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 D.C.—미국 무역대표부(USTR)의 제이미슨 그리어(Jamieson Greer) 대표대행이 중국산 수입품에 부과된 55% 관세를 “현 상황에서 가장 적절한 합의이자 현상 유지”라고 평가했다. 그는 뉴욕 이코노믹클럽(ECNY) 초청 연설에서 미·중 간 관세 체제를 현 시점에서 조정할 계획이 없음을 시사했다.
2025년 9월 30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과 ECNY 공동 중계에 따르면, 그리어 대표대행은 “대통령에게 ‘중국과 거래가 성립했는가’라고 묻는다면, ‘그렇다. 55% 관세가 바로 그 거래다’라는 답이 돌아올 것”이라며 고율 관세 체제를 사실상의 무역 합의로 규정했다.
“우리는 중국과 계속 대화하되, ‘민감하지 않은(non-sensitive) 상품’에서 상호 양보가 가능한 지점을 찾고자 한다” — 제이미슨 그리어, 2025년 9월 30일 뉴욕 이코노믹클럽 연설
그리어 대표대행은 미국 농산물과 중국 소비재처럼 전략적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품목에서 무역을 확장할 여지가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나 55% 관세율은 “지금으로서는 변하지 않을 기준”이라고 강조하며, 11월 10일로 예정된 ‘무역 휴전 기한(truce deadline)’ 이전에 관세를 낮출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못 박았다.
高관세 복귀 시나리오
USTR 자료에 따르면 미·중 양측이 별도 연장 합의에 실패할 경우, 11월 10일 자정부터 미국 측 관세는 145%로, 중국 측 관세는 125%로 ‘스냅백(snap-back)’ 된다. 이는 사실상 양국 교역을 전면 중단시킬 수준으로, 글로벌 공급망 충격이 불가피하다.
그리어 대표대행은 “지금 관세율을 유지하는 것이 기업·소비자·시장 모두에게 예측 가능성을 제공한다”면서도, “장기적으로는 투명성과 자유도가 더 높은 무역 질서를 지향한다”고 설명했다.
‘울프 워리어’ 외교와 희토류 카드를 둘러싼 신경전
그리어 대표대행은 중국 협상단이 최근 희토류(Rare-Earth Minerals) 공급망 우위를 바탕으로 협상 지렛대를 강화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중국 측이 ‘울프 워리어(Wolf Warrior)’라고 불리는 공격적 외교 기조를 경제 협상에도 투영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울프 워리어는 2015년 개봉한 중국 군사액션 영화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강경·민족주의적 외교 수사를 의미한다. 최근 중국 외교관들의 거친 언어·전투적 태도를 설명할 때 자주 사용된다.
中 틱톡 협상—‘지배권 양도’ 대가로 관세 완화 요구
미국과 중국은 9월 중순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진행된 회담에서 동영상 공유 앱 ‘틱톡’(TikTok)의 지배권 이양 문제를 놓고 갈등을 벌였다. 허리펑(He Lifeng) 중국 부총리는 희망컨소시엄(Hope Consortium)¹에 틱톡 지분 양도를 제안하며 관세 인하를 요구했으나, 그리어 대표대행과 스콧 베센트(Scott Bessent) 재무장관이 이를 거부했다.1
1‘희망컨소시엄’은 미국 투자자들이 주도하는 특수목적법인(SPV)으로, 틱톡 미국 사업부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
정책 변동성 최소화를 위한 ‘스트링 커뮤니케이션’
그리어 대표대행은 “양측 간 긴밀한 의사소통을 통해 예기치 못한 정책 변동을 최소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치적 긴장이 높음에도, 기술·통상 담당 관료 사이의 존중(respect)과 정책 신호 공유가 유지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기자 해설: 55% 관세의 ‘정치경제학’
트럼프 행정부가 설정한 55% 관세는 단순한 무역장벽을 넘어, 정치적 메시지와 재협상 카드로 기능하고 있다. 관세 인하를 협상의 ‘보상’으로 제시함으로써, 중국의 구조적 개혁·시장개방을 압박하는 전략이다. 그러나 관세 수준이 일정 기간 고착될 경우, 국내 물가와 글로벌 공급망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는 우려도 동시에 제기된다.
특히 11월 10일 ‘스냅백’ 시점이 임박함에 따라, 양국 기업은 재고 확보·납기 조정·선적 스케줄 재편 등 ‘위기 대비 플랜’을 가동 중이다. 이는 곧 4분기 실적과 글로벌 증시 변동성에 직결될 것으로 전망된다.
향후 관전 포인트
① 11월 10일 이전 추가 협상 개시 여부
② 美 의회·대선 국면 속 관세 이슈의 정치화
③ 중국의 희토류·배터리 소재 수출 규제 카드 실질화 여부
④ 미국 농산물·중국 소비재 교역량 추이
결국 55% 관세는 일종의 ‘디폴트 옵션’으로 자리 잡았으며, 상호 호혜적·투명한 무역관계를 목표로 하는 양측의 협상 장기전은 지속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