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개장 동향] 25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S&P 500 지수는 0.25% 상승했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도 0.25% 올랐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100 지수는 0.19% 상승하며 장중 사상 최고치를 다시 썼다. 파생상품 시장에서도 9월물 E-mini S&P 500 선물은 0.18%, 9월물 E-mini 나스닥 선물은 0.10% 각각 상승세를 나타냈다.
2025년 7월 25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시장은 견조한 2분기 기업 실적과 미국 경제의 회복력을 바탕으로 상승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가 집계한 결과, 실적을 발표한 S&P 500 기업 가운데 83%가 컨센서스를 웃도는 순이익을 기록하며 랠리를 이끌었다.
한편 인텔(INTC)은 2분기 주당순손실(EPS) –0.10달러를 기록해 시장 예상치(+0.01달러) 대비 충격적인 부진을 보이며 –9% 급락,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하락을 주도했다. 회사는 연말까지 자본지출 축소와 인력 15% 감축 계획을 밝히며 추가적인 비용 절감에 나섰다. 차터 커뮤니케이션스(CHTR) 역시 2분기 EPS 9.18달러로 전망치(9.82달러)를 밑돌며 주가가 –17% 급락했다.
[경제지표] 미국 6월 방위·항공 제외 자본재 신규주문이 전월 대비 –0.7% 감소해 예상치(+0.1%)를 크게 밑돌았다. 해당 지표는 기업 설비투자를 가늠하는 선행 지표로서, 이날 발표는 주가 상승 폭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우리는 15%에서 50% 사이의 단순 관세를 적용할 예정이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시장 참가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8월 1일 관세 강화 데드라인을 주시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150개국 이상에 최대 50%의 관세 부과 가능성을 시사하며 무역합의 압박 수위를 높였고, 이로 인해 글로벌 교역 불확실성이 재차 부각됐다.
연방기금선물(FF) 시장은 7월 29~30일 FOMC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3%, 9월 16~17일 회의에서 67%로 각각 반영하고 있다.
[실적 시즌 동향] 이번 주 S&P 500 기업 가운데 약 20%가 실적을 발표했으며, 2분기 EPS 성장률은 전년 동기 대비 4.5%로 시즌 시작 전 예상치(2.8%)를 상회했다. 이는 팬데믹 이후 지속된 비용 절감과 AI 수요 확대 등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국제 증시] 유럽 Euro Stoxx 50은 –0.23% 하락했고,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33%, 일본 닛케이225는 –0.88% 각각 약세로 마감했다.
[채권·금리] 9월물 미국 10년 만기 국채선물(ZN)이 2틱 하락, 금리는 4.408%로 1.2bp 상승했다. 독일 10년물 금리가 3.75개월 만에 최고치(2.769%)를 경신한 가운데, 미 재무부가 월요일 2년물 690억 달러, 5년물 700억 달러를 입찰할 예정이어서 공급 부담이 부각됐다.
유럽중앙은행(ECB) 집행위원 카작스는 “경제가 큰 충격을 받지 않는 한 추가 인하 필요성이 크지 않다”며 기준금리 동결 기조를 시사했고, 분데스방크 나겔 총재 역시 “물가·경기 전망이 완화돼 완만한 통화정책이 적절하다”고 언급했다.
[종목별 동향 – 상승]
• 센틴(CNC) +4% : 오바마케어(ACA) 사업 구조조정 계획 발표, 2026년 흑자 전환 목표.
• 휴매나(HUM), 엘리번스 헬스(ELV), CVS 헬스(CVS), 몰리나 헬스(MOH) +3% 이상 : 건강보험 섹터 전반 동반 강세.
• 데커스 아웃도어(DECK) +13% : 1분기 매출 9억6,450만 달러(컨센서스 9억140만 달러) 기록.
• 컴포트 시스템즈 USA(FIX) +15% : 2분기 매출 21억7,000만 달러(컨센서스 19억6,000만 달러) 상회.
• 뉴몬트(NEM) +6% : 2분기 매출 53억2,000만 달러(컨센서스 48억5,000만 달러) 호조.
• 에이온(AON) +6% : 2분기 조정 EPS 3.49달러(컨센서스 3.40달러) 기록.
• 에드워즈 라이프사이언스(EW) +4% : 2분기 매출 15억3,000만 달러(컨센서스 15억 달러) 및 연간 가이던스 상향.
• 팔란티어(PLTR) +2% : 파이퍼 샌들러 투자의견 ‘비중확대’, 목표주가 170달러.
• 길리어드 사이언스(GILD) +2% : 니드햄 ‘매수’ 상향, 목표주가 133달러.
• 카르바나(CVNA) +2% : 오펜하이머 ‘아웃퍼폼’ 상향, 목표주가 450달러.
[종목별 동향 – 하락]
• 인텔(INTC) –9% : 예상 밖 손실, 자본지출 축소·15% 감원 계획.
• ASML,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AMAT) –2% 이상, NXP, 마이크론(MU), KLA, 램리서치(LRCX) –1% 이상 : 반도체 업종 약세.
• 비트코인 가격 –3% : 이에 따라 라이엇 플랫폼스(RIOT) –3%, 마라 홀딩스(MARA) –2%, 마이크로스트래티지(MSTR) –2%, 코인베이스(COIN) –1%.
• 차터 커뮤니케이션스(CHTR) –17% : 실적 부진.
• 헬스피크 프로퍼티즈(DOC) –6% : 실험실 임대 순영업이익(NOI) 성장률 1.5%(컨센서스 2.45%) 미달.
• 사렙타 테라퓨틱스(SRPT) –5% : 유럽의약품청(EMA) 자문위, 유전자치료제 ‘Elevidys’ 승인 비권고.
• Oklo(OKLO) –1% : BNP파리바 엑산 ‘언더퍼폼’, 목표주가 14달러.
[향후 일정] 7월 25일 예정된 주요 실적 발표 기업은 AON, AutoNation, Booz Allen Hamilton, Centene, Charter Communications, Erie Indemnity, First Citizens BancShares, First Hawaiian, Gentex, HCA Healthcare, Lear, OneMain Holdings, Phillips 66, Saia, Skechers 등이다.
[용어 풀이]
E-mini S&P/나스닥 선물 : CME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소액 단위 지수선물로, 기관뿐 아니라 개인투자자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파생상품이다.
Capital goods new orders nondefense ex-aircraft : 항공기·국방물자를 제외한 기업용 설비주문으로, 투자 사이클을 가늠하는 핵심 선행지표다.
[전문가 시각] 시장 참여자들은 “실적 호조에도 불구하고 매크로 지표 부진과 통상 환경 불확실성이 뒤섞여 변동성이 지속될 것”이라며, 방어주 및 현금 비중 확대를 조언하고 있다. 다만 AI·헬스케어 등 구조적 성장 산업에 대한 장기적 투자매력은 여전히 높다는 평가가 우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