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500·나스닥100, 실적 기대 속 사상 최고치 경신

【뉴욕 증시 브리핑】 주요 지수 사상 최고치, 기업 실적‧경제 탄력성 재확인

미국 증시가 25일(현지시간) 강세로 마감했다. S&P 500 지수는 전일 대비 0.40% 상승했고, 나스닥100 지수도 0.23% 오르며 사상 최고치를 또다시 갈아치웠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역시 0.47% 상승했다. 같은 날 시카고상업거래소(CME)에서 9월물 E-미니 S&P 500 선물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각각 0.38%, 0.26% 올랐다.

2025년 7월 27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지난주 동안 발표된 2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를 웃돌면서 투자심리가 개선됐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집계에 따르면 S&P500 편입 기업 가운데 실적을 공개한 83%가 컨센서스를 상회했다. 이에 따라 이번 주 S&P 500과 나스닥100은 연중 최고치를 넘어 역대 최고 수준으로 거래를 마쳤다.

채권금리 하락‧경제 지표 혼조, ‘연준 완화 기대’ 유지

이날 오후 들어 미 국채 10년물 금리가 장중 고점 대비 하락(1bp↓, 4.38%)하면서 주가 상승폭이 확대됐다. 다만 미국 6월 국방·항공을 제외한 기본 자본재 신규주문이 전월 대비 0.7% 감소해(+0.1% 증가 전망) 경기 둔화 우려도 제기됐다.

“7월 29~30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25bp 인하할 확률은 3%, 9월 회의에서는 66%”라고 연방기금선물시장이 반영하고 있다.

투자자들은 연준의 정책 스탠스 변화보다 트럼프 대통령이 8월 1일까지 관세 협상을 타결하지 못할 경우 최대 50%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발언에 주목하고 있다.

기업 실적: 희비 교차

긍정적 흐름을 이끈 종목도 눈에 띄었다. managed-healthcare 섹터에서 Centene은 ACA(오바마케어) 사업 구조조정 계획을 발표하면서 6% 넘게 급등했다. Comfort Systems USA는 매출 서프라이즈로 23% 폭등했고, Deckers Outdoor는 1분기 매출이 예상치(9억 140만 달러)를 크게 웃도는 9억 6,450만 달러를 기록해 11% 올랐다.

반면 Intel은 예상(주당 1센트 이익)과 달리 10센트 손실을 발표하고 연내 자본지출과 인력 15% 감축 계획을 내놓으면서 8% 급락, 반도체 업종 전반의 상승폭을 제약했다. 또한 Charter Communications가 시장 예상치보다 부진한 2분기 주당순이익을 발표해 18% 넘게 추락했고, 같은 케이블 업종의 Comcast도 4% 이상 밀렸다.

암호화폐 관련주도 약세였다. 비트코인 가격이 2주 만에 최저치로 내려서면서 Galaxy Digital(-3%↓)과 MicroStrategy·Riot Platforms·Coinbase 등도 1% 이상 하락했다.

해외 증시‧채권시장 동향

유럽 Stoxx50 지수는 0.06% 하락했고, 중국 상하이종합지수(-0.33%), 일본 닛케이225(-0.88%)도 동반 약세를 보였다. 유럽 국채금리는 상승(가격 하락) 흐름을 보였다. 독일 10년물 금리는 3.75개월 만에 최고치(2.769%)를 기록했고, 영국 10년물 길트 금리도 4.635%로 1.4bp 올랐다.

한편 유로존 6월 통화량(M3) 증가는 전년 동월 대비 0.3%에 그쳐 9개월 만의 최저 증가율을 보였고, 같은 달 독일 IFO 기업환경지수는 88.6으로 14개월 만에 최고치를 나타냈지만 예상치(89.0)에는 못 미쳤다. 유럽중앙은행(ECB) 정책위원들은 현행 금리 동결을 지지하는 발언을 잇달아 내놓으며 시장의 추가 인하 기대를 낮췄다.

알아두면 좋은 용어

  • E-미니 선물: CME에서 거래되는 핵심 주가지수(S&P 500, 나스닥100 등)의 소형(미니) 선물 계약으로, 개인투자자도 접근하기 쉬운 대표 지수 파생상품이다.
  • Federal Funds Futures: 미 연방기금금리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CME 선물. 연준 금리 전망을 가늠하는 대표적 파생지표다.
  • Nondefense capital goods ex-aircraft: 항공기·국방을 제외한 자본재 주문으로, 기업 설비투자를 가늠하는 핵심 선행지표다.

향후 주요 실적 일정: 28일에는 Amkor Technology, Waste Management, Whirlpool 등 23개 기업이 2분기 실적을 공개할 예정이다.

기사 작성 시점 기준, 본 기사에 언급된 종목에 대해 Rich Asplund 필자는 직간접적 포지션이 없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