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 전기차 생산 재검토 속 5,500명 감원…디트로이트ㆍ오하이오ㆍ테네시 공장 직격탄

제너럴 모터스(GM)가 미국 내 세 곳의 생산시설에서 총 5,500명의 직원을 해고하거나 무급휴직(furlough) 조치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추진 중인 전기차 세액공제(EV tax credit) 폐지 움직임 이후 전기차(EV) 생산 전략을 전면 재검토한 결과다.

2025년 10월 29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GM은 전미자동차노조(UAW) 측과 협의를 거쳐 디트로이트 ‘팩토리 제로(Factory Zero)’에서 3,400명, 오하이오 워런(Warren) ‘얼티엄 셀즈(Ultium Cells)’ 배터리 공장에서 1,400명, 테네시 스프링힐(Spring Hill) 조립공장에서 710명을 각각 감원했다.

팩토리 제로는 GM의 전기 픽업·SUV 전략의 핵심 기지로, 쉐보레 실버라도 EV, GMC 시에라 EV, 허머 EV 등을 생산해 왔다. GM은 지난여름 해당 공장을 전면 가동 중단하며 3,400명을 무급휴직 처리했는데, 이번 발표로 1,200명만이 2026년 1월 단일 교대(single shift) 체제로 복귀한다. 나머지 2,200명은 ‘무기한 휴직(indefinite furlough)’으로 분류돼 복귀 일정이 없다.

주목

오하이오 워런의 얼티엄 배터리 공장에서는 총 1,400명 가운데 약 850명이 2026년 5월쯤 재고용될 가능성이 있지만, 550명은 역시 무기한 휴직 상태다. 테네시 스프링힐 공장 감원 710명은 일단 ‘임시 해고(temporary layoff)’로 분류됐다.

“세액공제 축소는 수요 둔화와 직결된다. 우리는 생산량과 인력을 시장 현실에 맞춰 조정할 수밖에 없다.”

라고 GM 대변인 케빈 켈리(Kevin Kelly)는 밝혔다.

‘무급휴직(furlough)’ 용어 설명

무급휴직은 고용계약은 유지하되 임금을 지급하지 않고 일정 기간 업무에서 제외하는 제도다. 기업은 인건비를 절감하면서 필요 시 인력을 신속히 복귀시킬 수 있으며, 근로자는 해고에 따른 퇴직금·복리후생 손실을 일시적으로 피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배경: EV 세액공제 폐지의 파장

미국 연방정부는 2009년부터 전기차 구매 시 최대 7,500달러의 세액공제를 제공해 왔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해당 인센티브가 ‘정부의 시장 개입’이라며 전면 폐지를 공언했고, 올해 초 의회 표결을 통해 단계적 축소안이 통과됐다. 세액공제 축소는 소비자 수요 약화로 이어져 완성차업체의 생산계획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주목

GM의 전략 수정

GM은 기존 ‘EV 2035 로드맵’(2035년 내 내연기관 생산 중단) 목표는 유지하지만, 생산 속도와 시설 증설 계획은 ‘시장 반응을 보고 점진적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회사는 “단일 교대 운영은 고정비 절감에 효과적이며, 설비 효율성 데이터를 수집해 차세대 배터리 플랫폼 개발에 재투자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노사·지역사회 영향

전미자동차노조(UAW)는 “무기한 휴직은 사실상의 해고”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디트로이트·워런·스프링힐 지방자치단체도 지방세 수입 감소와 협력업체 고용 불안에 우려를 표했다. 산업 분석가들은 “EV 전환 과정에서 일시적 고용 충격은 불가피하다”면서도 “장기적으로는 배터리 공급망 내 일자리 창출 효과가 상쇄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향후 관전 포인트

① 연방정부의 세액공제 완전 폐지 시점 ② GM·포드·테슬라 등 경쟁사의 생산 조정 여부 ③ 배터리 원자재 가격 동향 ④ 2026년 미 대선 결과가 EV 정책에 미칠 영향 등이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