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두 가격 3주 연속 상승…대두박 강세가 상승세 견인

시카고 상품거래소(CBOT) 대두 선물이 주말장을 앞둔 7월 18일(현지 시각) 근월물 기준 6~9센트 상승하며 3주째 오름세를 이어갔다. 8월물은 이번 주에만 23센트 1/2 상승했고, 이로써 시장에서는 대두 선물 가격이 단기 저점에서 확실히 벗어났다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2025년 7월 19일, 나스닥닷컴이 인용한 Barchart 집계에 따르면, cmdtyView 전국 평균 신곡(新穀) 현물 대두 가격은 하루 만에 7센트 3/4 오른 9.90달러/부셸을 기록했다. 이는 미국 농가들의 판매 의지와 수요 회복세가 동시에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현물 대두 가격

대두박(소이밀) 선물 역시 급등세가 두드러졌다. 8월물은 일중 5.30달러 올라 이번 주 누적 3.70달러 상승했다. 반면 대두유 근월물은 40~42포인트 하락했지만, 주간 기준으로는 207포인트 상승해 수급 불균형이 여전히 이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투기적 포지션은 단기간에 방향을 급변시킬 수 있어, 최근과 같은 가격 변동성 확대 국면에서는 위험 관리가 절실하다.”

라고 시장 참가자들은 입을 모았다.

투기 세력(스펙 트레이더)의 포지션 변화도 눈에 띈다. 7월 15일 주간 기준, 대두 선물·옵션 순매도 규모는 전주 대비 26,062계약 늘어난 32,278계약으로 집계됐다. 대두박의 경우 순매도 1,537계약 늘어난 133,016계약으로, 사상 최대치를 또다시 갈아치웠다.

※ 용어 설명
Managed Money는 헤지펀드·CTA 등 ‘기관 성격’의 투기적 자금, Net Short는 매도 계약이 매수 계약보다 많은 상태를 뜻한다. 순매도 규모가 커지면 하락에 베팅한 자금이 많다는 의미다.


미 농무부(USDA) 수출 판매 집계에 따르면, 대두 누적 선적·판매(수출 약정)은 5,064만 8,000t으로 연간 전망치 대비 100%를 기록했다. 다만 최근 5년 평균 102%에는 다소 못 미쳐, 추후 수출 모멘텀 지속 여부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대두박 선물 가격

가격 상세
• 8월물 대두: 10.27¾달러(+6¼)
• 근월 현물: 9.90달러(+7¾)
• 9월물 대두: 10.21달러(+9)
• 1월물(2026년) 대두: 10.52¾달러(+9)
• 신곡 현물: 9.86¼달러(+9)

기사 작성자인 오스틴 슈뢰더는 “언급 종목에 대해 직접적·간접적 포지션이 없다”고 밝혔다. 이는 이해상충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한 공개 조치다.(Barchart 공시 정책)

또한 기사 속 견해는 필자 개인의 것이며, 나스닥(Nasdaq, Inc.)의 공식 입장과 무관하다는 면책 조항이 함께 제시됐다.

전문가 시각과 향후 전망
올여름 미 중서부 기상 여건이 대두 작황의 최대 변수로 꼽힌다. 고온·건조가 이어질 경우 생산량 감소→가격 상승 시나리오가 힘을 받을 수 있다. 반면 투기 자금의 순매도 확대 역시 간과할 수 없는 리스크다. 가격이 단기 급등한 만큼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될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한다. 결과적으로 수출 수요·기상 변수·자금 흐름이 맞물리며 변동성 장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