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3대 지수가 14일(현지시간) 뜨거운 생산자물가지수(PPI) 충격에도 불구하고 소폭 등락을 보이며 혼조세로 거래를 마쳤다. S&P500지수는 0.09% 상승했고,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0.02% 하락했으며, 나스닥100지수는 보합으로 마감했다. 선물시장에서도 9월물 S&P500 E-미니는 0.08% 내렸고, 9월물 나스닥 E-미니는 0.24% 하락했다.
2025년 8월 14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강한 PPI 지표와 10년 만기 미 국채 금리 5bp 상승이 장 초반 부담으로 작용했으나, 장중 매수세가 유입되며 지수는 낙폭을 대부분 회복했다. 여기에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 총재와 알베르토 무사렘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가 같은 날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50bp(0.50%p) 금리 인하는 과도하다
고 선을 그은 점도 투자심리를 제한했다.
다만 시장은 15일 예정된 트럼프–푸틴 정상회담을 앞두고 경계감을 유지했다. 정상회담은 동부시간 오후 3시 30분 시작되며, 종료 직후 공동 기자회견이 예고돼 있다.
● PPI ‘깜짝’ 급등…연준 완화 기대 후퇴
7월 미국 최종수요 PPI는 전월 대비 0.9%, 전년 대비 3.3% 급등해 시장 예상치(각각 0.2%, 2.5%)를 큰 폭으로 상회했다.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 PPI 역시 전월 대비 0.9%, 전년 대비 3.7%로 컨센서스를 웃돌았다.
이에 따라 연방기금(FF) 선물시장에서 9월 50bp 인하 가능성은 0%로 축소됐으며, 25bp 인하 확률은 93%로 집계됐다. 이는 7월 고용 부진과 8월 12일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 전 40% 수준과 비교하면 여전히 완화적이지만, 전일 일시적으로 부각됐던 50bp 인하 기대는 사실상 소멸한 셈이다.
● 노동시장·미국 정부 발언
주간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는 3천 명 감소한 22만4천 건으로 예상치(22만5천 건)에 부합했고, 계속 청구건수는 1만5천 건 줄어든 195만3천 건으로 집계됐다. 노동시장이 여전히 견조함을 시사한다.
이날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는 전날 금리 150~175bp 인하 필요성을 언급한 발언을 일부 수정하며 “연준에 지시하려는 의도가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그는 중립금리가 과거보다 낮아졌다는 견해를 재차 강조했다.
● 관세 관련 변수
무역 측면에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12일 중국과의 관세 휴전(90일 연장)을 선언한 뒤, 지난주 반도체 수입에 100% 세율을 부과하겠다고 예고했다. 또한 인도산 수입품에는 러시아산 원유 구매를 이유로 관세를 25%→50%로 인상한다고 밝혔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이러한 조치가 시행되면 미국의 평균 수입관세율이 2024년 2.3%→2025년 15.2%로 급등할 것으로 추정했다.
● 금리·채권 시장 동향
9월물 10년 만기 국채선물(ZN)은 10.5틱 하락했고, 현물 10년물 금리는 4.287%로 5.4bp 상승했다. 유럽도 독일 10년물 2.712%(+3.2bp), 영국 10년물 4.641%(+5.1bp)로 동반 상승했다.
ECB 금리선물은 9월 회의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7%만 반영했다.
● 해외·섹터별 증시 흐름
유럽 Euro Stoxx 50 지수는 0.86% 상승했고,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장중 3년 9개월 만의 고점을 찍은 뒤 0.46% 하락 마감했다. 일본 니케이225는 사상 최고치 근접 후 1.45% 밀렸다.
미국 대형기술주 ‘매그니피센트 세븐’ 가운데 아마존 +2.9%, 테슬라 –1.1%로 희비가 엇갈렸다. 반도체주도 혼조였는데, 인텔 +7.4% 급등이 돋보였고 AMD·글로벌파운드리즈 등은 1% 이상 하락했다.
비트코인 가격이 –4% 급락하며 코인베이스 –0.7%, 마이크로스트래티지 –4.4% 등 가상자산 관련주가 동반 하락했다. 반면 라이엇 플랫폼스는 +5.7% 역주행했다.
이 밖에 시스코시스템즈 –1.5%는 보수적 실적 가이던스가, 디어 –6.8%는 농가 설비 투자 둔화 우려가 주가를 끌어내렸다. 반면 다우 +2%는 뱅크오브아메리카의 투자의견 상향, CVS헬스 +2.4%는 구조조정 진전에 따른 투자심리 개선이 주가를 지지했다.
● 향후 일정·전망
시장 참여자는 이번 주 후반 7월 소매판매(+0.6% m/m 예상), 7월 산업생산·제조업생산(각 0.0% m/m 예상), 미시간대 소비심리지수(62.0 예상)에 주목하고 있다. 연준이 9월 회의에서 25bp 인하를 단행할 가능성은 93%, 10월 추가 인하 가능성은 53%로 가격에 반영돼 있다.
한편,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S&P500 기업의 2분기 순이익은 9.1% 증가가 예상된다. 82%의 기업이 실적 발표를 마쳤으며, 그중 약 82%가 시장 전망을 웃돌았다.
● 용어·지표 해설
PPI(Producer Price Index)는 생산 단계에서의 물가변동을 측정하는 지표로, 일반 소비자물가지수(CPI)보다 선행성이 높다. 제조업체가 투입 원가 상승분을 소비자 가격으로 전가할 가능성을 가늠할 수 있어 인플레이션 선행지표로 평가된다.
FF 금리선물은 연방기금금리의 향후 경로에 대한 시장 기대를 반영하며, 파생상품 가격 변동을 통해 연준의 정책금리 결정 가능성을 확률 형태로 추정한다.
이처럼 물가 지표와 금리 선물시장의 변화는 주식·채권·외환 등 전 자산군에 동시다발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단일 경제지표 발표 후에도 복합적 리스크 요인을 종합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
“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 9월 FOMC 전까지는 경기지표 변동성에 따른 가격 소용돌이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한다. 특히 관세 정책과 지정학 리스크가 결합되는 구간에서 안전자산 선호가 강화될 수 있다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
이상으로 글로벌 증시 2025년 8월 14일 마감동향을 정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