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강세 여파로 국제 코코아 선물가 1주 최저치 기록

[코모디티 시장] 달러화 강세가 코코아 선물 가격을 끌어내리며 투자심리를 위축시켰다.

2025년 9월 12일, 바차트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ICE(Intercontinental Exchange) 뉴욕 12월물 코코아 선물(티커: CCZ24)은 -321달러(-4.43%) 하락해 파운드당 6,930달러 선으로 떨어졌고, ICE 런던 12월물 코코아 선물(티커: CAZ24)도 -176파운드(-3.10%) 급락해 톤당 5,504파운드까지 밀렸다.

달러지수(DXY)는 같은 날 4개월 만의 최고치로 치솟았다. DXY는 원자재 가격에 역상관 관계를 보이는 경우가 많아, 강달러는 코코아를 포함한 대부분의 상품 가격을 압박했다. 이에 따라 코코아 선물가는 지난 일주일 사이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주목

공급 측면에서는 세계 최대 코코아 산지인 코트디부아르의 수확이 가속화되며 약세 압력을 가중시켰다. 코트디부아르 정부 자료에 따르면 10월 1일부터 11월 3일까지 농민들은 365,072톤을 항만으로 반출했다. 이는 전년 동기 288,686톤 대비 26% 증가한 규모다.

또한 코트디부아르 규제기관인 르 콘세유 카페-카카오(Le Conseil Café-Cacao)는 10월 18일, 2024/25 시즌 코코아 생산 전망치를 기존 200만 톤(MMT)1에서 210만~220만 톤으로 상향 조정했다.

수요 지표는 엇갈렸다. 10월 17일 미국 전국제과협회(National Confectioners Association)는 북미 3분기 코코아 그라인딩(원두를 갈아 초콜릿 원료를 만드는 공정)이 전년 동기 대비 12% 늘어난 109,264톤이라고 밝혔다. 같은 날 아시아코코아협회(Cocoa Association of Asia)는 3분기 아시아 그라인딩이 216,998톤으로 2.6%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반면 유럽코코아협회(European Cocoa Association)는 3분기 유럽 그라인딩이 354,335톤으로 3.3% 감소했다고 전했다.

재고는 빠르게 줄고 있다. ICE가 모니터링하는 미국 항만 내 코코아 재고는 17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며 19년 만의 최저치인 1,737,858포대(바그)로 떨어졌다.

주목

코코아 가격은 8월 20일 가나 코코아위원회(Cocobod)가 2024/25 시즌 가나 생산 전망을 70만 톤에서 65만 톤으로 하향 조정한 이후 일시적 지지를 받기도 했다. 악천후와 병충해로 2023/24 시즌 수확량은 23년 만의 최저치인 42만5천 톤으로 추정된다. 가나는 세계 2위 생산국으로, 새 시즌 수확은 10월에 시작된다.

반면 8월 21일 카메룬 국가코코아커피위원회(National Cocoa and Coffee Board)는 2023/24(8월~7월) 카메룬 생산량이 전년 대비 1.2% 증가한 266,725톤이라고 발표했다. 또한 세계 6위 생산국 나이지리아의 8월 코코아 수출은 14,984톤으로 6.8% 늘어 공급 확대 우려를 키웠다.

국제코코아기구(ICCO)는 8월 30일 2023/24 시즌 세계 코코아 공급 부족 규모를 439,000톤에서 462,000톤으로 확대 전망했다. 이는 60여 년 만에 가장 큰 적자2다. ICCO는 같은 보고서에서 세계 생산량 전망을 4,461,000톤에서 4,330,000톤으로 하향했고, 재고/소비(grindings) 비율은 46년 만의 최저치인 27.4%로 예상했다.


용어 풀이 및 시장 영향

코코아 그라인딩이란 원두를 분쇄·압착해 코코아 매스(코코아 고체+버터)를 생산하는 공정을 의미하며, 초콜릿·베이커리·음료 업체의 실수요를 가늠하는 대표적 수요 지표다.

ICE 선물은 미국 인터콘티넨털 익스체인지가 운영하는 상품선물 시장으로, 농산물·에너지 등 다양한 자산이 거래된다. 뉴욕(달러 표시)과 런던(파운드 표시) 두 시장의 코코아 가격이 글로벌 벤치마크 역할을 한다.

MMT는 Million Metric Tons(백만 미트릭톤)의 약어다. 1 MMT는 100만 톤에 해당한다.

포대(바그·bag)는 ICE 기준 60kg짜리 표준 포대를 뜻한다. 거래되는 ‘포대 수’는 물리적 재고량을 확인할 수 있는 주요 척도다.

시장 전문가들은 달러 강세가 지속될 경우 원자재 전반에 매도 압력이 확대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다만 장기적으로는 재고 부족과 일부 산지의 생산 차질이 가격을 다시 끌어올릴 변수로 지목된다. 기관투자자들은 단기 변동성 확대에 대응해 헤지 전략을 재점검하고 있으며, 실수요 기업 역시 선물·옵션을 통한 가격 고정에 나서고 있다.

결론적으로, 강달러와 산지 생산 증가가 단기 하락 요인이지만, 구조적 공급 부족이 해소되지 않는 한 중장기 가격 추세는 여전히 불확실성이 크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1) MMT: Million Metric Tons, 백만 미트릭톤.
2) 공급 부족(적자, deficit)은 생산량이 소비량(그라인딩)을 밑돌 때 발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