긍정적 실적이 뉴욕 증시를 견인하다

S&P 500,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나스닥 100이 25일(현지시간) 장중 소폭 상승세를 보이며 이번 주 기록한 사상 최고치 부근에서 공방을 이어갔다. S&P 500 지수는 전일 대비 +0.14%, 다우지수는 +0.11%, 나스닥 100 지수는 +0.13% 올랐다.

2025년 7월 25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9월물 E-mini S&P 선물은 +0.10%, 9월물 E-mini 나스닥 선물은 +0.09% 상승했다. 이번 주 S&P 500과 나스닥 100이 잇달아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가운데, 83%에 달하는 S&P 500 편입기업이 2분기 실적 예상치를 상회한 점이 증시에 우호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상장사들의 실적이 예상보다 견조하다”는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집계가 투자심리를 지탱하는 모습이다.


[호재]
• Comfort Systems USA(FIX)는 2분기 매출이 217억 달러로 컨센서스(196억 달러)를 웃돌며 +19% 급등했다.
• Deckers Outdoor(DECK)는 매출이 9억6,450만 달러로 예상치 9억140만 달러를 크게 초과, S&P 500 상승률 1위를 기록했다.
• UnitedHealth(UNH)·CVS Health(CVS) 등 헬스케어 대형주도 2% 이상 동반 상승했다.

[악재]
인텔(INTC)은 2분기 주당 –0.10달러의 ‘어닝쇼크’를 발표하며 +1센트 흑자 예상과 대비됐다. 연내 설비투자 축소와 인력 15% 감축 계획까지 밝히며 주가가 –9% 급락, 반도체 섹터 전반에 하방 압력을 가했다.
• Charter Communications(CHTR) 역시 EPS(9.18달러)가 예상(9.82달러)을 밑돌아 –13% 급락, S&P 500 하락률 1위에 올랐다.


거시 지표도 증시에 부담을 줬다. 6월 미국 국방·항공 제외 자본재 신규수주가 전월 대비 –0.7% 감소해 시장 예상(+0.1%)을 빗나갔다. 금리 선물시장은 7월 29~30일 FOMC에서 5%, 9월 16~17일 회의에서 63%25bp 금리 인하 가능성을 반영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150여 개국에 15~50%의 단순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경고하며 8월 1일 관세 시한을 못 박았다.

해외시장도 대체로 약세였다. 유로 Stoxx 50 지수는 –0.40%, 상하이종합지수 –0.33%, 닛케이225 –0.88%로 마감했다.


채권·금리*1
• 9월물 미 10년물 T-노트는 3틱 하락, 수익률은 4.420%로 2.4bp 상승했다.
• 독일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2.733%로 3.1bp 올라 3.75개월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 ECB 이사회 카작스 위원은 “경제에 중대한 충격이 없다면 추가 인하 여지가 크지 않다”고 밝혔다.

*1 ‘틱( tick )’은 선물 가격 최소 변동 단위를 의미한다. 국채선물 1틱은 0.015625포인트(32분의 1포인트)다.


개별 종목 움직임

barchart

Edwards Lifesciences(EW) — 2분기 매출 15억3,000만 달러(예상 15억 달러) 발표와 함께 연간 매출가이던스를 59억~61억 달러로 상향, 주가 +7%.

Newmont(NEM) — 금광 회사인 뉴몬트는 2분기 매출 53억2,000만 달러로 시장 전망 48억5,000만 달러를 넘어 +6%.

Aon(AON) — 조정 EPS 3.49달러(컨센서스 3.40달러)로 +6% 상승.

Estee Lauder(EL) — JP모건 ‘비중확대’로 상향(+3%).

Palantir(PLTR) — 파이퍼 샌들러 ‘비중확대’ 신규 커버리지(+2%).

Gilead Sciences(GILD), Carvana(CVNA)도 증권사 투자의견 상향에 2%가량 동반 상승했다.


경제·금융 용어 한눈에 보기

E-mini 선물: CME가 거래하는 지수선물로, 표준 S&P 500 선물의 5분의 1 규모다. 개인투자자 접근성이 높아 지수 방향성 파악에 자주 인용된다.

Federal funds futures: 연방기금금리(미국 은행 간 초단기 금리)에 대한 시장 예상이 반영된 선물계약이다. 금리 인하/인상 확률을 가늠할 때 사용된다.

Bund(분트): 독일 연방정부가 발행하는 10년 만기 국채다. 유럽금리의 벤치마크로 통한다.

M3 통화공급: 현금, 요구불·정기예금, 채권 등 광의통화를 포괄하는 지표로, 시중 유동성을 보여준다.

IFO 기업신뢰지수: 독일 뮈넨 소재 Ifo 경제연구소가 매월 발표하는 경기선행지표. 100 기준선 위·아래로 경기 낙관·비관을 뜻한다.


전문가 관전평

이번 주 들어 확인된 ‘실적 서프라이즈’는 인덱스 전반의 버팀목 역할을 하고 있다. 다만 인텔·차터의 사례에서 보듯 산업별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뚜렷하다. 금리 인하 기대는 남아 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압박과 부진한 자본재 수주는 경기 불확실성을 키운다. 연준이 9월 금리 인하를 단행한다 해도 통화정책보다 기업 이익 모멘텀이 지수 방향성을 좌우할 가능성이 크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하반기 경기 둔화 위험폴리시 리스크를 병행 감시하면서, 실적 가시성이 높은 방어주·헬스케어 및 현금흐름 견조한 IT 대형주 중심의 ‘바이 앤드 홀드’ 전략이 유효해 보인다.


본 기사에서 언급된 개별 기업 주가 정보는 정보 제공 목적일 뿐이며, 투자 권유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