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가 S&P 500 지수(SPX) -1.12%, 다우존스 산업평균(DOWI) -0.84%, 나스닥 100(IUXX) -1.91%로 마감하며 2주래 최저치로 후퇴했다다. 12월물 E-미니 S&P 선물(ESZ25)은 -1.07%, 12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NQZ25)은 -1.86% 하락했다. 시장은 미 노동시장 냉각을 강하게 시사한 첼린저(Challenger, Gray & Christmas)의 감원 보고서를 계기로 위험자산 회피 심리가 확산된 가운데, 반도체주 약세가 전반적 매도 심리를 더욱 자극했다고 평가된다
자료: Barchart
2025년 11월 6일, 바차트(Barchart)의 보도에 따르면, 이날 미 국채 10년물 금리가 -7bp 하락한 4.09%로 떨어지며 주가 하락 폭을 일부 제한했다. 약한 고용지표가 연준(Fed)의 추가 금리인하 지속 기대를 키웠다는 해석이다. 한편, S&P 500 기업의 3분기 실적 중 81%가 예상치를 상회하며 기업 펀더멘털은 견조함을 유지했다
자료: Barchart
첼린저에 따르면, 미국의 10월 감원 공지는 전년동월 대비 +175.3% 급증한 153,074건으로, 7개월 만에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고 10월 기준 22년 만에 최다를 나타냈다. 연중 누적 감원은 100만 건을 넘어 팬데믹 이후 최대 수준이며, 채용 계획은 2011년 이후 최저로 집계됐다. 이는 고용시장의 온기가 뚜렷이 식고 있음을 시사한다
“노동시장 냉각은 인플레이션 압력 완화 기대를 높이지만, 동시에 기업들의 채용 보류·감원 확대가 실물경제 둔화로 이어질 리스크를 내포한다.”
연준 인사들의 매파적(긴축 선호) 발언은 주가에 부정적으로 작용했다. 아우스턴 굴즈비 시카고 연은 총재는 정부 셧다운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데이터 공백이 연준의 금리인하 기조를 지속하기에 “더 불안하게 만든다”고 언급했다. 베스 해맥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도 “높은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우려된다”며 통화정책이 인플레에 맞서야 한다고 강조, 정책금리의 완만한 제한적(긴축적) 수준 유지를 지지했다
그럼에도 금리선물 시장은 12월 9~10일 FOMC에서 -25bp 추가 인하가 이뤄질 확률을 약 69%로 반영하고 있다. 이는 노동 완화와 물가 기대 안정이 정책 완화의 명분을 제공할 수 있다는 기대와 연결된다
미 대법원, ‘상호관세’ 합법성에 회의적…최대 800억 달러 환급 가능성
한편, 미국 연방대법원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s)가 합법인지에 대해 회의적 태도를 보였다. 존 로버츠 대법원장과 고서치·배럿 대법관 등은 긴급권한법을 근거로 한 관세 부과에 의문을 제기했으며, 로버츠는 해당 관세가 “미국인에 대한 세금 부과로서 전통적으로 의회 권한”이라고 지적했다. 대법원 판결은 올해 말 또는 2026년 초에 나올 전망이다
하급심은 이미 1977년 국제비상경제권법(IEEPA)에 근거한 트럼프의 상호관세가 불법이라고 판단했다. 만약 대법원이 이를 확정할 경우, 상호관세 및 펜타닐 연계 관세로 징수된 800억 달러+의 환급 가능성이 제기되며, 향후 관세 부과 권한은 무역법 232·301·201조 등 근거가 명확한 조항에 제한될 수 있다
용어 설명보충: 상호관세는 교역 상대국 관세 수준에 맞춰 동일·유사 관세를 부과하는 접근법이다. IEEPA는 비상사태에서 대통령의 경제 권한을 규정하나, 관세 부과 권한의 범위는 법적 논쟁 대상이다. 232·301·201조는 각각 국가안보, 불공정 무역 시정, 세이프가드 관련 절차를 의미한다
실적 시즌: 이익 서프라이즈는 많지만 성장률은 둔화
S&P 500 구성 종목 중 이번 주 136개 기업이 실적을 발표한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지금까지 81%가 컨센서스를 상회해 2021년 이후 최고 분기 흐름에 근접하고 있다. 다만 3분기 이익 증가율은 +7.2% (y/y)로 2년 만에 가장 낮은 폭이 전망되며, 매출 증가율도 +5.9% (y/y)로 2분기(+6.4%) 대비 둔화가 예상된다
자료: Barchart
미 연방정부 셧다운은 6주차에 들어서며 역대 최장을 기록 중이다. 이는 정부 통계 발표 지연을 야기하고, 소비·고용·투자 전반에 부정적 파급을 미칠 수 있어 경기 둔화 리스크를 키우고 있다. 채권시장에서는 이러한 리스크가 추가 금리인하 여지를 넓힌다는 기대와 맞물린다
해외 증시·금리: 유로존 약세, 중국·일본 강세 혼조…유럽 채권금리 하락
해외 증시는 혼조로 마감했다. 유로 스톡스 50은 -1.02% 하락했고, 중국 상하이종합은 +0.97% 상승, 일본 닛케이225는 +1.34% 상승 마감했다
자료: Barchart
금리 측면에서, 12월 만기 10년물 미 국채선물(ZNZ5)은 +16틱 상승했고, 미 10년물 금리는 4.091%로 -6.8bp 하락했다. 10년물 기대인플레이션(브레이크이븐)은 2.283%로 1주 최저를 기록했다. 노동지표 약화와 셧다운 불확실성이 완화적 통화정책 기대를 지지했다
유럽 채권도 강세를 보였다. 독일 10년물 분트 금리는 2.650%(-2.3bp), 영국 10년물 길트는 4.433%(-2.9bp)로 하락했다. 유로존 9월 소매판매는 -0.1% (m/m)로 예상(+0.2%)을 하회했고, 독일 9월 산업생산은 +1.3% (m/m)로 예상(+3.0%)에 못 미쳤다. 루이스 데 긴도스 ECB 부총재는 “서비스 물가가 더 잘 ‘관리’되고 있어 인플레이션 뉴스는 긍정적”이라면서도, 성장은 예상보다 다소 탄력을 보인다고 평가했다
영란은행(BOE)은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4.00%로 동결했다. 앤드루 베일리 총재는 “금리는 완만한 하향 경로에 있지만, 물가가 2% 목표로 회귀하고 있음을 확신하기 전까지는 추가 인하를 단행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한편, 스왑시장은 ECB 12월 18일 회의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약 4%로 반영 중이다
섹터·종목: 반도체주 급락이 지수 하방 견인
반도체주 약세가 두드러졌다. AMD는 -7% 초과 하락했고, Nvidia(NVDA)·Qualcomm(QCOM)·Applied Materials(AMAT)·GlobalFoundries(GFS)는 -3% 초과 약세였다. Intel(INTC)·Microchip Tech(MCHP)·ON Semiconductor(ON)는 -2% 초과 하락했고, NXP(NXPI)·Lam Research(LRCX)·KLA(KLAC)도 -1% 초과 밀렸다
대형 낙폭주로는 Elf Beauty(ELF) -34% 초과(2026년 조정 EPS $2.80~$2.85, 컨센서스 $3.53 하회), Duolingo(DUOL) -26% 초과(4분기 부킹 $329.5억~$335.5억, 컨센서스 $344.1억 하회), CarMax(KMX) -25% 초과(3분기 예비 EPS $0.18~$0.26, 컨센서스 $0.69 하회, 12월 1일부 CEO 내시 해임), DoorDash(DASH) -17% 초과(4분기 조정 EBITDA $7.10억~$8.10억, 중간값 컨센서스 $8.027억 하회), Paycom(PAYC) -11% 초과(3분기 조정 EPS $1.94, 컨센서스 $1.96 하회), Robinhood(HOOD) -10% 초과(연간 조정 영업비용·주식보상 전망 $22.8억으로 상향, 이전 $21.5억~$22.5억), Fortinet(FTNT) -6% 초과(연간 서비스 매출 $45.8억~$46.0억, 컨센서스 $46.1억 하회)가 있었다
상승 종목으로는 Datadog(DDOG) +23% 초과(연간 조정 EPS 전망 $2.00~$2.02로 상향, 컨센서스 $1.84 상회)과 Coherent(COHR) +18% 초과(1분기 매출 $15.8억으로 컨센서스 $15.4억 상회, 2분기 매출 $156억~$17.0억원문 수치 표기, 중간값 컨센서스 $15.6억 상회)가 눈에 띄었다. Air Products and Chemicals(APD) +8% 초과(2026년 조정 EPS $12.85~$13.15, 중간값 컨센서스 $12.89 상회), Parker-Hannifin(PH) +7% 초과(1분기 순매출 $51.0억, 컨센서스 $49.4억 상회), STERIS(STE) +6% 초과(2026년 계속사업 기준 조정 EPS $10.15~$10.30로 상향)도 강세를 보였다
Lyft(LYFT)는 +5% 초과 상승했다. 3분기 총부킹 $47.8억으로 컨센서스 $47.6억을 넘었고, 4분기 총부킹 가이던스 $50.1억~$51.3억도 컨센서스 $50.1억을 상회했다. Cummins(CMI)도 +5% 초과(3분기 순매출 $83.2억, 컨센서스 $80.0억 상회), Rockwell Automation(ROK)은 +2% 초과(4분기 매출 $23.2억, 컨센서스 $22.0억 상회) 올랐다
기업 일정
2025년 11월 7일 실적 발표: Constellation Energy (CEG), Duke Energy (DUK), Franklin Resources (BEN), KKR & Co (KKR)
핵심 개념 설명
E-미니 선물은 정규 지수선물의 축소판으로, 개인·기관이 지수 방향성에 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파생상품이다. 브레이크이븐 인플레이션은 명목국채 금리에서 물가연동국채(TIPS) 금리를 뺀 값으로, 시장의 향후 물가 기대를 가늠하는 지표다. EBITDA는 이자·세금·감가상각·무형자산상각 차감 전 이익으로, 기업의 현금창출력과 본업 수익성을 비교적 명확히 보여준다
기자 해설: ‘냉각되는 고용’과 ‘매파 발언’의 충돌, 향하는 곳은 금리
이번 장세의 핵심 변수는 노동시장 냉각–인플레 둔화 기대–연준의 추가 인하라는 선순환 기대와, 매파적 커뮤니케이션–데이터 공백(셧다운)–정책 신중론이라는 역풍의 충돌이다. 감원 급증과 채용계획 축소는 명백히 수요 둔화를 가리키지만, 연준은 물가 2% 회귀의 ‘확신’을 요구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금리 민감 섹터(테크·성장주)에는 장단기의 압력이 혼재한다. 특히 반도체주는 밸류에이션 민감도와 업황 모멘텀 기대가 교차하며 지수 변동성을 키우는 축으로 작동하고 있다
무역정책 측면에서는 대법원 판단이 관세 리스크 프리미엄을 좌우할 수 있다. 800억 달러 규모 환급 가능성은 특정 업종의 현금흐름 및 수입비용에 구조적 변화를 일으킬 소지가 있으며, 향후 관세수단이 232·301·201조로 제약될 경우 정책의 예측가능성은 커지되, 정치·지정학 변수의 파급은 상대적으로 통제될 수 있다
요컨대, 채권금리의 하향 안정과 실적의 질이 주가 하방을 방어하는 동안, 셧다운 장기화와 데이터 공백은 정책 신호의 불확실성을 키운다. 투자자에게는 현금흐름 가시성이 높은 종목과 실적 개별 모멘텀이 살아 있는 업종에 선별적 접근이 합리적이며, 단기적으로는 고용·물가·연준 가이던스의 정합성 회복이 위험자산의 다음 방향성을 결정할 가능성이 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