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재정부(財政部)가 7일 S&P 글로벌(S&P Global)의 국가신용등급 유지 결정에 대해 만족감을 표명했다.1 이번 결정은 세계 2위 경제대국인 중국의 거시경제 펀더멘털에 대한 국제 신용평가사의 신뢰를 재확인했다는 의미를 갖는다.
2025년 8월 7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S&P 글로벌 레이팅스(S&P Global Ratings)는 중국의 장기 외화·내화표시 국가신용등급을 ‘A+’로, 단기 등급을 ‘A-1’로 각각 유지하고 등급 전망(outlook)을 ‘안정적(stable)’으로 유지했다. 이에 대해 중국 재정부는 성명을 내고 “연간 성장목표 달성을 위해 ‘동태적(動態的)’으로 정책 여력을 조정하겠다”고 밝혔다.
“S&P가 중국의 국가신용등급과 전망을 유지한 것은 중국 경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신뢰 투표로 볼 수 있다.” – 중국 재정부
신용등급 ‘A+’는 투자적격 등급 가운데 상위권에 속한다. 등급 전망이 ‘안정적’이라는 것은 향후 1~2년 내 등급이 상향·하향될 가능성이 낮다는 의미다.2 S&P는 보고서에서 “중국 정부가 거시경제 안정을 유지할 수 있는 정책 도구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 ‘A+’ 등급과 ‘안정적’ 전망의 의미
‘A’ 계열 등급은 투자자가 기본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국가라는 뜻이며, ‘+’ 표시는 같은 ‘A’ 등급 내에서도 상대적으로 우수하다는 의미다. ‘안정적’ 전망은 단기간 내 등급 변동 가능성이 낮다는 신호로, 국채 금리와 외국인 자본 유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 경제 지표와 정책 대응
중국 정부는 올해 경제 성장률 목표를 “약 5%”로 설정한 상태다. 부동산 경기 둔화, 소비 회복 지연 등 구조적 도전 속에서도 재정지출 확대, 세제 지원, 통화정책 완화 등을 통해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방침이다. 재정부는 “필요시 지방정부 특별채 발행 한도를 탄력적으로 조정하겠다”고 덧붙였다.
◆ 시장의 반응
등급 발표 직후 위안화 환율과 중국 국채 금리는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상하이 증시(상하이종합지수)는 장 초반 약세를 보였으나, 등급 유지 소식이 전해지자 낙폭을 축소했다.
◆ 전문가 해설
‘동태적 정책 여력’이란 정책금리, 지급준비율, 국채·지방채 발행, 재정지출 구조 조정 등 가용 수단을 경제 상황에 따라 신속히 조정한다는 의미다. 이는 중국 정부가 코로나19 이후 느슨해진 재정·통화정책을 상황에 맞게 가감하겠다는 시그널로 해석된다.
◆ 용어 설명
국가신용등급(sovereign credit rating)은 한 국가가 외화·내화 부채를 상환할 능력과 의지를 평가하는 등급이다. ‘A-1’은 S&P 단기등급 체계에서 최고 수준의 투자적격 점수로, 1년 이내 단기채권 상환 위험이 낮음을 뜻한다.
한편 이번 기사는 AI의 초안을 기반으로 편집자의 검수를 거쳐 작성됐다.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