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카고상품거래소(CBOT) 대두 선물 가격이 1일(현지 시각) 금요일 장 막판 약세를 보인 끝에 세 개 근월물(8월·9월·11월물)이 모두 종가 기준 보합으로 마감했다. 8월물은 이번 주 37센트, 11월물은 31 3⁄4센트 하락해 주간 낙폭이 두드러졌다.
2025년 8월 4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cmdtyView가 집계한 전미 평균 현물 대두(Cash Bean) 가격은 전일 대비 3 1⁄2센트 내린 부셸(27.2㎏)당 9.31 1⁄2달러를 기록했다. 같은 날 대두 부산물인 대두박(소이밀) 선물은 t당 3.30~5.70달러 상승했으나, 8월물 기준 주간 성적은 30센트 하락에 머물렀다.
대두유(소이오일) 선물은 20~86포인트 하락하며 마감했다. 8월물은 한 주 동안 177포인트 떨어져 에너지 가격 약세와 biodiesel 수요 둔화 우려를 반영했다.
“CBOT 대두·대두박·대두유 세 시장 모두 이번 주 들어 헤지펀드‧CTA(상품투자자문업체)의 매도 물량이 늘어나면서 동반 압박을 받았다”는 것이 현지 애널리스트들의 공통된 평가다.
기상 변수도 투자 심리를 흔들었다.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이 발표한 향후 7일간 예보에 따르면 아이오와·미주리·동부 콘벨트는 평년보다 건조한 패턴이 예상되는 반면, 대평원 지역 일부는 1인치(약 2.5cm)를 약간 웃도는 강수만 기록할 전망이다. 8월 한창 꽃이 피고 꼬투리가 형성되는 대두 생육기에 습수 부족이 이어질 경우 단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 시장 변동성을 키웠다.
투기적 포지션 변화도 눈여겨볼 만하다. CFTC(미 상품선물거래위원회) 통계 기준 7월 29일 현재, 대두 선물‧옵션을 거래하는 ‘매니지드 머니’ 계좌는 일주일 새 순매도 포지션을 25,445계약 추가 확대, 총 36,311계약 순매도로 전환했다. 매니지드 머니란 헤지펀드·연금·CTA 등 기관 성격의 자금으로, 이들의 포지션 변화가 시세에 큰 영향을 미친다.
기본 펀더멘털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미국 농무부(USDA)가 1일 발표한 6월 Fats & Oils(지방·유분) 보고서에 따르면, 6월 한 달 미국 내 대두 분쇄량은 1억9,710만 부셸로 전년 동월 대비 7.44% 증가, 6월 기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다만 5월 대비로는 3.22% 감소했다. 같은 기간 대두유 재고는 18억9,400만 파운드로 전월보다 소폭 늘었지만 전년 대비 10.85% 줄었다.
만기별 종가(8월 1일)
· 2025년 8월물: 9.61 3⁄4달러(보합)
· 2025년 9월물: 9.69 1⁄2달러(보합)
· 2025년 11월물: 9.89 1⁄4달러(보합)
※ ‘보합(unch)’ 표기는 전일 대비 가격 변동이 없음을 의미한다.
투자 참고 사항: 본 기사 작성자 Austin Schroeder는 이날 언급된 증권(선물)을 직접·간접적으로 보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기사 내용은 교육 및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자문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한편 바차트(Barchart)는 옥수수·면화·대두박 등 곡물 및 원자재 시장에 대한 추가 분석 기사도 함께 공개했다.
용어 풀이
cmdtyView 현물 지수: 미국 내 주요 곡물 엘리베이터·집하장 현물 가격을 실시간으로 집계해 부셸당 평균 가격을 산출하는 바차트의 지표다.
순매도(Net Short): 매도 계약 수가 매수 계약 수를 초과한 상태를 말하며, 수치가 클수록 가격 하락에 베팅한 포지션이 많음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