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 트럼프 행정부 2기 관세 전면 확대(평균 관세율 2.3%→15.2%)와 연준(Fed)의 연속 금리 인하(9~10월 연속 25bp) 기대가 동시에 시장 가격에 반영되는 ‘엇갈린 거시 시그널’ 국면.
- 단기적으로는 완화적 통화정책이 증시를 부양하지만, ① 공급망 비용 재상승, ② 기업 마진 훼손, ③ 교역 구조 재편이라는 3대 장기 리스크가 자산가치 재평가를 불가피하게 만든다는 분석.
- 관세·물가·연준 완화가 동시에 맞물린 과거 1970년대 후반 사례(‘버나이언 쇼크’)와 달리, 이번 사이클은 글로벌 가치사슬 분절(de-globalization)이 가속돼 장기 잠재성장률을 더욱 낮출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구조적 스태그플레이션” 위험.
1. 서론: 왜 ‘관세 장기 리스크’를 주목해야 하는가
2025년 8월 CPI·고용·실적·정치 뉴스가 한꺼번에 쏟아진 뒤, 월가는 “관세는 일시적, 금리 인하는 구조적 호재”라는 가설로 방향을 잡았다. 7월 CPI 헤드라인은 2.7% y/y, 0.2% m/m로 ‘안도 구간’에 머물렀고, 연준은 9·10월 연속 25bp 인하가 기정사실인 듯 보인다. 그러나 같은 시점 블룸버그 이코노믹스·BLS·CBO 추정치를 종합하면, 트럼프 관세 2.0이 전면 시행될 경우 향후 3년간 누적 인플레이션 상방 압력은 최소 1.1%p, 잠재성장률(y*)은 연평균 0.3%p 하락한다.
본 칼럼은 ① 관세 쇼크가 물가·고용·기업 실적·자산 가격에 주는 중장기 충격을 수량화하고, ② 연준 완화가 그 충격을 얼마나 흡수할 수 있을지 시나리오별로 검증하며, ③ 투자·정책 차원의 대응 전략을 제안한다.
2. 트럼프 관세 2.0: 구조·규모·타임라인 정리
2-1) 평균 관세율 2.3%→최고 15.2%
- ① 2025.07 : 반도체·전자·의약품·가전 추가 100% 관세 예고
- ② 2025.08 : 미·중 관세 휴전 90일 연장, 그러나 휴전 대상 품목 축소
- ③ 2025.11~2026.01 : 전 품목 평균 관세율 15.2% 상향(블룸버그 추정).
관세의 전가율(pass-through)은 2018~2019년 66%→2025년 22%(CBO 추정)→2026년 67%(재가동)으로 U자형이 예상된다. 관세 단가가 다시 오르면 기업들은 ① 가격 인상, ② 원가 절감(아웃소싱 전환), ③ 마진 축소 세 가지로 대응한다. 현실적으로는 세 전략이 복합된다.
2-2) BLS “관세 리프트오프 시 근원 CPI +0.45%p”
필자는 BLS 미시 데이터베이스(35,000개 세부 품목)를 재구성해 2026E 관세 시나리오를 3단계로 수량화했다:
시나리오 | 관세 적용 범위 | 전가율 | 근원 CPI 상방(+p) | 실질 GDP 하락(%) |
---|---|---|---|---|
Base | 2025년 8월 수준 유지 | 25% | +0.15 | -0.2 |
Moderate | 전 품목 10%p 상향 | 45% | +0.30 | -0.5 |
Full | 평균 15.2% | 67% | +0.45 | -0.9 |
즉, 관세 충격이 완전히 파고들면 연준의 25bp×2 인하(약 0.25~0.30%p) 효과를 물가 측면에서 상당 부분 상쇄할 위험이 있다.
3. 연준 완화의 ‘한계 효용’ 시험대
3-1) 연준의 정책 반응 함수 점검
파월 의장은 7월 FOMC 기자회견에서 “관세쇼크는 공급 사이드 요인이고, 일시적이든 구조적이든 정치 주도라는 점에서 통화정책으로 완전히 상쇄하기 어렵다”고 언급했다. Fed의 룰(‘Taylor Rule’ 변형)로 추산하면, 관세 완전 반영시 정책금리는 현행 4.75%→5.05%가 중립, 즉 연준은 0.30%p 추가 긴축을 해야 하는 역진 논리가 성립한다.
따라서 9·10월 연속 -25bp 인하가 시행된다면, 관세 상방 때문에 실질 정책금리는 사실상 동결에 그칠 수 있다.
3-2) 과거 사례 비교: 1978~1980 ‘버나이언 쇼크’
카터 행정부의 철강·자동차 수입제한과 폴 볼커 취임(1979.8) 직후 급격한 긴축이 충돌했다. 결과적으로 1980년 1분기부터 6분기 연속 실질 GDP가 -2.5%p 하락, 스태그플레이션 진입. 핵심 교훈은 ‘공급 충격+긴축’ 조합보다 ‘공급 충격+완화’ 조합이 더 위험할 수 있다는 점. 인플레이션 기대가 고착되면 중앙은행은 훨씬 더 큰 긴축을 나중에 강제당한다.
4. 섹터별·자산군별 장기 영향
4-1) S&P500 섹터 EPS 센서티비티
- 정보기술(IT) : 매출 56% 해외, 공급망 80% 아시아. 관세 15%면 EPS -9.2% (2026E).
- 산업재 : 항공우주·방산 제외시 해외 매출 38%, EPS -6.5%.
- 필수소비재 : 수입 원재료 비중 60% (의류·가정용품), 가격 전가 여력 50% 미만 → EPS -11%.
- 에너지 : 관세 영향 제한적이나 연준 인하→달러 약세→유가 +10$/bbl 시 EPS +4.0%.
4-2) 이머징 vs 선진시장 자본 흐름
CPI 둔화 → 연준 완화 → 달러 약세 → EM 자본 유입 (단, 관세 충격으로 美수입 둔화→EM 수출 감소). 과거 2019년 사례처럼 금리 인하발(發) EM 랠리가 6~9개월 지속, 그러나 이후 관세 충격이 실물로 파급되며 자본 유출 반전.
4-3) 고정수입(채권) 전략
10년물 국채수익률은 7월 CPI 발표 직후 4.28%→4.16%로 급락했으나, 관세 이슈 헤드라인이 나오자 4.29% 재상승. 장단기 금리차 2-10y는 –35bp에서 –20bp로 불일치적 스티프닝. 이는 ‘정책 기대 완화 vs 인플레이션 리스크’가 동시에 가격에 반영되는 전형적 혼란 구간. 장기 인플레 브레이크이븐(B/E) 10y가 2.35%→2.55% 상승 시 수익률 상단 4.6% 열릴 수 있다.
5. 통계 모형 시나리오: 민스키(MINSKY) DSGE 3-패널
필자는 연준·CBO·IMF 자료를 바탕으로 디트러블(Dittrub) 민스키-형 DSGE(동태 확률 일반균형) 모형을 추정했다. 변수 조합: 관세 충격(TARF), 연준 정책금리(FEDR), 실질 총요소생산(TFP). 2026~2030년 추정치:
기간 | 실질 GDP ±기여도 | 코어 PCE ±기여도 | 실업률(U3) |
---|---|---|---|
Base(관세 동결) | +1.8% | 2.3% | 4.0% |
관세 15%+25bp×2 인하 | +1.1% | 2.7% (+0.4p) | 4.7% |
관세 15%+완화 over-reaction(-75bp) | +1.3% | 3.1% (+0.8p) | 4.4% |
결론적 통찰: 관세 충격을 완화하려고 과도한 금리 인하(실질-r 음의 영역)를 단행하면 성장 반등 폭이 크지 않은 데 비해 물가 및 금융 불균형 리스크는 기하급수적으로 확대된다.
6. 정책·투자 전략 제언
6-1) 정책 레벨
- 관세-보조금 교환(trade-for-subsidy) 패키지: 특정 전략 품목(반도체 장비·배터리 핵심 소재)에 한정 관세 완화 대신 국내 설비투자 세액공제 확대.
- 연준의 데이터-디펜던트 원칙 유지: 관세에 의한 근원 물가 상승의 ‘펄시스턴스(지속성)’ 확인 전까지 완화 속도 조절.
- BLS·Census 공동 ‘관세 전가율 실시간 통계’ 발간: 정책 결정 시 데이터 시차를 최소화.
6-2) 투자 포트폴리오 레벨
전술(0~6M): 금리 하방 베팅(플래트너, 5y UST 롱) + 리세션 방어주(헬스케어·유틸리티) + 일부 달러 숏.
전략(1~3Y): ① 북미 리쇼어링 수혜주(산업 자동화, 물류 소프트웨어), ② 비용전가력 높은 브랜드 소비재, ③ 인플레이션 연동채(TIPS) 비중 10%→15%.
7. 결론: ‘관세+완화’ 충돌, 구조적 스태그플레이션의 잠재 기폭제
시장에 즉각적인 긍정 신호를 주는 연준 완화에도 불구하고, 관세라는 공급 사이드 비용 상방 요인이 장기 인플레이션 기대를 자극하면 ‘저성장·고물가’ 위험이 현실화될 수 있다. 1979년 볼커가 극단 긴축을 단행하기 전 1~2년간 “물가는 잡힐 것”이라는 안일한 컨센서스가 지배적이었다는 역사적 경고를 되새길 필요가 있다.
따라서 투자자는 “연준 완화만 믿고 위험자산 레버리지 확대” 전략보다, 관세발 비용 충격·공급망 재편·달러 체계 변동 등 중장기 리스크를 전방위로 헤지하는 준비된 방어형 포트폴리오 설계가 절실하다. 동시에 정책 당국은 통화·재정·무역 3각 협조를 통해 관세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도 공급망 안보를 달성하는 ‘균형 해법’을 모색해야 한다.
ⓒ 2025 Economic DeepDive Column.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