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S, 복잡한 통화 파생상품 판매 축소 지시

스위스 최대 투자은행 UBS 그룹(이하 UBS)복잡한 구조의 통화 파생상품 판매를 대폭 축소하라는 내부 지침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Liberation Day” 관세 발표 이후 해당 상품에 투자한 일부 고객이 막대한 손실을 본 데 따른 후속 조치다.

2025년 7월 29일, 로이터 통신파이낸셜타임스(FT)의 단독 보도를 인용해 이 같은 사실을 전했다. FT는 UBS가 글로벌 프라이빗뱅커와 자산관리 부문 직원을 대상으로 고위험 외환 구조상품의 신규 영업을 최소화하라는 구체적 서면 지시를 내렸다고 보도했다.

“고객 손익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일부 복합 통화 옵션 구조물이 예상보다 큰 변동성을 보였다. 즉각적인 노출 축소가 필요하다.”

라고 FT는 UBS 내부 메모 내용을 전했다.

이 같은 결정은 트럼프 대통령이 ‘Liberation Day’라 명명한 새로운 관세 패키지를 발표하면서 촉발됐다. 당시 갑작스러운 관세 부과 방침으로 달러화와 신흥국 통화가 급격히 흔들리자, 단기간에 큰 변동성을 노린 복합 통화 파생상품(복수 통화 스텝업 구조, 노크인·노크아웃 옵션 등)이 자동 청산·손절 구간에 연달아 도달했다.

복잡한 통화 파생상품이란?

통화 파생상품은 기본적으로 환율 변동을 이용해 수익을 추구하거나 위험을 헷지(hedge)하기 위한 계약이다. 그러나 ‘복합(complex)’으로 분류되는 상품은 여러 옵션(옵션 A, B, 디지털 콜·풋, 배리어 조건 등)을 한꺼번에 결합해 수익 구조를 설계한다. 투자자는 낮은 수수료와 높은 쿠폰(고정 이자)을 기대할 수 있지만, 시장이 특정 구간을 돌파할 경우 원금 손실이 확대되거나 만기 이전 조기 청산될 위험이 크다.

시장 충격과 고객 손실

FT는 UBS 고객 다수가 복합 구조물 때문에 두 자릿수(%)대 손실을 경험했다고 전했다. 특히 아시아·중동 지역 고액자산가(high-net-worth) 가운데 역외 위안화(CNH), 남미 페소, 동남아 통화 등 변동성이 큰 통화에 베팅한 고객의 타격이 컸다. UBS는 내부적으로 손실 추정치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업계 관계자는 “수억 달러 규모”로 파악했다는 뒷말이 나온다.투자 규모와 손실 추정치는 제3자 추정치로 UBS가 공식 확인하지 않았다.

UBS의 대응 및 침묵

그러나 UBS 대변인은 로이터의 문의에 즉각적인 답변을 내지 않았다. 금융권에서는 UBS가 사태 수습과 고객 관계 관리에 집중하고 있어 공식 입장을 늦추는 것으로 해석한다. 한편, 로이터는 FT의 보도를 독자적으로 확인하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전문가 시각

국내‧외 파생상품 전문가들은 UBS의 결정을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불가피한 조치”라고 본다. 서울 소재 한 국제금융연구소 연구위원은 “고위험 구조상품은 시장 충격 때 레버리지 효과가 기하급수적으로 확대되기 때문에, 은행이 영업을 멈추지 않으면 법적 분쟁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애널리스트는 “‘Liberation Day’ 관세는 투자자에게 정치 리스크가 외환시장에 미치는 직접적 파급력을 각인시켰다”면서 “향후 글로벌 은행들은 상품 구조를 단순화하고, 내부 스트레스 테스트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내 투자자에게 주는 시사점

최근 국내 증권사와 은행도 해외 통화 파생 linked note, 즉 ELS(Equity-linked Securities)·DLS(Derivatives-linked Securities) 판매를 확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상품 구조와 위험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면 해외 정치 이벤트에 따른 손실 가능성이 급격히 커진다”고 경고한다.


향후 관전 포인트

1) UBS의 공식 손실 규모 발표 여부, 2) 스위스·EU 규제당국의 조사 착수 가능성, 3) 타 글로벌 은행의 유사 상품 축소 움직임 등이 시장 변동성에 영향을 줄 변수로 꼽힌다. 또한 트럼프 행정부가 추가 관세 조치를 이어갈 경우, 외환·원자재·채권 등 자산 전반에서 안전자산 선호가 가속화될 수 있다.

결국 이번 사태는 복잡한 금융상품의 잠재적 위험성정치적 돌발 변수에 대한 대비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