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ICE 선물시장에서 12월물 아라비카 커피(KCZ25)는 1.14% 상승한 파운드(ℓb)당 4.45센트에 거래를 마쳤다. 반면 11월물 로부스타 커피(RMX25)는 1.85% 하락하며 톤당 82달러 내렸다.※선물가격은 장중 변동 기준
2025년 10월 28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뉴욕 커피 가격은 지난주 기록한 8.75개월 만의 고점에서 급락해 새로운 2주 최저가를 찍은 뒤, 공매도 환매(쇼트 커버링) 영향으로 일시적 반등에 성공했다.
시장 참가자들은 이번 주 브라질 주요 산지에 예보된 비 소식에 주목했다. 민간 기상업체 소마르 메테오롤로지아(Somar Meteorologia)는 브라질 최대 아라비카 산지인 미나스제라이스주가 10월 24일로 끝난 주간 동안 평균의 1%에 불과한 0.3㎜의 강우만 기록했다고 밝혔다. 가뭄 완화 기대에도 불구하고 비가 충분치 않을 수 있다는 우려가 여전히 남아 있다.
커피 가격 하락 요인으로는 미국이 브라질산 커피에 부과한 50% 관세 철폐 가능성도 거론된다.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브라질 대통령은 말레이시아에서 열린 ASEAN 정상회의 기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가진 “놀라울 정도로 좋은” 만남 이후 며칠 안에 양국 간 무역 분쟁에 대한 “결정적 해결책“이 나올 수 있다고 언급했다.
공급·수급 동향
로부스타 가격은 베트남커피카카오협회(Vicofa)의 전망에 추가 압박을 받았다. 협회는 2025/26년 베트남 커피 생산량이 전년 대비 10% 증가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또한 베트남 통계청은 10월 13일 보고서에서 2025년 1~9월 커피 수출이 전년 대비 10.9% 증가한 123만 t에 달했다고 발표했다.
반면 ICE(Intercontinental Exchange) 창고 재고는 감소세가 이어지며 가격을 지지했다. 아라비카 인증 재고는 10월 24일 기준 44만7,773포대까지 줄어 1.5년 만에 최저치를 찍었고, 10월 27일 소폭 반등해 45만743포대를 기록했다. 로부스타 재고 역시 6,122계약으로 3개월 새 최저 수준이다.
“미국의 50% 관세로 인해 미국 수입업체들이 브라질산 생두 계약을 취소하거나 연기하면서 ICE 재고가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
라고 상인들은 전했다.
기상 변수와 작황 전망
미국 해양대기청(NOAA)은 9월 16일 라니냐 발생 확률을 71%로 상향 조정했다. 라니냐는 브라질 남부의 가뭄을 심화시켜 2026/27년 작황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실제로 블룸버그 브라질 기상 분석에 따르면 최근 한 달 동안 미나스제라이스주의 강수량은 평년 대비 70% 수준에 머물렀다.
브라질 국영 농업통계청 코나브(Conab)는 9월 4일 발표에서 2025년 브라질 아라비카 생산 추정치를 3,520만 포대로 종전 대비 4.9% 하향 조정했다. 총 커피 생산량 전망치는 5,520만 포대로 0.9% 낮췄다.
한편 미 농무부 산하 해외농업국(USDA FAS)은 6월 25일 보고서에서 2025/26 글로벌 커피 생산이 사상 최대 1억7,868만 포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아라비카는 1.7% 감소하지만 로부스타는 7.9% 증가할 것이며, 기말 재고는 전년 대비 4.9% 늘어난 2,281만 포대로 전망됐다.
용어·배경 설명
아라비카(Arabica)는 부드러운 맛과 향을 지닌 프리미엄 품종으로, 세계 커피 무역의 약 60%를 차지한다. 로부스타(Robusta)는 카페인 함량이 높고 강한 쓴맛을 가진 품종으로, 인스턴트 커피나 에스프레소 블렌드에 주로 사용된다.
라니냐(La Niña)는 열대 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낮아지는 현상으로, 남미·호주·동남아 기후에 큰 변동성을 초래한다. 브라질의 경우 건조한 날씨가 지속돼 커피나 사탕수수 작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전문가 시각
시장 분석가들은 “단기적으로는 비 예보와 관세 이슈가 가격 추가 하락을 자극할 수 있지만, 재고 감소와 기상 불확실성이 결합돼 중·장기적 상승 모멘텀이 유지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미 정부가 관세를 철회할 경우 미국 내 공급 압박은 완화되지만, 외부 수요 변화로 ICE 재고 흐름이 재차 뒤흔들릴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브라질 소재 대형 무역사의 한 딜러는 “개화기에 가뭄이 이어지면 내년 이후 생산 차질이 불가피하다”면서, 2026/27년 공급 불안을 대비해 헤지 전략을 강화할 것을 권고했다.
앞으로의 관전 포인트
① 미·브라질 관세 협상 결과와 시기
② 브라질 남동부 강수 추이 및 라니냐 발달 경로
③ ICE·런던 거래소 재고 변화
④ 베트남·인도네시아 수출 속도가 향후 가격 방향성을 결정할 핵심 변수로 꼽힌다.
투자자들은 향후 몇 주간 공개될 주간 CFTC 포지션 보고서, 브라질·베트남 수출 통계, 그리고 미국 무역정책 관련 발언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