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농무부(USDA)가 9월 월간 보고서에서 면화 수급 전망을 거의 수정하지 않은 가운데, 뉴욕 ICE 선물시장의 주요 월물 가격이 10~12포인트 상승하며 거래를 마쳤다.
12월물은 전일 대비 80포인트 오른 66.83센트/파운드에 마감했으며, 3월물은 12포인트 상승한 68.75센트/파운드, 반면 10월물은 18포인트 하락한 65.19센트/파운드에 거래를 종료했다.
2025년 9월 13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같은 날 달러 인덱스는 0.127포인트 상승한 97.655를 기록했고, 서부텍사스산중질유(WTI) 선물은 0.25달러 오른 배럴당 0.25달러로 나타났다.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가 9월 9일(화) 기준으로 집계한 주간 데이터에 따르면, 비상업적 투기세력은 순매도 포지션을 2,536계약 늘려 총 68,905계약을 보유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면화 가격의 하방 압력이 여전히 존재함을 시사한다.
USDA·CFTC 핵심 지표
USDA ‘Cotton Ginnings’(면화 지닝) 보고서에서는 9월 1일까지 338,200 러닝베일(RB)이 선별·정리(ginning)됐다고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28,500 RB 감소한 수치다.
같은 날 발표된 Crop Production(작황) 보고서는 다음과 같은 세부 조정을 담았다.
•파종 면적 +2만 에이커
•수확 면적 +1만5천 에이커
•단수(수확량) –1파운드/에이커(861파운드)
•생산량 +1만 베일(총 1,322만4천 베일)
그러나 기말 재고는 360만 베일로 유지됐으며, ‘미계정(unaccounted)’ 항목이 추가 생산분 1만 베일을 상쇄했다. 세계 재고는 7,314만 베일로 7만7천 베일가량 축소됐다.
용어 설명: ‘러닝베일(RB)’은 미국 면화산업에서 표준으로 사용하는 500파운드(약 226.8㎏)짜리 압축면화 단위다. ‘지닝(ginning)’은 수확된 목화에서 씨앗·찌꺼기를 분리해 순수 섬유만 얻는 과정을 의미한다.
현물·지표 가격 동향
온라인 현물거래 플랫폼 The Seam은 9월 11일(목) 하루 동안 총 422베일을 평균 64센트/파운드에 거래한 것으로 집계했다. 국제 현물 지표인 Cotlook A 지수는 같은 날 20포인트 오른 78.05센트/파운드로 확인됐다.
ICE 인증 재고(9월 11일 기준)는 변동 없이 15,474베일을 유지했다. USDA가 발표하는 조정 세계가격(AWP)은 54.10센트/파운드로 전주 대비 21포인트 하락했다.
시카고 상품거래소(ICE) 선물 시세는 아래와 같다.
10월 2025 65.19 센트(–18)
12월 2025 66.83 센트(+11)
3월 2026 68.75 센트(+12)
시장 해석 및 전망
전문가들은 USDA가 재고 전망을 유지하면서 단기 방향성 모멘텀이 제한된 상황이라고 분석한다. 다만 투기세력의 순매도 포지션이 확대됨에 따라 숏 커버링이 발생할 경우 가격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또한 달러 강세가 수출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어 면화 가격의 상승세가 제한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글로벌 재고 감소와 인도·중국 등 주요 수입국의 수요 회복이 겹칠 경우 중·장기적으로는 약세 압력이 완화될 것이라는 전망도 존재한다.
한편, 기사 작성자 오스틴 슈뢰더는 해당 종목에 대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이는 Barchart 공시 정책에 따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