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토프 페리야(Christophe Perillat) Valeo 최고경영자(CEO)가 유럽연합(EU) 내에서 판매되는 자동차에 대해 유럽산 부품‧소재 최소 비율을 의무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 조치가 “유럽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과 주권을 동시에 지키는 열쇠”라고 주장했다.
2025년 9월 10일, 인베스팅닷컴의 독일 뮌헨 현지 보도에 따르면, 페리야 CEO는 IAA 모빌리티(IAAC) 국제모터쇼 연단에서 유럽위원회(EC)와 자동차 업계 간 ongoing 협상에 대해 설명하면서 위와 같은 입장을 밝혔다.
그는 “현재 EC가 추진 중인 2035년 내연기관차 신규 판매 전면 금지 방안만으로는 복합적인 산업 위협에 대응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구체적으로는 ① 전기차(EV) 전환 비용 상승, ② 중국 업체와의 가격 경쟁, ③ 관세 불확실성 등 세 갈래 압박 속에서 유럽 생산 기지를 보호할 안전판이 필요하다는 논리다.
■ ‘최소 80% EU산 부품’ 요구 배경
“美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및 인도 생산연계 인센티브(PLI)처럼, 자국 부품을 우대하는 제도가 이미 여러 지역에서 경쟁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 크리스토프 페리야
Valeo와 다수 부품업체가 ‘EU산 부품 80% 이상’이라는 구체적 쿼터를 제시한 것은, 미국 IRA 세액공제·보조금이나 인도 PLI 등 ‘로컬 콘텐츠’ 보상 체계가 실제 투자 유인 효과를 발휘하고 있기 때문이다. 페리야는 같은 취지의 제도가 EU 역내에도 필요하다며 “현실적이고 실행 가능한 방안”이라고 역설했다.
EC는 이미 배터리 셀과 부품 단계적 현지화 의무를 예고한 상태다. 그러나 페리야는 “아직도 일부 완성차 업체, 특히 독일 기업들 사이에서 ‘지역 콘텐츠 규제는 과도하다’는 반대 의견이 뚜렷하다”고 전했다. 실제로 독일자동차산업협회(VDA)는 ‘규제 과부하’를 우려하며 EU 차원의 로컬 콘텐츠 정책에 부정적 견해를 드러낸 바 있다.
■ EC – 업계, 2라운드 협상은 9월 13일
페리야 CEO는 9월 13일(금) 우르줄라 폰 데어라이엔(EC 위원장)과의 다음 회담에서 해당 제안을 공식 논의할 전망이다. 그는 “업계 공감대 형성이 아직 부족하다”면서도 “제안의 핵심은 보호주의가 아니라 유럽 공급망 회복력 확보”라고 강조했다.
로컬 콘텐츠(Local Content) 규정이란 특정 완제품을 판매하기 위해 최소한의 국내 또는 역내 부품‧소재 비중을 충족해야 한다는 제도다. 이를 통해 정부는 일자리 및 기술 투자를 자국에 유치하려는 전략적 목표를 달성한다.
IAA 모터쇼가 열리는 뮌헨 현장은 전동화 경쟁과 보호무역 기조가 교차하는 전장(戰場)이 됐다. 다수 글로벌 완성차·부품사가 각국 정책 동향을 주목하며 로드맵을 재조정하고 있다.
■ 업계 시사점
1) EU산 부품 최소 비율이 실제 법제화될 경우 유럽 내 부품사·원자재 업체의 매출 확대가 기대된다.
2) 반대로, 글로벌 공급망을 다변화해온 완성차 업체는 조달 구조를 재편해야 하는 추가 비용 부담이 생길 수 있다.
3) 독일을 포함한 일부 국가에서의 규제 반대 목소리는 정책 타협 또는 이행 유예 형태로 반영될 가능성이 있다.
페리야 CEO는 끝으로 “유럽은 기술 잠재력과 인재를 충분히 보유하고 있지만, 정책적 방향 설정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산업 공백이 커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