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DNEY발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뉴질랜드 국민의 해외 이주 규모가 1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며 경제 전반에 경고음을 울리고 있다.
2025년 8월 15일, 로이터 통신 보도에 따르면, 2024년 7월부터 2025년 6월까지 1년 동안 뉴질랜드 국적자 7만1,800명이 출국해 영구 혹은 장기 체류를 목적으로 국외로 떠났다. 이는 직전 12개월(6만7,500명) 대비 증가한 수치이며, 2012년 2월 연간 기록(7만2,400명)에 근접하는 수준이다.
순이민(net migration)도 급감했다. 순이민이란 입국자 수에서 출국자 수를 뺀 값을 의미한다. 2025년 6월 기준 외국인의 뉴질랜드 유입은 2024년 대비 거의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총인구 530만 명 규모의 작은 경제에 상당한 충격이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이번 대규모 해외 유출 원인으로 저조한 생산성과 정책 혼선에 따른 경기 침체를 꼽는다. 실제로 1991년 이후 최악으로 평가받는 경기 둔화가 장기화되고 있다.
실업률은 2025년 2분기 5.2%로 5년 만의 최고치를 나타냈다. 반면, 노동참가율(labour force participation rate)은 2021년 1분기 이후 최저 수준으로 하락했다. 이는 취업자뿐 아니라 구직 의사가 있는 인구까지 포함해 산정되는 지표다.
경기 부양을 위해 뉴질랜드중앙은행(Reserve Bank of New Zealand)은 2024년 8월 이후 기준금리를 총 225bp(basis points) 인하했다. 그 결과 2025년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0.8%로 소폭 반등했으나, 아직 고용·소득 회복세로 연결되지는 못하고 있다.
이주자 가운데 18~30세 청년층의 비중은 38%로 확인됐다. 1979년 60%에 달했던 전례에 비하면 낮지만, 경제활동 핵심 연령대가 대거 국외로 빠져나가고 있다는 점에서 노동시장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일자리 부족과 생활비 부담이 심해지면서 젊은 뉴질랜드인들은 호주, 영국 등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는 견해가 경제학계 전반에서 제기되고 있다.
호주 정부는 숙련 인력 부족이 심각한 분야를 중심으로 이전 장려금(relocation package)을 제공하며 뉴질랜드인을 적극 채용 중이다. 두 나라는 협약에 따라 뉴질랜드 국민이 호주에서 취업비자 없이 일할 수 있어 유인효과가 더 크게 나타난다.
용어 해설 및 추가 배경
순이민(net migration)은 특정 기간 동안 해외에서 들어온 인구(입국)와 국내에서 나간 인구(출국)의 차이를 의미한다. 양(+)의 값이면 인구가 순유입, 음(-)의 값이면 순유출 상태다. 뉴질랜드처럼 인구 기반이 작고 내수 의존도가 높은 국가에서는 순이민 변화가 노동시장과 주택 수요, 복지 재정 등 거시경제 지표에 큰 영향을 미친다.
노동참가율은 생산 가능 연령(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와 구직자를 모두 포함한 비율을 가리킨다. 경기 침체기에는 실망 실업(disheartened workers)으로 인해 해당 비율이 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실업률 상승폭을 실제보다 작게 보이게 하는 통계적 착시를 유발한다.
경제학자들은 해외 이민 가속화가 단기적으로 실업률을 다소 낮추는 효과를 내더라도 장기적으로는 생산가능인구(EAP) 축소로 성장 잠재력을 제약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특히 뉴질랜드처럼 농업·관광·기술 스타트업 의존도가 높은 국가에서는 고급 인력 유출(brain drain)이 산업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정부는 생산성 제고 정책과 고부가가치 산업 육성으로 국내 일자리를 늘리고 청년층 정착 여건을 개선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