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카고거래소(CBOT) 옥수수 선물 가격이 30일(현지시각) 개장 직후 근월물 기준 부셸당 2~2¼센트 하락하며 약세를 보이고 있다. 전일장에서는 2025년 12월물과 2026년 3월물을 제외한 근월물이 소폭 내렸고, 2026년 9월물 이후 원월물은 ¾~1¾센트 상승 마감한 바 있다.
2025년 9월 30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전일(29일) 기준 예비 미결제약정은 1,724건 증가했다. 세부적으로 12월물은 4,101건 감소했으나 3월물은 4,903건 늘어 스프레드 포지션 이동이 두드러졌다. 같은 날 CmdtyView가 집계한 미국 평균 현물 옥수수 가격은 부셸당 3.78¼달러로 변동이 없었다.
USDA 재고 보고서 관전 포인트
블룸버그가 애널리스트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에 따르면, 시장은 미국 농무부(USDA)가 발표할 ‘9월 30일 곡물 재고 보고서’를 통해 9월 1일 기준 옥수수 재고를 13억3,600만 부셸(bbu)로 제시할 것으로 예상한다. 전망치는 12억6,000만~14억5,000만 부셸 범위에 분포하며, 특히 사료·잔량(feed & residual) 항목의 변동 여부가 주요 변수로 꼽힌다.
작황·생육 상황
USDA가 29일 발표한 Crop Progress 자료에 따르면 미국 옥수수의 95%가 덴트(dented) 단계에, 71%가 성숙(mature) 단계에 도달했다. 수확 진도는 18%로, 최근 5년 평균 19%에 비해 소폭 뒤처졌다. 작황 등급도 지난주와 동일한 양호·우수(good/excellent) 66%를 유지했으며, 브루글러리서치가 산출하는 Brugler500 지수 역시 370으로 변동이 없었다.
참고로 덴트 단계란 옥수수 알맹이가 치아 모양으로 움푹 파이기 시작하는 숙기 단계로, 알 내 수분이 빠르게 줄어드는 시점을 의미한다.
수출 동향
USDA 주간 수출 검사에 따르면 9월 25일 주간 옥수수 선적 물량은 152만7,000톤(6,012만 부셸)으로 전주 대비 10.19% 증가했고, 전년 동기 대비 32.85% 늘어났다. 멕시코가 66만3,960톤으로 최대 바이어였고, 일본이 25만1,883톤, 한국이 19만1,564톤을 각각 수입했다. 2025/26 마케팅연도 누적 선적은 509만7,000톤(2억0,065만 부셸)으로, 전년 동기 대비 52.11% 많은 수준이다.
가격 현황
2025년 12월물 옥수수는 전일 4.21½달러로 ½센트 하락 마감했으며, 이날 장중 2센트 추가 하락 중이다. 2026년 3월물은 4.38½달러로 ¼센트 내렸고 현재 2¼센트 더 떨어졌다. 2026년 5월물 역시 4.47¾달러로 ¼센트 하락 후 2¼센트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현물가는 3.78¼달러로 변동이 없다.
투자자 노트
해당 기사 작성자 오스틴 슈뢰더는 기사 작성 시점 기준으로 본문에 언급된 증권·선물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기사에 포함된 모든 데이터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조언이 아니다.
“Grains Are Wobbling, So Mark Your Calendars for September 30”, “Harvest Pressure Looms on Grain Futures Markets”, “Wheat Bulls Are Gaining Momentum”, “Corn, Soybean Markets See ‘Sell the Rumor, Buy the Fact’ on USDA Data” 등 Barchart의 최근 곡물 관련 리포트도 참고할 만하다.
옥수수 시장은 USDA 재고 보고서와 작황 진행 상황이라는 두 가지 핵심 변수 앞에서 방향성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수확기 진입에 따른 시즈널(계절성) 압력과 사료 수요 증감이 단기 가격 변동의 핵심 촉매로 작용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