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요약】
• Vanguard가 최근 발표한 2025년판 How America Saves 보고서에 따르면 401(k) 계좌에서 ‘긴급 생활자금 인출(Hardship Withdrawal)’을 이용한 가입자가 2020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 2024년 기준 전체 참여자의 4.8%가 이 제도를 활용했으며, 2023년(3.6%) 대비 1.2%p 상승했다.
• 세제상 불이익과 장기 수익 훼손을 고려할 때 조기 인출은 최후의 수단으로 남겨두어야 하며, 필요할 경우 401(k) 대출이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025년 8월 3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Vanguard의 연례 보고서는 약 500만 명에 달하는 확정기여형(DC) 퇴직연금 가입자의 저축·투자 행태를 집계했다. 동일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1.7%였던 긴급 생활자금 인출 비율은 ▲2021년 2.1% ▲2022년 3.0% ▲2023년 3.6%를 거쳐 2024년 4.8%까지 상승했다.
‘Hardship Withdrawal’이란?
미 국세청(IRS)은 55세 이전 또는 59세 6개월 이전 401(k) 자산을 인출할 경우 일반적으로 10%의 조기 인출 페널티와 소득세를 부과한다. 다만 ‘긴급 생활자금 인출’로 인정되면 페널티가 면제되지만, 세금은 여전히 납부해야 하며 인출 한도 또한 엄격히 제한된다. 승인 사유는 ▲거주용 주택의 계약금 ▲의료비 ▲장례 비용 ▲학자금 ▲주택 압류·퇴거 방지 등으로 한정된다.
Vanguard 데이터로 본 장기 추세
“팬데믹 이후 경기 변동성과 물가 상승 압력이 맞물리며 근로자들이 예상치 못한 비용에 직면했다”
는 것이 보고서의 분석이다. Vanguard는 “경기 불확실성과 의료 비용 증가가 복합적으로 작용, 단기 현금 유동성 위기를 초래했다”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또 “401(k)가 사실상 생활자금 완충장치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긴급 인출과 은퇴 자산 훼손
전문가들은 ‘지금 1달러’와 ‘노후 1달러’의 가치를 비교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일반적으로 401(k) 자산은 주식·채권·인덱스펀드 등에 투자돼 복리로 증식된다. 예컨대 연평균 7% 수익률을 가정할 때, 30세에 10,000달러를 인출하면 65세 기준 약 106,000달러의 잠재 수익을 포기하게 된다. 이는 단순히 원금을 잃는 것이 아니라 장기 복리 효과를 상실하는 데 따른 기회비용이다.
401(k) 대출(Loan) vs. 긴급 인출
IRS 규정에 따르면 401(k) 대출은 ▲페널티·세금 면제 ▲상환 이자(계좌로 귀속)라는 장점이 있다. 최장 5년 안에 원리금을 상환해야 하며, 대출 한도는 최대 5만 달러 또는 Vested 잔액의 50% 중 작은 금액이다. 다만 50%가 1만 달러 미만이면 최대 1만 달러까지 대출 가능하다. 동일 사유로 긴급 인출과 대출 모두 허용되지만, 상환 여부가 노후 자산의 갈림길이 된다는 점에서 대출이 ‘덜 치명적’이라는 평가다.
실제 사례·통계로 본 위험
Vanguard는 2024년 긴급 인출 가입자의 평균 인출액이 9,000달러였다고 밝혔다. 35세 참여자가 이 금액을 주식형 펀드에 그대로 두었다면, 65세에 이르러 약 70,000달러(연 7% 수익률 가정)에 달할 수 있다. 표시되지 않는 기회비용이 크다는 의미다.
대체 자금 마련 전략
• 긴급 생활비 계좌(Emergency Fund): 월 생활비 3~6개월치를 별도 예금으로 적립해 급전을 차단한다.
• 저금리 개인신용대출·주택담보대출(HELOC) 활용: 이자 비용이 발생하지만, 401(k) 조기인출로 인한 페널티·세금·복리 손실보다 저렴할 수 있다.
마케팅·광고 문구, 어떻게 해석해야 하나?
원문 기사에는 “지금 1,000달러를 투자할 만한 10종목” “23,760달러의 ‘소셜 시큐리티 보너스’” 등 투자 조언을 제시하는 Stock Advisor 가입 권유 문구가 포함돼 있다. 이는 투자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한 광고성 컨텐츠로, 실제 투자 시에는 전문가 상담 및 개인 위험 성향 점검이 선행돼야 한다.
IRS·퇴직연금 용어 간단 설명
• Defined Contribution Plan(확정기여형): 근로자·기업이 적립금을 납입하고, 운용 성과에 따라 수령액이 결정되는 퇴직연금 제도다.
• Vested Balance: 퇴사 시 근로자가 확정적으로 수령할 수 있는 적립금. 기업 매칭분은 일정 근속 기간을 채워야 100% 귀속된다.
• Hardship Withdrawal: IRS가 정한 제한적 사유에 한해 10% 페널티를 면제하는 조기 인출 제도. 세금은 부과된다.
전문가 견해 및 조언
프랭클린 템플턴 리서치 책임자인 조너선 그레이는 “긴급 인출이 늘었다는 사실은 가계가 여전히 단기 유동성 위험에 노출돼 있음을 방증한다”며 “계좌대출·비상자금 등 사전 대비책을 마련하는 것이 노후 자산을 지키는 핵심”이라고 말했다. 미국 재무설계사협회(NAFPA) 역시 “401(k) 인출 의존도가 높아지면 은퇴 시기를 늦추거나 생활수준을 조정해야 할 위험이 커진다”고 경고했다.
결국 401(k)는 ‘노후’라는 목적 자금인 만큼, 긴급 생활자금 인출은 최후의 안전핀으로만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일치된 견해다. 대출·저금리 대안·비상금 계좌 등 사전 대비책을 갖추는 것이 장기 복리 효과를 지키는 최선의 방책임을 이번 Vanguard 보고서는 다시 한번 상기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