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XY(달러 인덱스) 약세가 -0.20%로 마감하며 목요일 기록한 1.5주래 최저치 위에서 간신히 버텼다. 투자자들이 연방준비제도(Fed)의 통화정책이 더 비둘기파적(dovish)으로 기울 것이라는 전망을 강화한 영향이 컸다.
2025년 8월 8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전날 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스티븐 미란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의장을 (임시) 연준 이사(Adrianna Kugler 후임)로 지명했다. 미란 의장은 시장에서 ‘비둘기파’로 평가되며, 트럼프 대통령이 줄곧 요구해 온 저금리 기조를 지지하는 인물이다. 이 소식은 즉각 달러 매도 압력으로 연결됐다.
투자자 심리도 달러 약세를 부추겼다. 미 증시가 상승세를 보이면서 달러 유동성(안전자산) 수요가 줄었고, 반면 미 국채(T-Note) 수익률 상승이 달러 낙폭을 다소 제한했다.
세인트루이스 연은 알베르토 무사렘 총재는 “현재 경제 상황을 감안할 때 연준은 정책금리를 당분간 동결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밝혀 약간의 매파적(hawkish) 색채를 드러냈다.
다만 ‘인플레이션 목표(물가)’ 달성 미흡을 언급하며 금리 인하 전망을 완전히 꺾지는 못했다.
관세 정책 여파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 수입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6일(현지시간) 밝혔고, 같은 날 인도를 겨냥해 미국산 수입품 관세를 25%→50%로 두 배 인상하겠다고 선언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에 따르면, 새 방침이 그대로 적용될 경우 미국의 평균 관세율은 15.2%로, 기존 13.3%에서 급등하며 2024년 2.3% 대비 6배 이상 높아진다.
시장 참가자들은 이러한 관세 강화가 글로벌·미국 경제 성장률을 동시에 둔화시켜, 결국 연준이 금리 인하 카드로 대응할 가능성을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 연방기금선물(FF) 시장은 9월 16‒17일 FOMC에서 25bp(0.25%p) 인하 확률을 90%, 10월 28‒29일 회의에서는 61%로 반영 중이다.
주요 통화 동향
유로/달러(EUR/USD)는 -0.12% 하락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가 유로존 성장까지 훼손할 것이란 우려가 주된 원인이었다. 다만 블룸버그 보도에서 미·러가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합의를 모색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낙폭은 제한됐다. 스와프 시장은 9월 11일 ECB 통화정책회의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9%로 평가하고 있다.
달러/엔(USD/JPY)은 +0.39% 상승(엔화 약세)했다. 관세 정책이 일본 수출 산업에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전망과 함께, 6월 일본 가계지출이 전년 대비 +1.3%로 예상치 +2.7%를 크게 밑돈 점이 BOJ(일본은행)의 완화적인 통화정책 연장 가능성을 높였다. 반면 7월 ‘에코 워처스’ 전망 지수는 47.3으로 6개월 만의 최고를 기록했다.
7월 30‒31일 BOJ 의사록이 공개된 가운데, 한 위원이 “미국 관세 영향이 제한적이라면 연내 추가 금리 인상을 검토할 수 있다”고 언급해 엔화 강세 요인으로 작용했지만, 시장 전체 흐름을 돌리기엔 역부족이었다.
귀금속 시장 급등
12월물 금 선물은 +37.60달러(+1.09%) 급등하며 3.5개월 최고가에 안착했다. 9월물 은 선물도 +0.248달러(+0.65%)로 2주래 고점을 경신했다. 달러 약세와 트럼프 대통령의 미란 지명 소식이 금리 인하 기대를 부추겨 안전자산 수요를 자극한 결과다.
또한 미국 세관국경보호청(CBP)이 “스위스에서 수출되는 1kg·100온스 금괴에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하자 공급 차질 우려가 확산됐다. 그러나 정부가 “금괴 관세를 적용하지 않겠다”는 행정명령 초안을 곧 발표할 것이라 밝히며, 장 마감 후 금값은 온스당 30달러 이상 급락했다.
중국 인민은행(PBOC)이 7월에만 6만 트로이온스를 추가 매입하며 9개월 연속 금 보유를 늘린 것도 가격 지지를 강화했다. 동시에 금·은 ETF 보유량은 각각 2년·3년 만의 최고치를 경신, 기관자금이 꾸준히 유입 중임을 시사한다.
전문가 해설 및 용어 안내
달러 인덱스(DXY)란 주요 6개 통화(유로, 엔, 파운드, 캐나다달러, 스웨덴크로나, 스위스프랑)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다. 비둘기파(dovish)는 물가보다 경기 부양을 중시하며 금리 인하 또는 완화적 정책을 선호하는 성향을 말한다. 반대로 매파(hawkish)는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금리 인상 등 긴축을 선호한다.
FOMC(Federal Open Market Committee)는 미국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회의로, 정책금리(연방기금금리) 조정 여부를 투표한다. 스와프 금리는 파생상품 시장에서의 금리 기대치를 반영하는 지표이며, 투자자들이 향후 금리 인하·인상 확률을 가늠하는 데 활용된다.
저자·공시
본 기사는 Rich Asplund 기자가 작성했으며, 기사 작성 시점에서 기자는 관련 종목에 직·간접 보유 지분이 없다고 밝혔다. 모든 정보는 오로지 참고용으로 제공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