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준비은행(Reserve Bank of New Zealand, RBNZ) 통화정책위원 프라산나 가이(Prasanna Gai)가 미국의 대(對)중국 및 기타국 관세가 뉴질랜드와 같은 소규모 개방경제에 ‘부(-)의 수요 충격(negative demand shock)’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2025년 10월 31일, 로이터(Reuters) 보도에 따르면 가이 위원은 호주 멜버른에서 열린 한 경제 포럼에서 이같이 밝히며, “미·중 통상 갈등에 기인한 관세와 이에 따른 정책 불확실성 충격(uncertainty shock)이 2024년 이후 단행된 통화 완화의 효과를 상당 부분 상쇄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특히 수출 의존도가 높은 뉴질랜드의 경우, 거시경제 전반에 걸쳐 총수요 감소가 고스란히 성장률 둔화로 이어진다”고 설명했다.
“미국 관세로 인한 무역량 위축과 투자 지연이 실물경제에 부정적 파급효과를 주고 있다”
고 덧붙였다.
RBNZ는 2024년 8월 이후 기준금리를 총 300bp1 인하했다. 그런데도 뉴질랜드 실질 GDP는 기대만큼 반등하지 못하고 있으며, 최근 분기별 성장률은 잠재성장률을 하회하고 있다. 이미 인플레이션이 목표범위(1~3%) 안에서 안정되어 있다는 점에서 시장 참가자들은 추가 완화 여력을 주시하고 있다.
수요 충격(demand shock)은 예상치 못한 외부 변수로 인해 소비·투자·수출 등 총수요가 갑작스럽게 변화하는 현상을 뜻한다. 특히 ‘부의 수요 충격’은 총수요를 감소시키며 경기 하방 압력으로 작용한다. 관세 부과로 수입품 가격이 변동하면 교역 조건이 악화되고, 이는 교역 상대국(이 경우 뉴질랜드) 경제 전반에 타격을 준다.
bp(베이시스포인트, basis point)2는 금리 변동폭을 나타내는 단위로, 1bp는 0.01%p(퍼센트포인트)에 해당한다. RBNZ가 300bp를 인하했다는 것은 기준금리를 총 3%p 낮추었다는 의미다.
가이 위원은 “현재 통화정책 완화의 실물경제 전가 속도가 더딘 이유는 글로벌 교역 둔화와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 때문”이라며 “통화위원회는 향후 데이터에 따라 추가 인하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다만 인플레이션 기대가 안정적인 점은 완화 기조 유지에 우호적인 환경이라고 평가했다.
시장 반응도 엇갈린다. 스왑시장과 채권시장에서 투자자들은 향후 6~12개월 이내 25~50bp 추가 인하를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 반면 일부 애널리스트는 “부동산 가격과 가계부채가 높은 상황에서 과도한 완화는 금융안정을 위협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전문가 해설에 따르면, 미국 관세 정책이 뉴질랜드 경제에 미치는 직접적인 경로는 제한적일 수 있지만, 글로벌 공급망과 원자재·중간재 가격 변동을 통해 간접적 충격이 더욱 크게 확대된다는 지적이 많다. 또 관세가 장기간 유지될 경우 기업의 투자 계획이 보수적으로 바뀌어 고용·임금에까지 악영향이 퍼질 수 있다.
결론적으로, RBNZ는 물가 안정과 성장 사이에서 미세한 균형을 추구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해 있다. 미국의 관세정책이 완화적 통화정책의 효과를 상쇄하고 있다는 점이 확인된 만큼, 향후 금융시장과 실물지표 동향이 중앙은행의 정책 경로를 좌우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