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거운 PPI 발표에도 뉴욕증시 혼조 마감…연준 완화 기대는 후퇴

■ 뉴욕증시 마감 동향

뉴욕증시가 14일(현지시간) 혼조세로 거래를 마쳤다. S&P500 지수0.09% 상승하며 사상 최고치 부근을 유지했고,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0.02% 하락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100 지수는 보합권에 머물렀다. 같은 날 장 마감 이후 거래되는 9월물 E-미니 S&P 선물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각각 0.08%, 0.24% 내렸다.

2025년 8월 15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시장은 장 초반 뜨거운 PPI(Producer Price Index·생산자물가지수) 발표와 10년 만기 미 국채금리 5bp(0.05%p) 상승으로 압박을 받았으나, 이후 낙폭을 축소하며 혼조세로 마감했다. 특히 샌프란시스코 연은 메리 데일리 총재와 세인트루이스 연은 알베르토 무살렘 총재가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50bp 인하할 가능성을 일축하면서 완화 기대가 크게 꺾였다.

PPI와 CPI는 무엇이 다른가?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최종 소비 단계의 물가를 측정한다면, PPI는 기업의 도매·공급단계 물가를 보여주는 지표다. 통상 PPI가 상승하면 기업이 부담한 생산비용이 소비자 가격으로 전가될 가능성이 커져 향후 물가상승압력으로 이어진다. * 1bp(베이시스포인트)는 0.01%p를 뜻한다.


■ 핵심 경제지표: 7월 PPI 세부 내역

미 노동부가 발표한 7월 최종수요 PPI는 전월 대비 0.9%, 전년 대비 3.3% 상승해 시장 예상치(+0.2%·+2.5%)를 큰 폭 상회했다. 식품·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PPI전월 대비 0.9%, 전년 대비 3.7%로 전망(+0.2%·+3.0%)을 웃돌았다. 시장은 이 같은 결과를 두고 “

관세 부담이 예상보다 빠르게 기업 가격에 반영되고 있다

“고 해석했다.

이에 따라 연준의 통화완화 기대는 급격히 후퇴했다. 금리 선물시장은 9월 FOMC에서 25bp 인하 확률 93%, 50bp 인하 확률 0%로 반영했다. 이는 8월 1일 부진한 고용지표 발표 전 40%에 불과했던 25bp 인하 기대가 크게 높아진 것이다.


■ 연준 인사·재무부 발언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는 월스트리트저널(WSJ) 인터뷰에서 “노동시장이 견조한 상황에서 50bp 인하는 과도한 긴급신호를 줄 것”이라며 올해 2차례, 필요하면 3차례 인하 가능성을 언급했다. 알베르토 무살렘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도 “현 경제 여건상 50bp 인하는 정당화되기 어렵다”고 밝혔다.

전날 공격적인 인하를 시사했던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이날 폭스비즈니스 인터뷰에서 “연준에 지침을 준 것은 아니다”라며 한발 물러섰다. 그는 다만 “중립금리가 과거보다 낮다는 점을 강조하려 했다”고 해명했다.


■ 무역·관세 이슈

무역전선도 시장 변동성을 높였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12일 중국과 90일 관세 휴전을 연장했고, 13일에는 반도체 수입품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제조시설을 미국에 짓겠다는 계획을 제출하면 예외를 인정하되, 반도체를 활용한 전자제품에는 별도 세금을 부과할 방침이다. 또한 인도산 수입품 관세를 러시아산 원유 구매를 이유로 두 배(25%→50%)로 올리겠다고 발표했다.

관세 영향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모든 조치가 실행될 경우 미국의 평균 관세율이 2024년 2.3%에서 15.2%까지 오를 것으로 추정했다.


■ 경제 지표·일정

미 노동부에 따르면 주간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는 3천 건 감소한 22만4천 건으로 시장 예상 22만5천 건과 유사했다. 계속 수당 청구는 1만5천 건 감소한 195만3천 건으로 노동시장이 다소 긴축적임을 시사했다.

시장 관심은 16일 예정된 트럼프–푸틴 정상회담(미 동부시간 15일 15시30분 개시)과 7월 소매 판매 지표(월간 +0.6% 예상), 7월 산업·제조업 생산(전월 대비 보합 예상), 미시간대 소비심리지수(62.0 예상)에 쏠린다.


■ 국채·해외 채권시장

9월물 10년 만기 미 국채선물은 10.5틱 하락, 금리는 4.287%로 5.4bp 상승했다. 인플레이션 기대를 보여주는 10년 BEI(물가연동채 대비 지수)는 2.396%로 2.1bp 올랐다. 독일 10년물 국채금리는 2.712%(+3.2bp), 영국 10년물 길트금리는 4.641%(+5.1bp)로 동반 상승했다.


■ 주요 종목 움직임

매그니피선트 7 가운데 아마존은 2.9% 뛰어 최대 상승폭을 기록한 반면, 테슬라는 1.1% 밀렸다. 반도체주는 혼조세로 인텔이 7.4% 급등했으나 AMD·얼라인테크놀로지·글로벌파운드리스는 1% 넘게 빠졌다.

비트코인 가격이 4% 가까이 급락하면서 마이크로스트래티지(-4.4%), 코인베이스(-0.7%), MARA 홀딩스(-0.7%)가 하락했지만, 라이엇플랫폼스는 5.7% 상승해 대조를 이뤘다.

기업별로는 시스코시스템즈가 보수적 가이던스로 1.5% 하락했고, 디어는 곡물가격 약세와 관세 불확실성으로 연간 실적 가이던스를 소폭 하향해 6.8% 급락했다. 반면 다우는 BofA의 투자의견 상향(언더퍼폼→뉴트럴)으로 2% 올랐다. CVS헬스는 내부 구조조정에 대한 신뢰가 높아졌다는 이유로 베어드가 비중확대 의견을 제시하며 2.4% 상승했다.

해외 증시는 유럽 유로 Stoxx 50이 0.86% 상승했고,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장중 3년 9개월 만에 최고치를 찍은 뒤 0.46% 하락 전환했다. 일본 닛케이225는 전일 사상 최고치에서 1.45% 조정받았다.


■ 향후 전망

연방기금선물은 9월 25bp 인하 가능성을 93%, 10월 추가 25bp 인하 가능성을 53% 반영하고 있다. 블룸버그인텔리전스에 따르면 S&P500 기업의 2분기 순익은 전년 대비 9.1% 증가해 실적 시즌 전 예상치(+2.8%)를 웃돌았으며, 82% 기업이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다. 관세 불확실성과 통화정책 변동성이 공존하면서 시장은 경제지표와 정책 발언에 따라 높은 변동성을 이어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