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떠오른 관세 먹구름에 뉴욕 증시 상승세 주춤

ORLANDO, 플로리다로이터통신의 시장 칼럼 ‘트레이딩 데이(Trading Day)’가 18일(현지시간) 전한 바에 따르면, 미국 증시는 주 후반까지 상승 랠리를 이어가다 막판 관세 이슈 재부상으로 상승폭을 일부 반납했다.

2025년 7월 18일, 로이터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S&P500나스닥 지수는 장중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뒤, 조 바이든 대통령이 아닌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유럽연합(EU)산 제품에 최소 15~20% 관세를 요구하고 있다는 파이낸셜타임스(FT) 보도가 전해지면서 상승세가 둔화됐다.

이번 주 글로벌 증시는 전반적으로 강세를 보였다. 견조한 미국 경제 지표가 무역 불확실성과 트럼프 전 대통령의 제롬 파월 연준 의장에 대한 거친 언사에도 불구하고 투자심리를 지탱했기 때문이다.


이번 주 핵심 지수·자산 흐름

• S&P500, 나스닥, MSCI 올컨트리 지수는 18일 모두 사상 최고치를 작성했다.
• S&P500 정보기술 섹터는 주간 2% 올라 독립기념일1 이후 상승률이 55%에 달했다.
• 엔화는 1달러=150엔 선에 1엔까지 접근하며 4월 2일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 비트코인은 한때 12만3,000달러를 넘어섰으나 주간 기준 1% 하락했다.
플래티넘은 2개월 만에 50% 급등하며 11년 최고가를 또 경신했다.

1 미국의 독립기념일(7월 4일)을 기사에서는 ‘Liberation Day’로 지칭. 일반적으로는 사용되지 않는 표현으로, 독자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을 덧붙인다.


관세 변수 재부상

FT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최소 15~20%의 EU산 수입품 관세를 추진 중이라고 보도했다. 시장 참가자들은 글로벌 성장 둔화와 인플레이션 재고조 위험을 우려하며 위험 관리를 강화하는 모습이다.

Tariff Chart

한편 신용평가사 피치(Fitch)는 이날 보고서에서 미국의 실질 평균 관세율 전망치를 14.1%에서 19.4%로 상향 조정했다. 피치는 “이 정도 규모의 관세는 비용 부담이 불가피하다”고 진단했다.


다음 주 투자 포인트

무역 이슈 외에도, 다음 주엔 미국 S&P500 상장사 중 20% 이상의 실적이 공개될 예정이며, 유럽중앙은행(ECB) 통화정책 회의 결과에도 관심이 집중된다.

브라질과의 무역 갈등도 주목된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브라질에 추가 관세 카드를 꺼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어 남미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또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이 주말 동안 일본을 방문함에 따라, 엔화 및 일본 국채 시장에 단기 변동성 요인이 될 수 있다.


일본 경제의 복합적 도전 과제

금요일 공개된 일본 6월 소비자물가는 시장 예상에 부합했으나, 실질 기준 일본은행(BOJ) 정책금리는 -3% 수준으로 주요국 가운데 가장 낮다. 21일 치러지는 참의원 선거 결과가 대규모 재정지출·감세정책으로 이어질 경우, 국가채무 비율이 악화하고 엔화가 추가 약세로 기울 수 있다는 우려가 높다.

반면 30년·40년 만기 장기국채 수익률은 이미 사상 최고 수준이다. BOJ가 정책금리를 추가 인상할 경우, 국채 금리가 더 치솟아 경제 성장에 ‘심각한 충격’을 줄 가능성이 제기된다.


읽어볼 만한 이번 주 추천 리포트

1) James K. Galbraith – ‘America’s Budget Blinders and Blunders’
2) Cinzia Alcidi – ‘For the euro to go global, the EU must match its ambition with real action’
3) Will Dunn – ‘Britain’s billionaire tax problem’
4) Mona Ali – ‘Who benefits from the dollar’s dominance?’
5) Andre Pagliarini – ‘Trump’s Tariff Threat Against Brazil Might Politically Boost Lula’


월요일(22일) 시장 촉각 이벤트

• 일본 선거 결과에 대한 금융시장 반응
대만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뉴질랜드 2분기 CPI
캐나다 6월 생산자물가지수(PPI)


기자 해설 및 시사점

이번 주 글로벌 증시가 사상 최고 수준을 재차 경신한 것은 강력한 미국의 고용·생산·소비 지표가 경기 연착륙 기대를 키웠기 때문이다. 그러나 관세·정치 변수는 상시적인 리스크로 작용한다. 특히 트럼프 전 대통령이 관세 공세를 현실화할 경우, 전 세계 공급망 재편 속도가 빨라지며 자산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

투자자들은 ▲기술주
▲귀금속(특히 플래티넘) ▲암호화폐 등 위험·대안자산을 병행해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있다. 향후 몇 개월 간 거시·정책 이벤트가 잇따르는 만큼, 변동성 지표(VIX) 등 위험 관리 수단을 병행하는 전략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