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증시 마감 동향】
미국 현지시간 14일(목) 뉴욕증권거래소에서 S&P 500 지수는 전장 대비 ‑0.24% 하락했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36%, 나스닥 100 지수는 ‑0.11% 떨어졌다. 같은 시각 9월물 E-미니 S&P 500 선물은 ‑0.39%,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0.30% 내렸다.
2025년 8월 14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이날 장중 매도 압력은 두 가지 요인이 결합해 발생했다. 첫째, 7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시장 예상치를 크게 웃돈 점이다. 둘째, 미국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이 3bp 상승해 4.262%를 기록하면서 주식 밸류에이션 부담이 커졌다.
■ PPI 쇼크와 금리 인하 기대 후퇴
7월 PPI(최종수요 기준)는 전월 대비 +0.9%, 전년 동월 대비 +3.3%를 기록해 컨센서스(+0.2%·+2.5%)를 훨씬 상회했다.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 PPI 또한 +0.9% m/m, +3.7% y/y로 예상치(+0.2%·+3.0%)를 한참 웃돌았다. PPI는 기업단계에서 형성되는 도매물가를 뜻하며, 통상 1~2개월 뒤 소비자물가(CPI)에 반영돼 선행 인플레이션 지표로 활용된다.
보고서 발표 직후 연방기금선물(FF) 시장에서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50bp(0.50%p) 인하 가능성은 0%로 축소됐고, 25bp 인하 확률은 93%로 집계됐다. 이는 전날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Scott Bessent의 비둘기파적 발언(“금리가 150~175bp 낮아야 한다”) 이후 11%까지 올랐던 50bp 기대가 완전히 사라진 셈이다.
■ 연준·정부 인사 발언 엇갈려
샌프란시스코 연은 메리 데일리 총재는 “노동시장이 급박하지 않아 9월 50bp 인하는 지지하지 않는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말했다.
그럼에도 그는 “올해 두 차례 인하를 기본으로 보지만, 고용이 급격히 둔화하면 세 번도 가능하다”고 여지를 남겼다.
전날 ‘9월 50bp 인하’ 가능성을 언급해 시장을 놀라게 한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이날 폭스비즈니스 인터뷰에서 “연준에 지시한 것이 아니며 여러 모델이 중립금리가 더 낮음을 시사한다는 뜻이었다”고 진화에 나섰다. 다만 어떤 모델인지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 노동지표·실적·해외시장
같은 날 발표된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22만4천 건으로 전주 대비 3천 건 감소해 전망치(22만5천 건)에 부합했다. 계속 실업수당 청구는 195만3천 건으로 예상치(196만7천 건)보다 적어 고용시장이 견조함을 시사했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S&P500 기업의 2분기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9.1% 증가해 어닝시즌 개막 전 예상치(+2.8%)를 크게 상회했다. 전체 기업의 82%가 시장 기대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했다.
유럽 시장에서 유로스톡스50 지수는 +0.29% 상승했으나,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최근 3년 9개월 만의 고점 터치 후 ‑0.46%로 마감했다. 일본 닛케이225 지수는 사상 최고치 경신 하루 만에 ‑1.45% 하락했다.
■ 채권·금리 동향
시카고상품거래소(CME) 9월물 10년 만기 미 국채선물은 6틱 하락했다. 10년 물가연동채(BEI) 기대 인플레이션율도 1bp 올라 2.386%를 기록했다. 독일 10년물 국채금리는 2.703%(+2.3bp), 영국 10년물 길트금리는 4.618%(+2.9bp)로 동반 상승했다.
한편, 유럽중앙은행(ECB) 통화스와프 시장은 9월 회의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7%만 반영하고 있다.
■ 종목별 움직임
‘매그니피센트 7’ 가운데 테슬라(TSLA)는 ‑1% 이상 약세였지만, 아마존(AMZN)은 +2% 넘게 상승했다. 반면 어제 급등했던 반도체주는 차익실현 매물로 하락세를 보였다. ON세미콘덕터·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얼라인테크놀로지·NXP반도체 등은 2% 이상 밀렸다.
시스코시스템즈(CSCO)는 보수적인 연간 가이던스 탓에 ‑1%대를 기록했고, 디어(DE)는 농가 설비투자 둔화와 관세 불확실성으로 연간 순익 전망을 소폭 하향 조정하면서 6% 이상 급락했다. CVS헬스(CVS)는 ‘턴어라운드에 대한 신뢰’라는 이유로 베어드가 투자의견을 ‘시장수익률’→‘비중확대’로 상향 조정하며 약 +1% 상승했다.
■ 주목할 예정 이벤트
이번 주 남은 일정은 트럼프-푸틴 정상회담 결과와 무역·관세 관련 추가 뉴스에 집중된다. 15일 발표되는 7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6%(자동차 제외 +0.3%)가 예상된다. 같은 날 산업생산·제조업 생산은 전월 대비 ‘변동 없음’이 컨센서스이며, 미시간대 8월 소비자태도지수는 62.0(+0.3포인트)이 예상된다.
■ 용어 한눈에 보기
- PPI(Producer Price Index): 생산 단계의 도매물가를 측정하는 지표로, 소비자물가보다 선행성이 높다.
- bp(베이시스포인트): 금리·수익률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0.01%p 단위.
- E-미니 선물: S&P 500, 나스닥 등을 추종하는 소형 규모의 지수선물 계약.
■ 애프터마켓·실적 발표 캘린더
8월 14일(현지) 실적 예정 기업으로는 Deere & Co, Amcor, Tapestry, Applied Materials, Birkenstock, QXO, Sandisk, Globant, NU Holdings 등이 있다.
본 기사를 작성한 리치 애스플런드(Rich Asplund)는 기사 작성 시점에 언급된 개별 종목에 직접적‧간접적 투자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 본 문서는 정보 제공만을 목적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