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AX 모회사 마이애미 인터내셔널, 3억4,500만 달러 공모 후 뉴욕증권거래소 입성

마이애미 인터내셔널 홀딩스(Miami International Holdings Inc.)가 약 3억4,500만 달러 규모의 기업공개(IPO)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목요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첫 거래를 시작한다.

이번 상장은 미국 금융거래소 운영사 가운데 무려 15년 만에 이뤄지는 IPO라는 점에서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2025년 8월 14일, 로이터 통신 보도에 따르면 프린스턴(뉴저지주)에 본사를 둔 이 회사는 공모가를 주당 21달러로 책정해 당초 제시한 19~21달러 밴드 상단에서 1,500만 주를 매각했다. *총 공모 규모는 약 3억4,500만 달러에 달한다.

공모 물량 대부분은 신주 발행 형태로 이뤄졌으며, 기존 주주는 지분 희석을 감수하더라도 유동성 확보에 무게를 실었다. 상장 직후 시가총액은 약 20억 달러 수준으로 추산된다.


1. 상장의 의미와 배경

2000년대 이후 미국 증권·파생상품 거래소들은 대형 M&A와 민간투자 유치로 몸집을 불려 왔지만, 실제로 공모 시장에 모습을 드러낸 사례는 드물었다. CME그룹이 2002년에, Cboe 글로벌 마켓이 2010년에 각각 상장한 뒤, 2010년대 후반부터는 신규 거래소 상장이 사실상 멈춘 상태였다.

이번 IPO는 지난 2022년 말 비공개(pre-IPO) 서류를 제출한 지 약 3년 만에 결실을 맺은 것이기도 하다. 업계 관계자들은 “자본시장의 변동성이 커지고 거래량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환경에서, 거래소 사업 모델이 다시 한 번 시장에서 재평가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2. 기업 개요 및 성장 전략

MIAX는 2007년 설립 후, 2012년 첫 옵션 거래소를 개설하면서 본격적으로 업계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현재는 주식·옵션·선물 등 총 9개 거래소를 운영하며, 옵션 부문이 전체 매출의 절대다수를 차지한다.

옵션 클리어링 공사(Options Clearing Corporation·OCC)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MIAX의 미국 옵션 시장 점유율은 16%로 뉴욕증권거래소, 나스닥, Cboe에 이어 4위를 기록했다. 4위라는 순위 자체보다 지난 10년간 시장점유율을 꾸준히 끌어올렸다는 점이 업계의 관심 대상으로 꼽힌다.

“기술·인프라·시장 참여자와의 관계를 제대로 구축한 거래소라면, 거래소가 많아도(시장 파편화) 충분히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다.” – 토머스 갤러거 최고경영자(CEO)

현재 MIAX는 4개의 미국 주식옵션 거래소, 1개의 주식 거래소, 1개의 선물 거래소 외에도 파생상품 청산·결제 인프라를 확장하고 있다.


3. IPO 구조와 주요 주주

이번 공모에는 워버그 핀커스(Warburg Pincus)를 비롯해 고빈도·시장조성 전문 회사인 서스케허나(Susquehanna International Group), 울버린 트레이딩(Wolverine Trading) 등이 주요 주주로 참여했다. 이들은 상장 이후에도 일정 기간 락업(지분 매각 제한) 조항을 적용받는다.

전문가들은 “거래소와 같은 플랫폼 기업은 규모의 경제, 네트워크 효과가 강력해 상장 이후에도 장기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한다. 다만 규제 리스크와 기술 투자 부담은 여전히 주요 변수로 꼽힌다.


4. 핵심 사업: 옵션에 집중

MIAX의 수익 중 대부분은 옵션 거래 수수료에서 발생한다. 옵션(option)은 특정 자산을 미래 시점에 정해진 가격으로 사고팔 권리를 거래하는 파생상품이다. 주식보다 가격 변동성이 크므로, 상승·하락 양방향에 투자할 수 있다는 매력으로 개인·기관투자자 모두에게 수요가 상당하다.

옵션 거래량 자체가 늘어난 데 더해, MIAX는 초저지연(ultra-low latency) 매칭엔진과 경쟁력 있는 거래 수수료로 차별화를 꾀해 왔다. 지난해 도입한 네 번째 미국 옵션 거래소 역시 초기 안정화 이후 점유율을 빠르게 확대 중이다.


5. 신사업 및 암호화폐 가능성

현재 MIAX는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 선물·옵션 상품을 직접 상장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토머스 갤러거 CEO는 “적절한 파트너가 제휴를 제안한다면, 선물거래소 혹은 암호화폐 지수 옵션 등 신규 상품 출시를 적극 검토할 의향이 있다”고 언급했다.

시장에선 지난 1년간 기관투자자 자금이 암호화폐 파생상품으로 몰리면서, 전통 거래소들의 암호화폐 시장 진출이 가속화될 것으로 관측한다. MIAX의 향후 행보 역시 투자자 관심사다.


6. 향후 전망과 리스크

거래소 사업은 거래량·변동성·규제 환경에 민감하다. 2024~2025년 증시 변동성이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하며 MIAX 실적에도 순풍이 됐지만, 변동성이 안정될 경우 수익성 둔화 가능성도 있다. 또한 기술 장애가 발생하면 시장 신뢰도에 치명타가 되기 때문에, 지속적인 IT 인프라 투자가 필수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한편,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옵션 거래 수수료·인프라 규제 강화가 예정돼 있어, 관련 규제가 실제로 시행될 경우 수익 구조가 조정될 수 있다.


7. 용어 해설 및 참고 정보

IPO(Initial Public Offering)는 비상장사가 일반 투자자를 대상으로 처음 주식을 공개·매각해 증시에 입성하는 절차다. 기업은 자본 조달, 기업 가치 제고, 브랜드 인지도 상승 등의 효과를 얻게 된다.

옵션(Option)은 특정 자산을 미리 정한 가격(행사가격)으로 미래 일정 시점에 살 권리(Call) 또는 팔 권리(Put)를 거래하는 계약이다. 제한된 비용으로 레버리지 투자가 가능하지만, 가격 변동이 클 경우 손실 위험도 크다.

OCC(Options Clearing Corporation)은 미국 옵션 및 선물거래의 청산·결제를 담당하는 기관이다. 거래소 간 리스크를 중앙에서 관리해 시장 안전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공모액 계산: 공모가 21달러 × 1,500만 주 = 3억1,500만 달러. 여기에 공동 주관사 인센티브 옵션(초과배정 225만 주)까지 감안할 경우, 최대 3억6,200만 달러까지 늘어날 수 있다는 해석도 있다.


전망에 대한 기자의 시각

거래소 사업 모델의 매력은 고정비가 높지만, 거래량이 늘수록 영업이익률이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한다는 점이다. 변동성이 지속되는 한 MIAX의 실적 모멘텀은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 다만 규제 리스크와 신규 투자 부담이 동반되는 만큼, 상장 이후의 자금 활용 전략과 암호화폐 파생상품 진출 여부가 동사의 중장기 주가를 가를 결정적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