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10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선물은 전 거래일 대비 0.32달러(+0.51%) 오른 배럴당 63.45달러*가격 예시, 원문 수치 그대로 유지에 마감했다. 같은 달물 RBOB 가솔린 선물도 0.0061달러(+0.31%) 상승한 갤런당 1.9829달러에 장을 마쳤다.
2025년 9월 12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이날 원유·가솔린 가격 상승은 러시아산 원유 수출 감소 가능성에 따른 공급 우려가 직접적인 배경으로 작용했다. 미국 정부는 주요 7개국(G7) 동맹국에 대해 중국과 인도가 러시아산 원유를 구매할 때 최대 100% 관세를 부과하자고 제안했다. 이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을 종식하도록 압박하려는 조치다.
여기에 최근 우크라이나 드론 공격으로 러시아 발트해 원유 수출 허브의 인프라가 손상돼 물량 차질 가능성이 부각됐다. 동시에 S&P 500 지수는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경기 전망에 대한 투자심리를 개선, 에너지 수요 기대를 높였다. 이러한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유가를 지지했다.
러시아발 공급 리스크 확대
미국 정부뿐 아니라 국제사회 전반에서 대(對)러시아 제재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에 대한 인내심이 빠르게 소진되고 있다”고 경고하며 추가 경제 제재를 시사했다. 시장에서는 이 같은 발언을 러시아 에너지 수출 통제 강화 신호로 해석하고 있다.
실제로 우크라이나 드론·미사일 공격 이후 러시아 정유공장의 원유 가공량은 8월 첫 27일 동안 하루 평균 509만 배럴에 그쳤다. 이는 3년 3개월 만에 최저치다. 공급 차질이 본격화될 경우 글로벌 원유 수급 밸런스가 더 빠르게 타이트해질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원자재 시장을 억누르는 역풍
상승 요인에도 불구하고 이날 달러화 강세는 유가 상승폭을 제한했다. 달러가치가 오르면 달러 표시 원자재가 상대적으로 비싸져 수요가 위축되는 경향이 있다. 여기에 미시간대 9월 소비심리지수가 55.4로 4개월 만에 최저치로 떨어지며 경기 둔화 우려도 일부 작용했다.
지정학적 위험이 확대되는 점도 주목된다. 9월 10일 폴란드는 자국 영공을 침범한 러시아 드론을 격추했다. 또한 9월 9일 이스라엘은 카타르 도하에서 하마스 고위 지도부를 겨냥한 공습을 단행했다. 중동은 전 세계 원유 공급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지역으로, 갈등 확산 시 유가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
OPEC+ 증산 규모, 기대치 밑돌아
지난 9월 7일 OPEC+는 10월부터 하루 13만 7000배럴만 증산하기로 합의했다. 이는 8, 9월 두 달간 늘렸던 54만 7000배럴 대비 크게 축소된 규모다. OPEC+는 현재 가동을 중단 중인 166만 배럴의 추가 생산은 “시장 상황을 지켜보면서 점진적으로 재개하겠다”고 밝혔다.
반면 국제에너지기구(IEA)는 9월 11일 보고서에서 2026년 세계 원유 초과공급 전망치를 하루 333만 배럴로 직전 전망 대비 36만 배럴 상향했다. 이는 OPEC+의 단계적 증산 계획을 반영한 것이다.
수요 신호 혼재…사우디·재고·리그 카운트
수요 둔화를 암시하는 지표도 나왔다. 9월 8일 사우디아라비아 국영석유회사 아람코는 10월 아시아 수출 물량의 공식판매가격(OSP)을 배럴당 1달러 인하했다. 시장 예상치였던 0.5달러 인하를 웃도는 폭이다.
해상 저장유 증가도 부정적이다. 선박 물류 분석업체 Vortexa에 따르면 9월 5일 기준 7일 이상 정박해 있는 유조선의 원유 재고는 한 주 사이 6.8% 늘어난 7769만 배럴을 기록했다.
EIA 주간 보고 및 미국 생산·설비 동향
미 에너지정보청(EIA)이 9월 10일 발표한 주간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원유 재고는 계절 평균 대비 3.2% 적었다. 휘발유 재고는 0.6%, 디젤·중유 재고는 10.4% 각각 낮았다. 같은 기간 미국 원유 생산은 주당 0.5% 늘어난 하루 1349만 5000배럴로, 2024년 12월 초 기록한 사상 최대치(1363만 1000배럴)에 근접했다.
베이커휴스(Baker Hughes)는 9월 12일 주간 미국 내 가동 중인 원유 시추기가 2기 증가한 416기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8월 1일 기록한 4년래 최저치인 410기를 소폭 상회하는 수준이다. 2022년 12월 627기에서 2년 반 만에 큰 폭으로 감소했다.
용어 풀이 및 시장 전망기자 해설
WTI는 미국 텍사스 중·서부산 원유로, 국제유가의 기준이 되는 선물 상품이다. RBOB는 Reformulated Blendstock for Oxygenate Blending의 약자로, 친환경 첨가제가 포함된 가솔린 선물을 가리킨다. bpd(barrels per day)는 하루 평균 배럴 단위 생산·소비량을 의미한다. 이 세 지표는 에너지 시장 참가자들이 수급 상황을 가늠할 때 핵심적으로 확인하는 데이터다.
종합적으로 볼 때, 러시아발 공급 차질과 지정학적 긴장이 당분간 유가의 하방을 방어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달러 강세, 사우디 가격 인하, 해상 재고 증가 등 수요 부진 신호가 뚜렷해지면 단기 조정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투자자들은 OPEC+의 실제 공급 정책과 미국·중국 경기 지표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