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전면관세 15~20% 추진, 인플레·공급망·자산가격을 뒤흔들 ‘초장기 변수’로 부상하다

■ 머리말 – “관세는 일시적 이벤트가 아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모든 교역 상대국에 15~20% ‘블랭킷(일괄)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재차 천명하면서 글로벌 경제에 거대한 구조적 파도가 일고 있다. 이는 2018~2019년 미‧중 통상전쟁을 넘어서는 ‘상시화·확대’ 시나리오로서, 향후 최소 1년 이상—정확히는 차기 행정부 출범 이후까지—미국 경제·주식시장의 핵심 변수로 작용할 것이 확실시된다.


1. 관세 쇼크가 장기 과제로 변모한 배경

규모의 차이 : 기존 10%에서 15~20%로의 상향은 수입품 평균가격을 즉시 4.5~9.0% 높인다. 이는 12개월 후 소비자물가지수(CPI)를 최소 0.9%p, 최대 1.8%p 끌어올리는 효과가 있다.
대상 범위 : ‘모든 국가’와 ‘모든 품목’이라는 포괄적 조치다. 특정 품목·국가를 노린 국지전이 아니라 글로벌 교역 질서를 재편하는 총력전 형태다.
법적 기반 : 트럼프 대통령은 IEEPA·무역확장법 232조·1974년 무역법 301조를 병행 카드로 시사했다. 의회의 견제 장치가 제한적이어서 관세 시행 가능성이 과거보다 높다.

2. 거시경제 경로—‘물가 레짐’ 전환 시나리오

구분 현재(관세10%) 관세15% 적용 관세20% 적용
12M CPI(전년比) 2.1% 3.0%~3.5% 3.7%~4.0%
연준 기준금리(FFR) 5.25% 5.50%~5.75% 5.75%~6.25%
실질 GDP 성장률 1.5% 1.1% 0.7%

*Fundstrat, CBO, 필자 추정치 종합

연준은 이미 ‘물가 상방 리스크’를 언급하며 연내 1~2회 인하에 그칠 수 있음을 시사했다. 관세 상향이 현실화될 경우 FOMC는 오히려 추가 긴축 또는 장기 고금리 고착(High-for-Longer)을 선택할 확률이 높다.

3. 공급망·기업 실적—섹터별 ‘득과 실’

  • 소매·생활용품 : 원가의 30~40%가 중국·멕시코·아세안에서 수입된다. 평균 매출총이익(GPM)이 25% 수준이라 관세 전가가 불가피하고, 소비둔화 위험이 크다.
  • 에너지·광물·전력 인프라 : 산업정책(IRA·CHIPS)와 결합돼 리쇼어링 수혜. 미국 내 LNG·전기차 배터리 밸류체인 투자 확대가 ‘장기 성장 벡터’로 작동한다.
  • 반도체·장비 : 초기에는 중국 매출 둔화+CAPEX 축소로 역풍이지만, 중장기적으로 ‘우방국+1’(멕시코·말레이·인도) 생산 이전 속도가 빨라지며 美國 장비·IP 기업이 이득을 본다.
  • 방위·우주 : 동맹국 무역 재협상 수단으로 기능하며 국방비 증액 여론이 강화, 다년 간 계약 파이프라인이 두터워진다.

4. 투자자 행동·자산배분 전략—필자의 로드맵

1년 플러스(12~18개월) 시계열에서 볼 때, 관세 인상이 ‘정치적 카드’에 머무르든 실제 발효되든 궁극적으로 인플레이션 리프레이션 프리미엄을 낳는다. 이에 따라:

  1. 채권 : 듀레이션 2~5년 단기·중단기로 이동. 장기물은 실질금리 상승+수급 불안(적자 확대)으로 약세.
  2. 주식 : S&P500 EPS 베이스라인을 2025년 270달러→260달러(관세15%), 255달러(관세20%)로 하향. 그러나 에너지·방위·리쇼어링 테마는 상쇄효과가 커 스프레드 장세가 강화될 것.
  3. 원자재·실물자산 : 구리·리튬·니켈 등 그린전환 핵심 광물은 단기 타격(관세50%) 후 미국 내 가격 스프레드가 더 벌어질 전망. 헤지 차원에서 비중 확대를 검토.
  4. 달러·위험통화 : 달러지수는 관세=성장둔화→안전자산 선호로 장기 강세 모드 진입. 멕시코·캐나다 통화는 변동성 상향.

5. 연준·재정·무역정책 삼각 관계

관세→인플레 위험→연준 긴축 지속 →국채금리 상승→재정조달 비용 급증→추가 관세·재정 압박. 이 악순환 고리가 현실화될 경우 ‘스태그플레이션 리스크’가 부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①대규모 재정적자 축소 로드맵, ②관세 환급(드로우백) 제도, ③글로벌 공급망 다변화 지원책을 ‘패키지’로 묶어야 한다는 것이 필자의 제언이다.

6. 결론—“관세 상향에 대비하되, 리쇼어링·인플레 헤지 자산을 포트폴리오 핵으로”

필자는 관세 15~20% 상향을 단기 뉴스플로우가 아닌 구조적 레짐 시프트로 규정한다. 투자전략 차원에서는 ①국내 제조·에너지 인프라 장기채널, ②방위·CVM(친미 가치사슬) 테마, ③현물·ETF를 통한 인플레 헤지 자산, ④밸류에이션이 이미 관세를 반영해 디스카운트된 글로벌 소비·IT 하위섹터 ‘선별 매수’를 조합한 ‘바벨 전략 2.0’을 권고한다.

― 이중석 / 경제칼럼니스트·데이터 분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