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인슈어런스 그룹 오브 아메리카(Reinsurance Group of America Inc., 이하 RGA)가 2025회계연도 3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회사는 전년 동기 대비 순이익과 매출이 모두 증가했으나, 주당순이익(EPS)이 월가 컨센서스(Street estimates)를 밑돌았다.
2025년 10월 30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RGA는 GAAPGenerally Accepted Accounting Principles, 미국회계기준 기준으로 3분기 $2억5,300만(한화 약 3,443억 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의 $1억5,600만에서 약 62.2% 증가한 수준이다.
그러나 주당순이익은 $3.81로 집계돼 애널리스트 전망치 $5.77을 크게 하회했다. 시장에서 흔히 사용되는 ‘Street estimates’는 금융정보 제공업체가 집계한 애널리스트들의 평균 예상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번 실적 발표는 ‘이익 증가’라는 긍정적 지표에도 불구하고, 컨센서스 미스(consensus miss)로 해석됐다.
매출은 $62억(전년 동기 $56억5,000만)으로 전년 대비 9.7% 증가했다. 매출 증가는 주로 미국 및 캐나다 생명 재보험 포트폴리오 확대와 투자수익 개선에 기인한 것으로 회사 측은 설명했다.환율 및 세제 효과는 발표 자료에 별도로 명시되지 않았다.
“3분기 실적은 수익성 확대라는 목표를 달성했지만, 시장 기대치를 충족시키지 못한 것이 아쉽다”고 RGA 경영진은 언급했다.
GAAP 수치 정리
- 순이익: $2억5,300만 vs. $1억5,600만(전년)
- EPS: $3.81 vs. $2.33(전년)
- 매출: $62억 vs. $56억5,000만(전년)
GAAP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요구하는 회계 표준으로, 특별항목(special items)을 조정하지 않은 ‘원시적’ 수치를 제공한다. 반면, 일부 애널리스트들은 구조조정 비용·세금효과 등 일회성 요인을 제외한 조정EPS(Non-GAAP)를 선호해 실적 전망치를 제시한다.
전망과 분석
RGA는 생명・의료 재보험 분야에서 글로벌 3위권 내 점유율을 보유한 기업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사망률 상승으로 재보험 청구가 증가했으나, 2024년 하반기부터 청구 건수가 안정화하면서 손해율이 개선됐다. 이번 분기 실적은 그 연장선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EPS 컨센서스 하회를 두고 “재보험 계약 구조상 청구 변동성이 여전히 남아 있다는 신호”라고 해석한다. 특히 금리 상승기에 투자수익 개선 효과가 제한적이었다는 지적도 있다.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2025년 3분기 평균 4.5%로, 보험업계가 기대했던 5%대에는 미치지 못했다.
시장 반응 및 주가 영향
실적 발표 직후 RGA 주가는 시간외 거래에서 4% 내외 하락했다. 투자자들은 매출 성장세보다는 EPS 미스에 무게를 두는 분위기다. 다만 일부 기관투자자는 “생명 재보험 수요가 구조적으로 확대되고 있어 장기적 투자 가치는 여전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생명 재보험 시장이란?
재보험은 보험회사가 위험을 다른 보험회사에 전가해 손실을 분산하는 계약이다. 특히 생명 재보험은 생명보험 계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망·질병 리스크를 중점적으로 다룬다. 일반 소비자에게는 다소 생소하지만, 보험사 자본건전성(BSCR)과 지급여력(RBC) 지표를 좌우하는 핵심 시스템이다.
RGA는 북미, 아시아, 유럽 등 26개 국가에 진출해 있으며, IFRS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기준으로도 매년 2자리수 성장률을 유지해 왔다. 이번 분기 결과는 회사의 지역 다각화 전략이 일정 부분 유효했음을 보여주지만, 가격경쟁 심화와 금리 변동성이라는 리스크 요인도 부각시킨다.
향후 과제
경영진은 2025년 4분기 가이던스를 내놓지 않았으나, “위험관리 기법 고도화와 상품 포트폴리오 확대를 통해 이익 변동성을 줄이겠다”고 밝혔다. 애널리스트들은 △미국 장기금리 추세 △사망률 추이 △해외 자회사 성장성 등을 관전 포인트로 제시한다.
※ 용어 정리
Street estimates: 금융정보사들이 취합한 애널리스트 전망치 평균값을 의미한다.
GAAP: 미국 일반회계기준. 
컨센서스 미스: 실제 실적이 시장 전망치를 하회할 때 사용되는 표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