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DA 재배면적 대폭 감축에 대두 선물 급등

[시카고 선물시장] 12일(현지 시각) 시카고상품거래소(CBOT)에서 대두(콩) 선물은 근월물 전 구간이 21~22 ¼센트 급등한 채로 거래를 마감했다. 현물가격 지표인 cmdtyView 전미 평균 대두 현물가는 9.72 ¾달러/bu20 ¼센트 상승했다.

2025년 8월 13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대두 부산물 시장에서도 강세가 이어졌다. 대두박(소이밀) 선물은 t당 0.70~2.10달러, 대두유(소이오일)는 1~15포인트(0.01~0.15달러) 올라 녹색(상승)으로 장을 마쳤다. 한편 8월물 만기일(14일)을 앞두고 대두박 128계약, 대두유 87계약이 추가 인도통보(Delivery)가 이뤄졌다.

같은 날 오전 발표된 미 농무부(USDA) 8월 작황·생산(Crop Production) 보고서는 공급 측면에서 상반된 변화가 있었다. 재배면적은 80.9백만에이커로 무려 250만에이커 삭감됐으나, 단수(수확량) 전망은 에이커당 53.6부셸(bpa)로 시장 예상치(53 bpa)를 상회했다. 이에 따라 생산량은 42.92억부셸(bbu)로 7월 WASDE 대비 4,300만부셸 감소했는데, 당초 시장이 기대했던 3,900만부셸 증산 전망과 정반대 결과가 나왔다.

Cash Bean Price

구/신곡 재고도(Total Carryout) 전망 역시 압축됐다. 구곡(2024/25) 말 재고는 20백만부셸 줄어 3.3억부셸로, 신곡(2025/26) 재고는 30백만부셸 감소한 2.9억부셸로 제시됐다. 미국 생산 감소가 반영된 탓이다. 세계 신곡 재고는 1.17백만톤 줄어 1억2,490만톤으로 집계됐으며, 구 남미 생산량 추정치는 변동이 없었다.


■ 주간 작황(Crop Progress) 추이

USDA 산하 NASS가 11일 발표한 주간 작황 보고서에 따르면, 미 전체 대두의 91%가 개화(blooming), 71%가 꼬투리 형성(pods set)을 마쳐 평년 대비 각각 1%p 뒤졌다. 생육등급은 ‘양호·우수’(Good/Excellent) 비중이 전주보다 1%p 하락한 68%로 집계됐다. 민간 지표인 Brugler500 Index도 1점 떨어진 374점을 기록했다.

주별 변동 폭은 상이했다. 인디애나(IN), 아이오와(IA), 미네소타(MN)는 각 1%p 개선됐고, 미시간(MI) +5, 네브래스카(NE) +3, 사우스다코타(SD) +5로 평가가 상향됐다. 반면 일리노이(IL)는 11%p 급락했으며, 미주리(MO) -1, 노스다코타(ND) -4, 오하이오(OH) -3, 테네시(TN) -32로 하향됐다.

■ 브라질 수출 동향

브라질 곡물수출업협회(ANEC)는 8월 대두 수출 전망치를 880만톤으로 상향했다. 이는 직전 전망치(815만톤)를 웃돌 뿐 아니라 전년 동월 실적(804만톤)을 넘어서는 규모다. 미국 작황 불확실성에 글로벌 수요가 브라질산으로 몰릴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 장 마감 호가

2025년 8월 12일 CBOT 마감 가격(센트/부셸)

• 8월 2025년물 대두(ZS *1): 1,011 ¾(+22 ¼)*
• 9월 2025년물(ZS *2): 1,012 ¾(+21)
• 11월 2025년물(ZSX25): 1,032 ¾(+21 ½)
• 근월 현물지수: 972 ¾(+20 ¼)
• 신곡 현물지수: 963 ½(+21 ¼)

*달러/부셸 단위·1센트=0.01달러


■ 용어·지표 해설

WASDE(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는 USDA가 매월 발표하는 세계 농산물 수급 보고서로, 시장 가격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자료다.

Carryout은 한 작황연도가 끝난 뒤 다음 연도로 이월되는 재고를 뜻한다. 재고가 적을수록 공급 불안이 커져 가격 상승 압력으로 작용한다.

Brugler500 Index는 민간 컨설팅사 Brugler Marketing이 산출하는 작황지수로, 500점 만점에 가까울수록 생육 상태가 양호함을 의미한다. USDA 공식 지표(Good/Excellent)와 함께 시장 참가자들이 주목하는 보조지표다.

한편 선물시장은 통상 ‘소이밀(대두박)’과 ‘소이오일(대두유)’처럼 대두를 가공한 부산물에도 주목한다. 대두를 분쇄(crush)하면 단백질 사료용 박(meal)과 식용·바이오디젤 원료인 오일이 생산되는데, 이 두 제품 가격이 분쇄 마진을 결정해 대두 선물 가격에 영향을 준다.

Soymeal Futures

전문가들은 “재배면적 급감이 확인된 만큼, 앞으로 수확기(9~10월) 기상 변수에 따라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한다. 미국 주산지에서 고온·건조가 지속되면 단수 하향 조정이 불가피해 추가 랠리로 이어질 수 있다는 시각이다. 반대로 날씨가 호전될 경우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될 가능성도 있다.

※ 본 기사는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됐으며, 투자 판단의 최종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