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두(소이빈) 선물 가격이 수요일 장 초반의 약세를 만회하며 근월물 기준 6~7 1/4센트 상승으로 마감했다. 이와 함께 11월 인도선물의 실물인수도 통지(delivery notice)는 하룻밤 사이 29건 추가되며 이달 누계 1,736건에 이르렀다. 현물 기준인 cmdtyView 미 전국 평균 대두 현물가는 6 3/4센트 상승한 $10.60을 기록했다. 제품별로는 대두박(소이밀) 선물이 근월물에서 $5.10~$5.30 상승했고, 반대로 대두유(소이오일) 선물은 51~53포인트 하락했다.
2025년 11월 13일, 바차트(Barchart)의 보도에 따르면, 시장은 이 같은 가격 반등을 확인하는 한편, 공급·수요 지표 발표를 앞두고 포지션을 재조정하는 흐름을 보였다. 특히 수확 후기 평년 패턴과 달리 약세 출발 후 저가매수와 숏커버링이 유입되며 종가를 끌어올린 점이 특징으로 지목된다.
공급 전망과 관련해, 이번 주 금요일 공개 예정인 미국 농무부(USDA)의 작황생산(Crop Production) 자료에 앞서, 로이터(Reuters) 설문에서는 미국 대두 수확지수(yield)가 0.4 bpa 하락한 53.1 bpa로 예상되었다. 총생산은 35 mbu 감소한 4.266 bbu로 전망되며, 월간 WASDE 보고서 기준 기말재고는 304 mbu로 예상되어 9월치 300 mbu 대비 소폭 증가가 점쳐진다.
수요 측면에서는, 최근 수출판매(Export Sales) 공식 통계 공백이 이어지는 가운데, 중국이 10월 말 발표된 1,200만 톤(12 MMT)의 구매 약정을 아직 확정(컨펌)하지 않은 점이 시장의 단기 심리를 가늠하는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이는 미-중 간 실수요 확인 전까지 선물시장에서 헤지·차익거래와 뉴스 기반 변동성이 교차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종가 동향(개별 만기)선물·현물 지표
– 2025년 11월물 대두: $11.20 1/2, 전일 대비 +7 1/4센트.
– 미 현물 지표(Nearby Cash): $10.60 1/1, 전일 대비 +6 3/4센트.
– 2026년 1월물 대두: $11.33 3/4, 전일 대비 +6 1/2센트.
– 2026년 3월물 대두: $11.44, 전일 대비 +6센트.
용어 해설과 단위 설명
– Front month(근월물): 가장 가까운 결제월 선물을 뜻한다. 유동성이 높아 단기 가격 신호로 활용된다.
– Delivery(인수도 통지): 선물 만기 시 실물인수도 의사를 통지하는 절차다. 누계 1,736건은 만기월 물량 흐름을 가늠하는 참고치다.
– Nearby(근월·근접물): 가장 인접한 만기들의 선물 계약군을 가리킨다.
– bpa: bushels per acre의 약자로, 에이커당 수확량을 뜻한다.
– mbu: million bushels(백만 부셸).
– bbu: billion bushels(10억 부셸).
– MMT: million metric tons(백만 톤).
– Points(포인트): 대두유 선물 등 일부 상품에서 사용하는 최소가격변동 단위 표기다.
– 가격 표기 중 $11.20 1/2, 7 1/4센트와 같은 형태는 분수 단위의 호가 관행으로, 센트 단위의 절반(1/2), 사분의 일(1/4) 등을 의미한다.
시장 평가와 시사점
이번 반등은 수확기 공급 뉴스와 향후 USDA 작황·WASDE 발표를 앞둔 포지션 경량화, 약세 재료 선반영 이후의 저가 매수, 그리고 일부 숏 포지션 정리가 맞물린 결과로 해석된다. 수요 검증 측면에서는 중국의 구매 약정 공식 확인 여부가 핵심 변수로, 확정 뉴스가 나오면 근월·원월 곡선에 동시 호재로 반영될 수 있다. 반대로 확인 지연 시에는 주간 수출판매 통계 공백과 함께 가격 변동성 확대 리스크가 잔존한다. 또한 수확량(53.1 bpa 예상)·총생산(4.266 bbu 예상)의 미세 조정과 기말재고(304 mbu 예상) 증가는 균형 가격 재산정을 유도할 수 있으며, 대두박 강세·대두유 약세의 스프레드 차별화는 제품 수요 구조를 반영하는 단기 테마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실무적 체크포인트
– 헤지 전략: 근월물 변동성에 대비해 옵션 또는 역헤지로 델타 익스포저를 관리하고, 인수도 통지 누계와 현·선물 베이시스 변화를 병행 관찰할 필요가 있다.
– 스프레드 트레이드: 대두박 강세 vs 대두유 약세가 이어질 경우, 제품 간 스프레드 또는 캘린더 스프레드로 리스크를 분산할 수 있다.
– 데이터 이벤트: 금요일 Crop Production·WASDE 발표 전후 슬리피지와 갭 리스크가 확대될 수 있어, 주문 유동성과 호가 단위에 유의해야 한다.
기타 정보
바차트는 에너지부터 농산물까지 포괄하는 원자상품 분석 콘텐츠·뉴스레터를 제공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관련 기사(바차트)
– 중국이 대두·밀 매수를 재개하며 곡물 강세론이 복귀했다. 다음 시나리오는 무엇인가?
– 미·중 회담을 앞두고 한 가지 대두 강세 아이디어
– 중국이 미 대두를 사지 않더라도, 대두박은 트레이더에게 가치주 성격
– 3분기 곡물: 약세 지속 가능성 점검
공시 및 고지
게재일 기준, 필자 오스틴 슈뢰더(Austin Schroeder)는 본 기사에 언급된 어떤 종목에도(직·간접적으로) 포지션이 없었다. 본 기사에 포함된 모든 정보와 데이터는 정보 제공의 목적이며, 자세한 내용은 바차트의 공시 정책(Disclosure Policy)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본문에 담긴 의견과 견해는 필자 개인의 것이며, 나스닥(Nasdaq), Inc.의 공식 입장을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