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주 약세에 뉴욕증시 혼조 마감

S&P 500 지수는 전장 대비 -0.24% 하락해 1주 반 만의 저점을 기록했고, 나스닥 100 지수는 -0.58% 떨어져 2주 만의 최저치로 내려앉았다. 반면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소폭인 +0.04% 상승으로 마감하며 혼조세를 보였다. 선물시장에서도 9월물 E-mini S&P는 -0.29%, 9월물 E-mini Nasdaq은 -0.64% 하락했다.

2025년 8월 21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기술 대형주의 약세와 반도체주 매도세가 시장 전반을 끌어내린 것이 주된 하락 요인으로 지목됐다. 특히 ‘매그니피센트 세븐’으로 불리는 빅테크 7개 종목과 칩메이커들의 동반 부진이 투자심리를 크게 위축시켰다.

미국 유통 대기업 타깃(Target)은 연간 매출 가이던스를 예상보다 크게 낮춰 -6% 이상 급락했고, 화장품 업체 에스티 로더(Estée Lauder) 역시 2026년 주당순이익(EPS) 전망을 하향 조정하며 -3% 넘게 떨어졌다. 반면 월마트(Walmart)는 같은 날 +1% 이상 오르며 다우존스지수의 플러스를 지켜냈다. 월마트는 22일 개장 전 발표될 2분기 실적에서 미국 점포 기존매출 성장률+4.21%로 전망치(Ex-Gasoline 기준)를 상회할 것이라는 기대가 반영됐다.

‘매그니피센트 세븐’이란 애플·알파벳·아마존·테슬라·마이크로소프트·메타 플랫폼스·엔비디아 등 시가총액 기준 미국 증시를 이끄는 7대 거대 기술주를 일컫는 별칭이다. 이들 종목은 지수 편입 비중이 커 지수 전체의 변동성을 좌우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날도 동시다발적인 약세 흐름이 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미국 주택금융협회(MBA) 자료에 따르면 8월 15일 주간 모기지 신청 건수는 전주 대비 -1.4% 감소했다. 구입용 대출지수는 +0.1% 늘었지만 재융자 지수는 -3.1% 축소됐다. 30년 고정 모기지 평균 금리는 6.67%에서 6.68%로 1bp 상승해,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7월 회의록은 다소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으로 해석됐다. 다수의 위원은 고용 약화보다 인플레이션 상방 위험을 더 우려하며 노동시장 상황을 “견조하다”라고 평가했다. 이에 따라 시장에서는 올해 9월 -25bp 금리 인하 가능성을 84%로, 10월 추가 인하 가능성을 55%로 각각 낮춰 반영했다.

FOMC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통화정책 결정 기구다. 회의록은 통상 회의가 끝난 지 수주 뒤 공개되며, 문구의 뉘앙스 하나하나가 금리 전망과 달러 흐름에 상당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지정학적 측면에서는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외교 협상이 진전을 보이고 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조만간 푸틴·젤렌스키 정상회담 개최를 추진 중이며, 유럽 지도자들은 평화협정의 일환으로 영국·프랑스군 파병을 논의 중이다. 협상 결과는 관세정책과 유가, 더 나아가 유럽 안보 환경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이번 주 시장의 초점은 추가 관세 뉴스와 우크라이나 평화협상 진척 여부에 맞춰져 있다. 22일 발표될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225,000건(전주 대비 +1,000건)으로 예상되며, 필라델피아 연준 제조업지수는 6.7로 하락, S&P 제조업 PMI는 49.8로 유지될 전망이다. 23일에는 파월 의장이 와이오밍 잭슨홀 심포지엄에서 경제전망 연설을 할 예정이다.

관세 부문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주부터 모터사이클·자동차 부품·가구 부속품 등 철강·알루미늄을 포함한 400여 소비재에 대해 관세를 확대 적용하기 시작했다. 그는 “향후 1~2주 내 칩·반도체에도 100%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미국 내 생산 이전 기업은 면제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밖에 중국과의 관세 휴전 90일 연장, 인도산 제품 관세 50% 인상, 제약품 관세 계획 등으로 평균 관세율은 15.2%까지 높아질 전망이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집계 기준, S&P 500 기업의 2분기 순익은 전년 동기 대비 +9.1% 증가해 사전 예상치(+2.8%)를 크게 웃돌았다. 이미 93% 이상의 기업이 실적을 발표했으며, 이 가운데 83%가 컨센서스를 상회했다.


해외 증시에서는 유로 Stoxx 50이 -0.20% 하락했고,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10년 만의 최고치로 +1.04% 상승했다. 일본 니케이 225는 -1.51% 밀렸다. 채권시장에서는 9월물 10년 만기 미 재무부선물이 3틱 올라 수익률이 4.291%로 1.5bp 하락했다. 독일 10년물 국채금리는 -3.3bp(2.717%), 영국 10년물 길트금리는 -6.8bp(4.672%) 떨어졌다.

영국 7월 소비자물가(CPI)는 +3.8% y/y로 시장 예상을 상회하며 1년 반 만의 최고 증가율을 기록했다. 핵심 CPI도 +3.8% y/y로 예상치를 넘어섰다. 이에 따라 유럽중앙은행(ECB)의 9월 25bp 금리 인하 확률은 금리 스와프시장에서 7%로 낮게 반영되고 있다.


주요 종목별 동향

매그니피센트 세븐 중 애플·알파벳·아마존·테슬라는 -1% 이상, 마이크로소프트는 -0.79%, 메타는 -0.50%, 엔비디아는 -0.14% 하락했다. 반도체 업종에서는 인텔이 -6% 급락하며 S&P 500과 나스닥 100 내 최하락 종목이 됐고, 마이크론은 -3% 이상 밀렸다. ARM·브로드컴·마벨·램리서치도 -1%대 약세를 보였다.

건축 자재 업체 제임스 하디는 2분기 영업이익이 -29% 급감했다는 소식에 -34% 폭락했고, 가구 제조사 레이지보이 역시 1분기 동기 매출 -4%와 2분기 가이던스 미달로 -12% 하락했다.

반면, 아날로그 디바이시스(ADI)는 3분기 매출(28억 8,000만 달러)이 예상(27억 6,000만 달러)을 상회하며 +6% 급등, 허츠 글로벌은 중고차를 ‘아마존 오토스’ 채널에서 판매한다는 보도로 +6% 상승했다. 레제네론, TJX, 데이포스, 잭 헨리 앤드 어소시에이츠, 매코믹 등도 호재성 뉴스로 1~3%대 오름세를 기록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기술·반도체 업종의 추가 조정 가능성을 경계하면서도, 견조한 소비·고용 지표와 양호한 기업 실적이 지수 하방을 단단히 지지하고 있다고 평가한다. 다만 관세 정책과 연준의 통화 기조 불확실성이 산재해 있어 단기 변동성 확대에는 유의가 필요하다.

“현재 미국 증시는 고평가 논란에도 불구하고 실적·소비가 받치는 ‘탄탄한 바닥’을 갖고 있다”

는 것이 다수 애널리스트의 중론이다. 필자는 특히 파월 의장의 잭슨홀 발언이 향후 달러·채권·주식시장의 핵심 트리거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