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E 재고 축소에 커피 선물가 급등… 브라질산 수입 관세 50% 여파로 공급 타이트

커피 선물 가격ICE(인터컨티넨탈 익스체인지) 인증 재고 축소미국의 브라질산 커피 수입 관세 50% 여파로 급등하고 있다. 12월 아라비카 커피 선물(KCZ25)은 +9.70(+2.44%) 상승했고, 1월 ICE 로부스타 커피 선물(RMF26)은 +121(+2.67%) 오르며 동반 강세를 기록했다다.

2025년 11월 7일, 바차트(Barchart)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이 브라질산 수입품에 부과한 50% 관세로 인해 ICE 커피 재고가 빠르게 줄어들고 있으며, 이로 인해 가격이 지지되고 있다다. ICE 모니터링 아라비카 재고는 목요일 418,203포대1.75년 만의 최저를 기록했고, ICE 로부스타 재고는 오늘 5,926랏으로 3.5개월 최저까지 감소했다다. 미국 원두 수입의 약 3분의 1이 브라질에서 들어오는 가운데, 미국 바이어들이 높은 관세 탓에 브라질산 커피 신규 계약을 취소하면서 미국 내 공급이 더욱 타이트해졌다는 설명이다다.

아라비카 선물 시세 (KC*0)

주목

“하루도 놓치지 마세요.”라는 문구와 함께 바차트는 원유부터 커피까지 상품(커머디티) 분석 뉴스레터를 무료 제공한다고 안내했다다. 본 기사는 해당 시장 동향을 요약·전달하는 정보 제공 목적임을 전제로 하고 있다다.

가격을 떠받치는 또 다른 요인은 전 세계 기상 악화 리스크다. 브라질 민아스제라이스(아라비카 최대 산지)는 Somar Meteorologia에 따르면 10월 31일까지의 주간(week ended) 강우량이 33.4mm로, 역사적 평균의 75%에 그쳤다다. 그 직전 주는 정상치의 1%에 불과했다는 점도 부각됐다다. 한편 태풍 칼마에기(Kalmaegi)가 목요일 베트남 남부에 상륙했고, 베트남 기상청은 중부 고원(Central Highlands) 전역의 호우로 인한 급격한 홍수와 산사태로부스타 작물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다.

로부스타 선물 시세 (RM*0)

NOAA(미국 해양대기청)는 9월 16일, 남반구 10~12월 기간의 라니냐(La Niña) 발현 확률을 71%로 상향했다다. 이는 브라질에 과도한 건조를 가져와 2026/27 커피 작황을 해칠 수 있다는 시나리오를 강화한다다. 브라질은 전 세계 아라비카 최대 생산국이다다.

주목

다만 공급 확대로 인한 가격 하방 요인도 병존한다다. 베트남 통계청은 목요일, 2025년 1~10월 커피 수출이 전년 대비 +13.4% 증가한 1.31백만 톤(MMT)이라고 발표했다다. 또 2025/26 커피 생산은 전년 대비 +6% 늘어난 1.76MMT(2,940만 포대)로, 4년래 최고가 될 것으로 전망됐다다. 베트남 커피·카카오 협회(Vicofa)도 10월 24일, 기상 여건이 우호적일 경우 2025/26 작황이 전년 대비 10%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다다. 베트남은 로부스타 최대 생산국이다다.

가격 변수는 정책에도 존재한다다. 아라비카 가격미국의 브라질산 커피 관세 50%를 곧 해제할 수 있다는 관측이 불거지며 상방을 일부 제약받았다다. 직전 월요일, 브라질 대통령 룰라(Luiz Inacio Lula da Silva)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회동이 “놀라울 만큼 좋았다(surprisingly good)”고 평가하며, “미·브라질 무역에 대해 며칠 내 결정적 해결(definitive solution)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다.

“놀라울 만큼 좋은 회동이었고, 며칠 내 미·브라질 무역에 대한 결정적 해결책이 나올 수 있다.” — 브라질 대통령 룰라


수출 호조도 가격 측면에서 약세 요인으로 작용한다다. 국제커피기구(ICO)는 10월 6일, 현재 마케팅 연도(10~8월) 전 세계 커피 수출이 +0.2% 증가한 1억 2,792만 포대였다고 발표했다다. 이는 공급이 대체로 원활했음을 시사한다다.

반면 브라질 작황 전망 하향은 가격을 지지했다다. 브라질 농산물공급회사(Conab)는 9월 4일, 브라질 2025년 아라비카 생산 전망을 5월 3,700만 포대에서 3,520만 포대-4.9% 하향했다다. 같은 날 브라질 2025년 전체 커피 생산 전망치도 5,570만 포대에서 5,520만 포대로 소폭(-0.9%) 낮췄다다.

미국 농무부(USDA) 해외농업국(FAS)은 6월 25일, 2025/26 전 세계 커피 생산이 전년 대비 +2.5% 증가한 1억 7,868만 포대(사상 최대)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다. 구성상 아라비카는 -1.7% 감소해 9,702.2만 포대, 로부스타는 +7.9% 증가해 8,165.8만 포대로 전망했다다. 브라질 2025/26 생산은 +0.5% 늘어난 6,500만 포대, 베트남은 +6.9% 증가한 3,100만 포대(4년래 최고)로 예측했다다. 2025/26 기말 재고+4.9% 늘어난 2,281.9만 포대(2024/25의 2,175.2만 포대 대비)로 제시됐다다.


용어·지표 해설
• ICE 인증 재고: 선물 인도 적합성을 갖춘 창고 보관 물량으로, 현물 가용성을 반영하는 핵심 지표다다.
• 포대(bag): 국제 커피 거래의 표준 단위로 60kg을 의미한다다.
• 랏(lot): 선물거래에서 규정된 표준 계약 단위를 뜻한다다.
• 라니냐(La Niña): 열대 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낮아지는 현상으로, 남미의 건조·가뭄 리스크를 높여 커피 생육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다.
• 아라비카·로부스타: 아라비카는 주로 고산지에서 재배돼 향이 섬세하고, 로부스타는 평지·열대에서 잘 자라며 수확량이 높아 인스턴트·블렌드에 널리 쓰인다다.

시장 해석과 시나리오
현재 커피 시장은 정책(관세)·기상(라니냐, 태풍)·기초체력(재고·수출) 요인동시에 작용하는 복합 국면이다다. 단기에는 ICE 재고의 추가 축소미국 내 수급 타이트가 가격 상방을 지지할 가능성이 크다다. 중기에는 NOAA의 라니냐 전개 경로브라질 강우 회복 여부아라비카에, 베트남 중부 고원의 강수·작황로부스타에 각각 결정적 변수가 될 수 있다다. 정책 측면에선 미·브라질 관세 50%의 향방미국 내 조달 비용·스프레드를 좌우하며, 해제 시 단기 가격 조정 리스크, 유지 시 재고 위축·강세 연장이라는 상반된 트랙을 의미한다다. 한편 베트남 수출·생산 증대로부스타 약세 요인이지만, 기상 변수의 불확실성이 상쇄할 여지가 있다다.

실무적으로는 ICE 인증 재고 추이, NOAA·Somar 등 기상 업데이트, 브라질·베트남의 월별 수출 선적, 아라비카-로부스타 스프레드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유효하다다. 관세 정책 뉴스플로우는 가격 방향성과 변동성을 동시에 키울 수 있어, 헤지·조달 전략을 탄력적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다. 특히 로스팅 업체·음료 기업원재료 비용 급변에 대비해 선물·옵션을 활용한 가격 리스크 관리원두 믹스 조정 옵션을 검토할 수 있다다.

커피 가격 전망 관련 리포트

관련 기사
• 커피는 끓고 있다. 여기서 가격은 얼마나 더 오를까?
• 3분기 연성 원자재 동향: 4분기 및 그 이후의 전망은?
• 글로벌 공급 우려 속 ‘차가운 커피 가격’을 거래하는 한 가지 방법
• 스타벅스, 감원·점포 폐쇄… SBUX 주식, 매수·매도·보유 중 무엇이 합리적일까?


공시 및 면책
해당 기사의 게재일 기준으로, 리치 애스플런드(Rich Asplund)는 본문에서 언급된 증권에 대해 직·간접적 보유 포지션이 없었다고 밝혔다다. 본 기사에 포함된 모든 정보와 데이터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자문을 구성하지 않는다다. 바차트의 공시 정책은 해당 제공처의 정책에 따른다다.

또한, 본 문서에 표출된 견해와 의견은 작성자의 것이며, 나스닥(Nasdaq), Inc.의 공식 입장을 반드시 반영하지는 않는다고 덧붙였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