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I·WES·BDX·ALB·CI·HAS, 2025년 3분기 분기배당 일괄 발표

[데일리 배당 리포트] 미국 증시에 상장된 TechnipFMC(FTI), Western Midstream Partners(WES), Becton, Dickinson and Company(BDX), Albemarle(ALB), The Cigna Group(CI), Hasbro(HAS)6개 기업이 2025년 3분기 분기배당을 일제히 공표했다.

2025년 7월 23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각 사는 배당금액·지급일·기준일(Record Date)·익일배당일(Ex-Dividend Date) 등을 세부적으로 확정했다. 배당 확대 여부, 주주 환원 기조, 산업별 차별화가 두드러진다는 평가가 나온다.

Daily Dividend Report

① TechnipFMC(티크닙FMC)는 주당 0.05달러의 분기 현금배당을 결정했다.

지급일은 2025년 9월 3일, 기준일과 익일배당일은 모두 2025년 8월 19일

로 통일돼 있다. 연 환산 배당은 주당 0.20달러다.

② Western Midstream Partners는 2025년 2분기 기준 유닛(MLP 구조에서의 지분 단위)당 0.910달러를 지급한다. 이는 전분기와 동일한 수준으로, 연환산 3.64달러다. 지급일은 8월 14일, 기준일과 익일배당일은 8월 1일로 고시됐다.

③ Becton, Dickinson and Company는 의료기술 업계를 대표하는 대형주로, 주당 1.04달러의 현금배당을 선언했다. 지급일은 9월 30일, 기준일 9월 8일이다. 연 환산 배당은 주당 4.16달러로, 배당 성장 스토리를 이어갔다.

④ Albemarle은 리튬 및 특수화학 분야 글로벌 리더로, 주당 0.405달러를 지급한다. 연 환산 1.62달러이며, 지급일 10월 1일·기준일 9월 12일로 명시됐다.

⑤ The Cigna Group은 헬스케어·보험 섹터 대형주로, 주당 1.51달러의 배당을 확정했다. 지급일은 9월 18일, 기준일 9월 4일이다. 금액 기준으로 오늘 발표 기업 중 최고 수준이다.

⑥ Hasbro는 올해 2분기에 이미 9,800만 달러를 현금배당으로 지급했음을 강조하며, 이번에도 주당 0.70달러를 결정했다. 지급일 9월 3일, 기준일 8월 20일이다.

Dividend Video

배당 용어 간단 해설

Record Date(기준일)은 배당을 받을 주주 명부를 확정하는 날이다. Ex-Dividend Date(익일배당일)은 주식을 매수해도 배당 권리가 이전 주주에게 남는 날로, 통상 기준일보다 1~2 영업일 앞선다. Annualized Rate(연 환산 배당)은 분기·월 배당을 연간 기준으로 단순 환산한 값으로, 실제 지급 확정액은 회사의 향후 공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시장·투자자 관전 포인트

이번 발표는 업종 다변화 측면에서 눈길을 끈다. 에너지 인프라(WES), 리튬·화학(ALB), 헬스케어(BDX·CI), 소비재(HAS), 엔지니어링 서비스(FTI)까지 포진해 있어, 각 산업의 현금흐름 견조성을 가늠할 수 있다.

또한 연 환산 기준 최고 배당금은 Cigna의 1.51달러, 최저는 TechnipFMC의 0.05달러다. 금액·수익률 격차는 기업 규모·현금흐름 패턴·배당성향에 따른 결과로 해석된다.

“배당은 단순 현금 분배를 넘어 경영진이 미래 현금흐름을 자신한다는 시그널“이라고 월가 애널리스트들은 강조한다.

다만 고배당만을 쫓을 경우 배당컷(배당 축소) 리스크가 존재한다. 분기·연간 실적, 현금흐름, 부채비율, 조정EBITDA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특히 Lithium 가격 변동에 민감한 Albemarle, 미국 의료제도·약가정책 변화에 노출된 Cigna·BDX, 소비 경기 둔화 직격탄을 맞을 수 있는 Hasbro 등은 업종별 리스크가 상이하다. 장기투자를 지향한다면 실적 발표 일정과 가이던스 변화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


전문가 시각: 단기적으로는 가치주·인컴전략 선호 자금이 꾸준히 유입될 수 있다. 기준금리가 고점 부근에서 장기간 유지될 경우, 안정적 현금흐름을 제공하는 배당주는 방어적 대안으로 부각된다. 반면 연환산 배당률만으로 전체 기업가치를 평가하기엔 무리가 따른다. 성장·투자계획·환율·원자재 가격 등 변수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향후 FOMC 통화정책, 경기 선행지표, 각 사의 2025년 하반기 가이던스 업데이트가 발표되면 배당 지속 가능성을 다시 평가해야 한다. 이번 6개사의 결정은 최소 분기 단위 현금흐름 안정성을 재확인했다는 점에서 긍정적 신호로 해석된다.