국 양자협상이 가장 현실적 대안”이라고 전망했다.

\n\n

용어 해설

\n\n

• Camex(카멕스) — ‘Câmara de Comércio Exterior’의 약자로, 브라질 대외무역 정책을 총괄·조정하는 정부 합동기구다.
• 상호주의 법 — 외국이 브라질에 부당한 관세를 부과할 경우,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관세를 보복 부과할 수 있도록 한 국내 경제법령이다.
• 50% 관세최종 가격이 50% 인상되는 효과를 의미하며, 미국 세관 신고가 기준 가격에 일률 적용된다.

\n\n

향후 시나리오

\n\n

룰라 대통령은 인터뷰를 통해 “대화가 결렬될 경우라면 법적·행정적 절차를 모두 동원하겠다”고 언급했다. 정부는 단기적으로 미 상무부·USTR(무역대표부)와의 채널을 가동해 ‘관세율 인하 또는 제외 품목 확대’를 협상할 계획이다. 중장기적으로는 EU, 중국, 중동 등 대체 시장 다변화 방안도 병행 검토 중이다.

\n\n

국내 산업계 역시 위기 대응에 나섰다. 브라질 철강협회(Aço Brasil)는 “투자 축소·감산·고용조정 등 비상계획을 마련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고, 농업연맹(CNA)은 “미국 시장 의존도를 20% 이하로 줄이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n\n


\n\n

본 기사는 AI 어시스턴트가 자동 작성한 뒤, 편집자의 검수를 거쳐 게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