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카고·캔자스·미니애폴리스 3대 거래소 소맥선물이 12일(현지시간) 일제히 하락하며 장을 마감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BOT)의 연질 적색 겨울밀(Soft Red Winter, SRW) 9월물은 장중 4~5센트 밀려 있었고, 캔자스시티거래소(KCBT)의 경질 적색 겨울밀(Hard Red Winter, HRW) 9월물은 1~2센트 하락했다. 미니애폴리스거래소(MGEX)의 봄밀(Spring Wheat) 12월물은 3.5센트 내려 약세를 보였다.
2025년 9월 13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전날 발표된 미 농무부(USDA)의 WASDE(세계 농산물 공급·수요 보고서)가 예상과 크게 다르지 않은 가운데, 시장은 여전히 수급 불균형 우려를 반영하며 추가 손실을 기록했다. 특히 미국 내 수요 전망이 변동 없이 유지된 반면, 수출 전망이 2,500만 부셸 상향 조정된 점이 주목받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2025/26연도 소맥 수출 전망치는 9억 부셸(전월 대비 +2,500만 부셸)로 올라갔고, 이에 따라 기말 재고는 8억 4,400만 부셸로 동일 폭 감소했다. 평균 현금가격 전망도 부셸당 5.10달러로 20센트 인하됐다. 이는 달러 강세와 글로벌 공급 증가가 가격 하방 압력을 강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글로벌 재고도 확대됐다. USDA는 전 세계 소맥 기말 재고를 3.98백만t 상향 조정해 2억 6,406만t으로 제시했다. 국가별로는 러시아(+150만t), 유럽연합(EU·+185만t), 캐나다·우크라이나(각 +100만t), 호주(+350만t)가 인상 요인이 됐다. 특히 호주의 증산 폭이 가장 컸다는 점이 공급 과잉 심리를 부채질했다.
“하반기 러시아·호주산 공급이 집중될 경우, 미산 소맥의 국제 경쟁력은 더욱 약화될 수 있다”*는 경계심이 트레이더 사이에서 확산되고 있다.
장중 시세(12일 기준)
• CBOT 9월물 5.03달러(+0.08달러)
• CBOT 12월물 5.1675달러(–0.0475달러)
• KCBT 9월물 4.87달러(+0.0125달러)
• KCBT 12월물 5.08달러(–0.02달러)
• MGEX 9월물 5.5025달러(+0.02달러)
• MGEX 12월물 5.68달러(–0.035달러)
거래소별로 선물만기 인도가 실제로 발생했는지는 유동성 지표로 활용된다. 이번에는 KC 9월물에서 단 한 건의 인도 통보만 접수돼, 현·선물 간 가격차를 노린 차익거래가 제한적이었음을 보여준다.
용어 풀이
• SRW(Soft Red Winter): 주로 제빵·과자에 사용되는 부드러운 겨울밀로, CBOT에서 거래된다.
• HRW(Hard Red Winter): 단백질 함량이 높아 빵 제조에 적합하며, KCBT의 대표 상품이다.
• Spring Wheat: 봄에 파종·가을에 수확하는 북미 특산 밀로, 주로 고단백·고품질 면에서 프리미엄이 붙는다.
• WASDE: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의 약칭으로, USDA가 매월 발표하는 세계 농산물 공급·수요 보고서다.
시장 시사점
• 수출 상향에 따른 미국 내 재고 감소에도 국제 재고가 늘면서 가격 반등 여력이 제한적이다.
• 달러 강세는 미 수출 경쟁력을 약화시켜, 향후 전망치가 추가로 하향될 위험이 있다.
• 러시아·호주 공급 확대가 이어질 경우, 5달러대 지지선이 붕괴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 국내 제분업체들은 헤지 전략 재점검이 필요하며, 수입 원재료 가격락을 활용한 장기 고정계약 체결 방안을 검토할 시점이다.
바차트(Barchart) 측 추가 정보
이 매체는 “원유에서 커피까지” 광범위한 상품 분석 뉴스레터를 무료로 구독할 것을 권장했다. 또 다른 기사로는 “12월 옥수수 저점 매수 기회”, “대형 옥수수·콩 수확이 선물시장에 드리운 그림자”, “콩 가격 회복 가능성”, “콩 가격 하락 폭 전망” 등이 소개됐다.
*본 기사 작성 시점에서 필자 오스틴 슈뢰더는 관련 상품 및 증권에 직접·간접적인 포지션이 없다고 밝혔다. 모든 데이터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조언이 아니라고 명시했다.
© 2025 Nasdaq, Inc.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