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500, 미·일 무역 합의 호재에 사상 최고치 경신

미국 증시가 다시 한 번 기록을 썼다. 23일(현지시간) S&P 500 지수가 장중 및 종가 모두 사상 최고치를 새로 쓰며 투자 심리 회복을 입증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도 5개월여 만의 최고치에 올라섰고, 나스닥100 지수 역시 상승세를 이어갔다.

2025년 7월 24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주식시장은 미국·일본 간 관세 합의미국·EU 간 관세 인하 가능성이라는 두 가지 재료를 동력으로 삼아 위험자산 선호로 빠르게 기울었다. S&P 500 차트

거래 마감 현황에 따르면 S&P 500 지수는 전일 대비 0.78% 오른 5,620.34에 마감했으며, 다우지수는 1.14% 상승한 40,289.72를 기록했다. 나스닥100 지수도 0.43% 올랐다. 선물시장에서는 9월물 E-미니 S&P가 0.80%, 9월물 나스닥 선물이 0.45% 상승했다.


무역 전선, 대규모 완화 시그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3일 늦게 “15% 관세”만 부과하는 일본과의 무역 합의를 전격 발표했다. 당초 8월 1일부터 예정됐던 25% 관세를 대폭 낮춘 것이다. 동시에 일본은 5,500억 달러 규모의 투자펀드를 조성해 미국에 자금을 투입하고, 보잉 항공기 100대를 구매하기로 합의했다. 미 농산물 구매도 대폭 확대돼 쌀 75% 증산 구매, 기타 농산물 80억 달러 추가 구매가 포함됐다. 방위산업 분야에서도 일본은 연간 170억 달러로 지출을 늘리기로 했다.

여기에 블룸버그통신은 EU 외교관들을 인용해 “미·EU가 대부분의 수입품에 15% 관세를 적용하는 합의에 접근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위협했던 30% 관세안보다 절반 낮은 수준이다.

텍사스인스트루먼트 경영진은 실적 발표 전화회의에서 “미국으로 들어오는 자동차 고객사들이 관세 불확실성 때문에 여전히 신중하다”며 “‘진정한 광범위한 회복세’는 보이지 않는다”고 언급했다.

이 발언 탓에 자동차용 반도체 업체들의 주가는 부진했다. 텍사스인스트루먼트는 13% 폭락하며 나스닥100 지수 상승폭을 제약했고,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온세미컨덕터·아날로그디바이시스 등이 줄줄이 하락했다.


경제 지표 약세, 금리 인하 기대 부각

미국 6월 기존주택판매는 전월 대비 2.7% 감소한 393만 채로 9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월가 컨센서스(400만 채, –0.7%)를 밑돌며 부동산 시장의 냉각을 시사했다. 같은 주 모기지은행협회(MBA) 주간 모기지 신청은 0.8% 증가했으나, 30년 고정 주택담보대출 금리6.84%(+2bp)로 올라 주택 수요 회복에 제동을 걸었다.

투자자들은 8월 1일까지로 예고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최종 시한을 주시하고 있다. 대통령은 150개국에 10~15% 관세를 통보할 계획이며, 캐나다 일부 품목에는 35%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이번 주 예정된 주요 지표로는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예상 22.6만 건), 7월 S&P 미국 제조업 PMI(예상 52.7), 6월 신규주택판매(예상 65만 건), 그리고 금요일 발표되는 6월 내구재 주문(항공·국방 제외)이 있다.

연방기금선물은 7월 29~30일 FOMC에서 25bp 금리 인하 가능성을 3%로, 9월 16~17일 회의에서는 58%로 반영하고 있다.


기업실적: ‘어닝 서프라이즈’와 ‘어닝 쇼크’ 교차

이번 주 S&P 500 상장사 약 20%가 2분기 실적을 발표한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현재까지 S&P 500의 2분기 EPS 증가율은 3.2%로, 시즌 직전 전망치(2.8%)를 상회한다. 그러나 11개 업종 중 6개 업종만이 이익 증가를 예상하고 있어 2023년 1분기 이후 최저 폭이다.

종목별로는 전력 생산기업이 돋보였다. 타일런 에너지(+8%), 비스트라(+5% 이상), NRG 에너지(+4% 이상)가 인공지능(AI) 전력 수요 급증 전망에 강세를 보였다. 반면 파이서브(–13%)와 오티스 월드와이드(–12%)는 실적 부진 및 가이던스 하향으로 하락했다.

특히 냉동감자 업체 램프 웨스턴 홀딩스는 매출이 16억8,000만 달러로 예상치(15억9,000만 달러)를 넘어 16% 급등했고, GE 재생에너지 부문 스핀오프인 GE 버노바도 매출 호조로 14% 올랐다.


해외시장 및 금리 동향

유럽 유로스톡스50 지수는 1.02% 상승했고,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9.5개월 최고치 후 보합권(+0.01%)에 마감했다. 일본 니케이225는 3.51% 급등해 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 미·일 무역 합의 호재를 그대로 반영했다.

채권시장에서는 10년 만기 미 국채금리가 4.384%(+4bp)로 상승했다. 위험 자산 선호가 강화되며 안전자산 수요가 줄어든 영향이다. 독일 분트채 10년물은 2.639%(+5bp), 영국 길트 10년물은 4.635%(+6.6bp)로 동반 상승했다.

이날 실시된 20년 만기 미 국채 130억 달러 입찰은 bid-to-cover(응찰률) 2.79배를 기록, 최근 10차 평균(2.57배)을 상회하며 견조한 수요를 보였다. 미 10년 기대 인플레이션(BEI)은 1.5주 최저치인 2.379%까지 내려가 통화정책 완화 기대를 자극했다.


용어풀이

베어커버(Bid-to-Cover): 국채 입찰에서 발행 규모 대비 투자자 청약 규모를 나타내는 지표다. 2.0 이상이면 수요가 양호하다는 의미다.
브레이크이븐 인플레이션(BEI): 명목 국채와 물가연동국채(TIPS) 금리 차이를 통해 시장이 예상하는 향후 평균 인플레이션을 추정한다.
E-미니 선물: CME(시카고상품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지수 선물의 마이크로 계약 버전으로, 개인투자자가 지수 방향성에 베팅하기에 활용된다.

이처럼 무역 갈등 완화기업 실적 개선이 맞물리면서 뉴욕 증시는 위험 자산 랠리를 이어갔으며, 관세 정책과 연준의 금리 결정이 향후 시장 방향을 좌우할 핵심 변수로 부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