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증시가 금요일 장 마감 후 하락세로 돌아섰다. 반도체와 통신·인터넷 업종의 약세가 두드러지며 전체 지수를 끌어내렸고, 그 결과 대만 가중지수(Taiwan Weighted)는 -1.42% 내렸다. 업종 대표주의 동반 약세는 시장 전반의 위험회피 심리를 강화하며 낙폭을 확대했다.
2025년 11월 7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날 대만 증시는 업종별로 반도체와 통신·인터넷 섹터가 하락을 주도했다. 시장 참여자들은 기술 업종 중심의 매도세가 지수 하방 압력을 키웠다고 평가한다.
지수 마감 현황을 보면, 장 마감 기준 대만 가중지수는 1.42% 하락했다. 이는 당일 기술주 중심의 약세 흐름이 지수 전체로 확산된 결과로, 대형주의 조정이 지수 변동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개별 종목 동향 — 상승 상위
상승 종목 중에서는 Ahoku Electronic Co (TW:3002)가 +10.00%(+2.20포인트) 급등하며 24.20에 마감했다. Mobiletron Electronics Co Ltd (TW:1533)도 +9.98%(+3.15포인트) 올라 34.70에 거래를 마쳤다. China Petrochemical Development Corp (TW:1314)은 +9.91%(+0.80포인트) 상승해 8.87을 기록하며 강세를 이어갔다.
개별 종목 동향 — 하락 상위
Accton Technology Corp (TW:2345)은 -9.13%(-105.00포인트) 급락해 1,045.00에 마감했다. JPC Connectivity Inc (TW:6197)는 -8.04%(-13.50포인트) 하락한 154.50으로, Choice Development Inc (TW:9929)는 -7.76%(-0.90포인트) 떨어진 10.70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핵심 수치
• 대만 가중지수: -1.42%
• 상승 상위: Ahoku Electronic +10.00%, Mobiletron +9.98%, China Petrochemical Development +9.91%
• 하락 상위: Accton Technology -9.13%, JPC Connectivity -8.04%, Choice Development -7.76%
시장 폭넓이(브레드스)
대만증권거래소(TWSE)에서는 하락 종목 수가 상승 종목 수를 앞질렀다고 집계됐다. 다만 원문 표기상 “0대 0”원문 수치 표기 그대로로 제시되어 있어, 상세한 종목 수치 비교는 기사 원문 표기를 따랐다.
52주 신고가
China Petrochemical Development Corp (TW:1314)은 52주 최고가를 경신했다. 종가는 +9.91%(+0.80) 오른 8.87로, 신고가 갱신이 확인됐다.
원자재·통화 동향
원유 선물 가격은 동반 상승했다. WTI 12월물은 +0.71%(+0.42) 오른 배럴당 $59.85를 기록했다. 브렌트유 1월물도 +0.66%(+0.42) 상승해 배럴당 $63.80에 도달했다. 금 시장에서는 12월물 금 선물이 +0.22%(+8.95) 올라 트로이온스당 $3,999.95에 거래됐다.
외환·달러지수
USD/TWD(미 달러/대만 달러)는 -0.09% 하락한 30.97을 기록했다. TWD/CNY(대만 달러/중국 위안)는 unchanged 0.22% to 0.23원문 표기로 제시됐다. 미 달러인덱스 선물은 +0.12% 상승한 99.70이었다.
용어 설명과 맥락
대만 가중지수(Taiwan Weighted)는 대만증권거래소 상장 종목을 대상으로 하는 대표 종합주가지수다. 시가총액 가중 방식으로 산출되어, 대형주의 변동성이 지수에 크게 반영되는 특징이 있다. 반도체와 통신·인터넷은 대만 증시를 대표하는 기술 관련 섹터로, 통상적으로 이들 업종의 변동성은 지수 전반의 방향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WTI는 미국 서부텍사스산 원유 기준가격이며, 브렌트유는 북해에서 생산되는 국제 벤치마크다. 두 가격은 지역 공급·수요, 정제·운송 여건, 지정학적 변수 등에 따라 상이하게 움직일 수 있다. 금 가격에서 사용하는 트로이온스(troy ounce)는 귀금속 계량 단위로, 일반 온스(avoirdupois ounce)와 다르며 1 트로이온스 ≈ 31.1035g이다. 달러인덱스는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의 가치를 지수화한 것으로, 지수 상승은 통상 달러 강세를 의미한다.
해석 포인트
이번 하락장은 반도체와 통신·인터넷 업종의 약세가 지수에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친 전형적 사례로 볼 수 있다. 대만 증시는 통상적으로 정보기술 업종 비중이 높아, 해당 섹터의 동향에 대한 민감도가 크다고 평가된다. 또한 달러 인덱스의 소폭 상승과 원자재 가격의 동반 상승은 글로벌 매크로 환경에서 위험자산·안전자산 간 포지셔닝 변화가 진행 중임을 시사하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다만 본 기사에서는 구체적 매크로 요인은 제시되지 않았으며, 지수와 종목, 선물·환율의 당일 수치 변화를 중심으로 확인되었다.
표기 관련 유의
시장 폭넓이 수치가 “0대 0”으로 제시된 점, TWD/CNY 환율이 unchanged 0.22% to 0.23으로 표기된 점 등은 원문 표기를 그대로 반영했다. 독자는 해당 표기가 통상적 관행과 다를 수 있음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본 기사는 원문에 제시된 수치와 표현을 충실히 전달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