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 오르스테드, 최대 50억 유로 규모 유상증자 검토…재무 건전성 강화 목적

덴마크 국영 에너지 기업 오르스테드(Orsted A/S)최대 50억 유로(약 58억 달러)를 조달하기 위한 권리(주주배정) 유상증자를 검토 중이다.

2025년 8월 8일, 인베스팅닷컴(Investing.com)블룸버그 통신이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회사는 향후 수 주 내에 해당 계획을 공식 발표할 가능성을 열어 두고 있다.

Rasmus Errboe 최고경영자(CEO)는 올해 초 취임 이후 비용 절감과 자산 조정에 착수해 회사 재무 구조를 안정시키려 노력해 왔다. 실제로 오르스테드는 영국과 미국에서 추진하던 해상풍력 프로젝트 일부를 전격 취소하며 치솟는 자본 비용과 금리 상승에 대응했다. 이번 자금 조달은 이 같은 구조 조정의 연장선으로, 대규모 프로젝트를 추진하기 위한 재무 여력을 확충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권리 유상증자(rights offering)는 기존 주주에게 보유 지분 비율에 비례해 신주 인수권을 부여하는 방식”1이라며, 금융권 관계자는 “시장에서 신규 자본을 빠르게 모으되 지배 구조를 크게 흔들지 않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오르스테드 최대주주는 덴마크 정부로, 지분 약 50.1%를 보유하고 있다. 정부가 대주주로서 유상증자에 참여할 경우, 시장은 국가 차원의 신용 보증으로 해석해 투자 심리가 개선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자본시장 전문가들은 “유상증자 후 오르스테드의 부채비율이 크게 낮아지고 유동성 지표도 개선될 것”이라며, “특히 북미·유럽에서 확대되는 재생에너지 입찰 경쟁에서 입찰 보증(bid bond)을 위한 현금 여력이 늘어난다는 점이 중요”하다고 평가했다.

권리 유상증자란 무엇인가?

권리 유상증자(rights offering)는 기존 주주에게 인수권(신주인수권)을 발행해, 주주가 일정 기간 내 할인된 가격으로 신주를 매수할 수 있도록 하는 자본 조달 방식이다. 주주가 권리를 행사하지 않을 경우 지분율이 희석될 수 있지만, 주주 지분 100% 보호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경영권 안정성은 유지된다.

오르스테드의 최근 경영 상황

회사는 2024년 말 기준 순차입금 235억 덴마크크로네(DKK)약 34억 달러를 기록해, 지난 5년간 가장 높은 레버리지 수준에 도달했다. 아울러 해상풍력 터빈 가격과 시공비, 금융 비용이 일제히 오르면서 IRR(내부수익률) 목표치를 달성하기 어려워진 것이 프로젝트 취소의 주요 배경으로 지목된다.

국제 금리 환경도 부담 요인이다. 유럽중앙은행(ECB) 기준금리는 2023년 말 4%대까지 상승한 뒤 2025년 상반기에도 고금리 기조가 유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재생에너지 업계 전반이 높은 자금 조달 비용을 감수해야 하는 상황이다.

향후 일정 및 시장 영향

소식통에 따르면, 이사회 결의와 공시 절차를 거쳐 2025년 4분기 내 모집·납입이 이뤄질 가능성이 거론된다. 시장에서는 “정확한 주당 발행가와 할인율이 공개되면, 단기 주가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 반면, 장기적으로는 재무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추가 디딤돌을 마련하는 계기로 작용할 것이라는 기대도 있다.

덴마크 경제부 관계자는 “국가 에너지 안보와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오르스테드의 재무 건전성은 필수”라면서 “정부는 필요하다면 전략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르스테드 측은 이번 보도에 대해 “모든 자본 조달 옵션을 검토 중“이라며, “공식 결정을 내리면 즉시 시장에 알리겠다”고만 언급했다.


1참고: 일반 공모 유상증자와 달리, 권리 유상증자는 기존 주주에게 우선 배정되므로 외부 투자자의 지분 희석을 방지하고 경영권 방어에 유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