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강세, 커피 선물가 일제히 하락

[커피 선물 시황] 31일 새벽(미국 동부시간) 시카고상업거래소(CME)에서 3월물 아라비카 커피(KCH24) 가격은 전일 대비 -2.30센트(-1.18%) 하락했으며, 같은 달 만기 ICE 로부스타 커피(RMH24)는 -26달러(-0.76%) 떨어져 1주일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다.

2025년 10월 31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달러 인덱스(DXY)가 7주 만에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대부분의 원자재 가격이 압박을 받았고, 커피도 예외가 아니었다. 통상 달러가 강세를 보이면 비(非)달러 통화권 투자자들의 원자재 구매력이 낮아져 가격이 하락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브라질산 커피 수출 전망 상향이 추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다. 브라질 커피 수출업체 연합체 코멕심(Comexim)은 전날 브라질의 2023/24 수출 전망치를 종전 4,150만포대(60㎏ 기준)에서 4,490만포대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시장에 단기 공급 과잉 인식을 확산시켜 가격을 눌렀다.

주목

■ 기상 변수와 재고 상황

반면, 브라질 미나스제라이스주의 가뭄은 아라비카 가격을 지지하고 있다. 민간 기상기관 소마르 메테오롤로지아(Somar Meteorologia)에 따르면, 지난주 미나스제라이스에는 평균치의 53%에 해당하는 25㎜의 강수량만 내렸다. 이 지역은 브라질 아라비카 생산의 약 30%를 차지한다.

국제선물거래소(ICE) 감독 하에 보관 중인 로부스타 재고는 1월 26일 2,778로트로 사상 최저치를 갱신했으며, 아라비카 재고도 11월 30일 24년 만의 최저치(224,066포대)에서 소폭 올라 261,893포대(2월 1일 기준)에 그쳤다. 낮은 재고는 가격 상승 압력으로 작용한다.


■ 베트남 변수

주목

세계 최대 로부스타 생산국인 베트남의 1월 커피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47.6% 증가한 21만t이라고 베트남 통계총국이 밝혔다. 로부스타 차트 그러나 홍해(紅海)에서 발생한 후티 반군의 선박 공격으로 해상 운임과 운송 기간이 급등하면서, 주요 로스터와 트레이더들은 베트남산 로부스타 구매를 줄이고 브라질산 로부스타로 공급선을 다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베트남 관세총국 자료에서는 2023년(1~12월) 커피 수출이 162만t으로 전년 대비 8.7% 감소했다. 베트남 농업농촌개발부는 2023/24 생산량이 전년 대비 10% 감소한 165만6,000t으로 4년 만에 최저치가 될 수 있다고 경고했으며, 베트남커피협회(Vicofa)도 생산량을 160만~170만t으로 하향 전망했다.


■ 브라질·세계 공급 전망

브라질 농업공급회사 코나브(Conab)는 지난주 2024년 브라질 커피 생산량이 5.4% 증가한 5,810만포대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브라질 커피는 격년 주기(biennial cycle) 특성상 2024년이 ‘풍년’에 해당하며, 이는 가격 압박 요인으로 꼽힌다.

수출 또한 증가 추세다. 브라질 커피수출협회(Cecafe)는 12월 브라질의 원두 커피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31% 급증한 378만포대라고 밝혔다. 브라질 통상부도 볶지 않은 커피 수출이 244만t으로 33.7% 늘었다고 발표했다.

국제커피기구(ICO)는 11월 세계 커피 수출이 4.1% 늘어난 1,061만포대였으며, 10~11월 누적 기준 2,025만포대로 3.1% 증가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관은 2023/24 글로벌 생산이 5.8% 늘어 1억7,800만포대, 소비는 2.2% 늘어 1억7,700만포대가 돼 100만포대 순잉여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미 농무부(USDA) 산하 해외농업국(FAS)도 12월 21일 반기 보고서에서 2023/24 세계 생산을 4.2% 늘어난 1억7,140만포대로 전망했다. 이 가운데 아라비카는 10.7% 증가한 9,730만포대, 로부스타는 3.3% 감소한 7,410만포대로 예측했다. 2023/24 기말 재고는 2,650만포대로 4.0%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 기후 리스크: 엘니뇨

연내 이어질 엘니뇨 현상은 커피 공급에 또 다른 불확실성을 더한다. 엘니뇨는 브라질에는 폭우, 인도·베트남에는 가뭄을 초래하는 경향이 있어 작황에 부정적이다. 베트남 기상·수문·기후변화연구소 관계자는 2024년 초 베트남 주요 커피 산지에 가뭄이 장기화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 용어 설명 및 시장 해석*

*아라비카(Arabica)는 고지대에서 재배되고 향미가 뛰어나 프리미엄 원두로 취급되며, 로부스타(Robusta)는 저지대에서 생산돼 카페인 함량이 높고 가격이 저렴하다. ICE는 뉴욕에 본사를 둔 국제거래소(Intercontinental Exchange)로, 커피·코코아·설탕 등 소프트(soft) 상품선물을 상장·결제하는 기관이다.

필자는 달러 강세가 단기적으로 커피 가격 하락을 이끌고 있으나, 재고 부족과 기후 리스크가 맞물리면서 변동성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본다. 특히 엘니뇨로 인한 베트남산 로부스타 감소가 현실화될 경우, 로부스타-아라비카 스프레드가 축소되며 두 품종 모두 가격 반등 여지를 남길 것이다. 투자자라면 달러 인덱스 움직임과 중남미 기상 데이터를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